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rcView GIS의 Avenue<sup>TM</sup> Language를 활용한 수문지질도 작성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김규범,손영철,종욱,이장룡,Kim, Gyoo-Bum,Son, Young-Chul,Kim, Jong-Wook,Lee, Jang-Yong 한국지리정보학회 200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8 No.3

        지하수 조사 및 개발에 필수적인 수문지질도 및 부속도면의 작성은 표준화와 함께, 도면 작성의 전산화가 요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지질도의 주요 도면인 stiff diagram 분포도와 우물(지하수위) 분포도 작성의 전산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과 부속도면인 지질구조선 분포도의 작성과 분석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유동 통로 또는 부존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질구조선(lineament)은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 판독을 통하여 추출한다. 지하수 조사 및 연구에 있어서 GIS를 활용한 지질구조선의 통계적 해석은 성과의 정확도를 제고할 뿐 아니라 신속한 과업수행에도 도움을 준다. 지질구조선의 분석은 지하수 조사, 개발과 관리를 위한 필수 항목으로서 지질구조선의 추출, 방향별 통계 계산, 단위면적내 지질구조선 밀도(길이밀도, 교차점밀도 등) 계산 등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ArcView GIS 3.x의 Avenue$^{TM}$ script를 활용하여 지질구조선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단위면적내의 지질구조선 밀도 통계 계산에서 격자형 단위 셀을 적용할 경우 격자의 모서리 방향에 따른 지질구조선 길이의 가중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분석결과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향별 가중을 일으키지 않는 원형 셀을 적용하여 지질구조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영암 및 강진지역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프로그램은 지질구조선뿐만 아니라 디지타이징된 선형구조에 대한 통계 및 밀도분포를 계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Korea, MOCT and KOWACO published a standard for lineament map drawings, "The Handbook for the Drawing and Management of Hydrogeologic Map" in 2003. According to this guideline, hydrogeologic and related thematic maps should includ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and quantity. These maps are generally drawn with ArcView GIS 3.x software. The activities of well notation on groundwater level map and Stiff diagram drawings on groundwater quality map require a great deal of efforts because hundreds or thousands of well data, water level data and hydrogeochemical data are produced through many kinds of investigations. As well, lineament density map is very important to survey and explore groundwater in a deep aquif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some modules for well notation, Stiff diagram drawings, and lineament density value calculation with Avenue$^{TM}$ script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can be very useful and easy for drawing groundwater thematic maps.

      • KCI등재

        방사형 집수정의 취수량 추정식의 적용성 및 한계점 고찰

        김규범 ( Gyoo-bum Kim ),이호정 ( Ho-jeong Lee ),최명락 ( Myoung-rak Choi ) 대한지질공학회 2018 지질공학 Vol.28 No.3

        하천변에서의 대용량 강변여과수 개발은 방사형 집수정을 통하여 주로 이루어지는데, 초기 취수량의 산정을 위한 다양한 경험식이 개발되어 왔다. 안성천에 설치된 방사형 집수정을 대상으로 경험식을 활용한 초기 취수량을 추정한 결과, Babac, Kordas 및 Petrovic 방법은 실제 취수량 6,124 ㎥/d과 유사하나 Milojevic 방법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방법별 적용 조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각 방법의 입력 인자인 하천에서 집수정까지의 거리, 수평정의 개수, 대수층의 두께, 수평정의 길이, 수리전도도 등의 변화에 따른 추정식의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각 방법별로 일정 조건하에서의 추정식 사용이 요구되며, 특히 수리전도도는 취수량 결정에 매우 중요하므로 정확한 산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Radial collector wells have been widely used for large-capacity groundwater development in riparian environments, and many empirical equations have been developed for initial estimates of groundwater yield. We compare the initial yield estimates produced by several empirical equations for the radial collector well at the Anseongcheon stream site. The results of Babac’s, Kordas’, and Petrovic’s methods are similar to the actual yield of 6,124 ㎥/d, but Milojevic’s method predicts a higher yield than the observed valu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se methods are applicable explain th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and estimated yields. The applicability of empirical equations is evaluated by changing the input variables of distance from well to river, number of horizontal wells, thickness of aquifer, length of horizontal well, and hydraulic conductiv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ditions under which each method is applicable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when estimating groundwater yield, and hydraulic conductivity must be estimated accurately.

      • 농촌지역 지표수-지하수 연계 이용·관리를 위한 단위유역 적용 및 평가 방안

        김규범 ( Gyoo-bum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농촌지역은 대하천 주변 뿐 아니라 하천 상류의 지류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가뭄 등 물 문제에 취약하다. 농촌지역의 용수 공급은 주로 저수지 및 하천에 의하여 이루어지나 지하수에 의한 용수공급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용수수급의 분석 및 공급 대책 수립은 주로 지표수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가뭄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하수를 포함한 수급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가뭄에 취약한 하천 상류 지역은 농번기 소하천의 고갈이 빠르게 발생하는 지역으로서 지하수 수원 확보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농번기 용수 확보를 위한 평가는 지표수-지하수의 연계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 분석은 단위 유역별로 수행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지표수-지하수의 연계에 기반한 수급 분석은 1차 또는 2차 지류를 포함하는 소유역 단위가 가장 적합해 보이므로, 이들 규모에 해당하는 지하수 단위유역의 설정이 필요하다. Rural areas are widely distributed not only near the large rivers, but also in tributaries upstream, and they are vulnerable to water problems such as drought. Water supply in rural areas is mainly provided by reservoirs and rivers, but also it is essential to supply groundwater. However, the analysis of water demand and supply has been mainly carried out on surface water, bu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lan including groundwater supply in order to prepare for drought. In particular, the upstream areas susceptible to drough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apidly depleting small streams during irrigation season and therefore securing of groundwater source is required. The evaluation to secure water during that season should be made from the viewpoint of interconne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based on the unit watershed. The sub-watershed unit includ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tributary looks adequate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nectivity,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 groundwater unit basin corresponding to these sizes in rural area.

      • KCI등재

        논문 : 충적층 입자 특성을 고려한 수평집수정 굴착 속도 추정

        김규범 ( Gyoo Bum Kim ),이정운 ( Jeong Woon Lee ),이치형 ( Chi Hyung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2

        강변여과수의 수평집수정 시공시 불균질성 지층에 의한 굴착 지연 등은 전체 굴착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지역에서 시공 중인 수평집수정의 굴착 과정에서 심도별로 취득된 입도분석 자료, 균등계수, 곡률계수를 활용하여 실제 굴착 속도를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균등계수와 곡률계수를 입력인자로 사용한 회귀식을 도출한후 타 수평집수정에 적용한 결과, 조립질이면서 분급이 양호한 지층에 추정식이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소규모의 하천을 대상으로 개발된 만큼, 향후 대하천 주변의 굴착 정보를 활용하여 추정식을 보완한다면 보다 정확한 설계 및 효율적인 시공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Delays in horizontal well drilling when encountering heterogeneous sediments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t a riverbank filtration site. Grain size analysis, including calculation of the coefficient of uniformity and the coefficient of curvature, was conducted on soil samples collected at each drilling depth during the process of drilling horizontal wells. These results were then used to develop a linear equation for estimating drilling velocity using the coefficient of uniformity and the coefficient of curvature as inputs. Testing of the linear equation in other horizontal wells indicates that the equation is most appropriate for coarse-sand-sized and well-sorted sediment.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region with small- to medium-sized streams, more data are needed from larger rivers to modify the general equation. Our results will provide better estimates of drilling velocity, in turn enabling more detailed design and more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at riverbank filtration sites.

      •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한 HRV 구현

        명관 ( Myung-gwan Kim ),권영만 ( Young-man Kwon ),규범 ( Kue-bum Lee ),상민 ( Sang-mi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사회가 풍요롭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상태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시대가 시작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간단하고 편하게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일상생활에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개인이 자신의 심박변이도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다. 보통 큰 병원에서나 사용 해야만 했던 부담감 대신 항상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맞게 대처 할 수 있다. 브레드 보드와 마이컴을 이용하여 SPO2 센서를 통해 들어온 신호를 PDA로 전송하고, 측정된 HRV(Heart Rate Variability : 심박변이도) 신호를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PDA의 화면에 그래프로 나타내는 GUI 환경의 시스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