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휴대폰 카메라와 ‘사진 찍기’

        김경화(Kyounghwa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1

        이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이용한 신체적 실천이라는 시점에서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일상적 사진 찍기에 대해 검토했다. 디지털 카메라와 결합한 휴대폰 카메라의 대중적 보급과 더불어, 사진 찍기 실천은 누구나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습관적 행위로 변모하고 있다. 사회적, 의례적 (Sontag, 1977)인 이벤트에서 개인의 시각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문화적 실천(van Djick, 2007, 2008)으로, 더 나아가 주체조차 의식하기 어려운 일상적, 습관적 행위로 변화하고 있는 사진 찍기를 실천적 측면에서 고찰했다. 미디어 고고학적 접근법을 빌어, 사진집 <숨겨진 엄마(The Hidden mother)>(2013)를 통해 밝혀진 다게레오타이프 사진을 분석함으로써 일상적 시각 기록 장치와 신체 양식의 관계를 드러내고, 이를 통해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찍기의 신체적 실천을 고찰했다. 다게레오타이프를 이용한 사진 찍기와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찍기를 병치함으로써, ‘셀카’를 비롯해 새로이 등장한 사진 찍기 실천의 의미를 시각 장치와 신체의 관계라는 차원에서 검토했다. 특히 사진 찍기 실천에 있어서 주체와 피사체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어, 편재하는 사진 찍기가 네트워크 문화와 결합한 새로운 국면에 대해 고찰했다. With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media with digital camera, the phototaking has increasingly become a banal and habitual practice. While previous research tends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and ritual aspect of photography (Sontag 1997) or its creative role to build personal identity in cultural arena such as cyberspace (van Djick 2007, 2008), this paper concerns the everydayness of mobile photography from a view point of the bodily practice. Through a media archaeological study on the collection of old daguerreotype photographs, it will seek to explore the hidden aspect of body-technology relations (Richardson & Wilken, 2012) between camera and cultural practice to use it. Drawing upon this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pparatus and bodily practices, it will juxtapose and further discuss the practical mode of mobile photography and phototaking practices of mobile media such as selfie, as a way to reveal its multifaceted aspect to traverse body and image, online and offline and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It will also argue for the possibility of a media archaeological method that excavates a cultural and practical dynamism in researching digital media.

      • KCI등재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경화(KyoungHwa Kim),석혜은(HyeEun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8편의 연구들을 발표된 시기별로 양적 변화추이를 살펴본 후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는1990년부터 발표되었고,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5년부터였다. 특히 2009, 2013, 2016, 2021년에는 연구의 양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토픽모델은 계량적 지표와 정성적 기법을 종합하여 4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매체 교육’, ‘교육 내용 및 영역’,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한편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는 양적으로 매우 적어, 본 연구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To this goal, we examined the quantitative change trends in 308 studies by publication period and then analyzed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Domestic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research has been published since 1990, and discussions began in earnest in 2005. In particular, a quantitative increase in research was confirmed in 2009, 2013, 2016, and 2021. For the Topic Model, a model consisting of four topics was selected by combining quantitative indicators and qualitative techniques, and was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media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and area',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d. Meanwhil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which is emphasized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is quantitatively very small,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

        ε-Ga<sub>2</sub>O<sub>3</sub> 박막의 성장과 상전이를 이용한 고품질 β-Ga<sub>2</sub>O<sub>3</sub> 박막의 제조

        이한솔,김소윤,이정복,안형수,김경화,양민,Lee, Hansol,Kim, Soyoon,Lee, Jungbok,Ahn, Hyungsoo,Kim, Kyounghwa,Yang, Min 한국결정성장학회 2021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31 No.1

        Ga2O3의 준 안정상인 ε-Ga2O3는 육각형 구조나 준 육각형 구조를 가지는 기판들과 정합성이 우수하여 β-Ga2O3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낮은 표면 거칠기와 결함 밀도를 갖는 박막을 얻을 수 있다. 이에 ε-Ga2O3를 고온에서 열처리하면 β-Ga2O3로 상전이 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와 결함 밀도가 낮은 고품질 β-Ga2O3 박막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고품질 ε-Ga2O3 박막의 성장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갈륨과 산소의 공급 유량 비율에 따른 Ga2O3 박막의 구조적, 형태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유량 비율을 조사하였다. 추가로 열처리 조건과 ε-Ga2O3 박막에 혼입된 β-Ga2O3가 상전이 이후 β-Ga2O3의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조사하였다. ε-Ga2O3, a metastable phase of Ga2O3,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substrates having a hexagonal structure or a quasi-hexagonal structure, so that a film having a relatively lower surface roughness and defect density than β-Ga2O3 can be obtained easily. Accordingly, we attempted to fabricate a high-quality β-Ga2O3 film with a low surface roughness and defect density using the property of phase transition to β-Ga2O3 when ε-Ga2O3 is annealed at a high temperature. For this, the growth of high-quality ε-Ga2O3 films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the optimal flow rate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ε-Ga2O3 film according to the supplied precursor ratio. In addition, the annealing condition and the effect of β-Ga2O3 mixed in the ε-Ga2O3 film on the crystallinity of β-Ga2O3 after phase transition were also investigated.

      • KCI등재

        성인 여성의 기성복 치수에 관한 연구

        김경화,남윤자 한국의류학회 2004 한국의류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fundamental data on a suitable sizes of ready-to-wear for wome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00 female of 18 to 24 years old. They were measured direct anthropometry. Height, bust girth, waist girth and hip girth were grouped by KS interval. Data were analyzed by use of Cross Tab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ody group of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summed up as follows. Height was divided into 4 section(155-170), bust girth was divided into 7 section(76-94), waist girth was divided into 6 section(61-76) and hip girth was divided into 9 section(84-100). The characteristics of cross tab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ection with application ratio are 155-160cm of height, 82-85cm for bust girth, 64-70cm for waist girth and 86-94cm for hip girth. The sies of high cover ratio of well-fitting jacket, dress, coat and one-piece was 17 sizes, well-fitting an upper garment and the whole body garment item except that was 16 sizes, and a lower garment was 21 sizes.

      • KCI등재

        페미닌 보이스: 여성 퍼포먼스 아트에서 목소리의 수행성과 젠더 롤 해체하기

        김경화 ( Kim¸ Kyoung Hwa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6 No.-

        현대 퍼포먼스 아티스트의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것은 우연일까? 예술 창작 주체의 몸과 목소리, 퍼포먼스 하는 육체성을 강조하는 퍼포먼스 아트가 여성창작자에 의해 주도된 창작 음악 씬이라는 사실은 우연의 결과로 보기 어렵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예술 창작의 주체자이기보다는 수행적 역할을 하는 존재였다. 서양 음악 문화에서 음악 창작과 그것을 수행하는 연주 영역은 이분법의 젠더 카테고리에 의해 남성과 여성의 영역으로 철저히 분리되어 왔다. 무대 위에서 노래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는 육체성을 디스플레이하는, 여성의 영역으로 오랫동안 간주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가 자신의 몸이 곧 표현 재료이자 수단인 현대의 퍼포먼스 아트는 젠더 통념에 따라, 남성 창작자보다는 여성 예술가들의 접근성이 높은 분야일 수 있다. 그러나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예술가는 단순히 누군가가 창작한 예술 작품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수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재료로 직접 작업하는 창작자로서 존재한다.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창작자들은 자신의 몸을 드러내며, 스스로가 만들어내는 소리를 통해 그들에게 부여된 젠더통념과 역할에 질문을 던진다. 이 연구는 여성 퍼포먼스 아티스트가 예술 창작의 재료로서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사용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특히 몸을 통해 만들어내는 특별한 소리인 목소리에 집중해 본다. 이 연구는 발화된, 혹은 노래 불린 목소리의 소리적, 재료적(material) 특성과 함께 단순히 표현의 개념을 넘어 ‘목소리 내기’를 통해 드러나는 목소리의 수행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독특한 보컬 사운드를 매개로 고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한 메러디스 멍크(Meredith Monk, 1942-)와 로리 앤더슨(Laurie Anderson, 1947-)의 퍼포먼스를 분석한다. Would it be just a coincidence that most of the modern performance artists are female? It is not just mere chance that performance art is a creative musical scene which is dominated by female artists. This performance art insists the performing body including one’s voice. Traditionally, women have just played a performing role given by male artist instead of being an agent in art. In the Western music culture, creating art and being the objects of display have been separated by gender binary. Displaying corporeality such as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n the stage has been considered as a women’s role for many decades. In this sense, according to the stereotypical notion of gender, modern performance art where artists become the material and the means of expressing art can be something that a female artist can approach easily compared to male artists. However in performance art, a female artist is not just an object of display. Instead, they exist as an agent of art who creates themselves as an artist using their body and voice. Eventually, this makes the female artists to challenge gender binary by exposing their body and voice.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of using female performance artists’ body and voice as musical materials for self-representation, especially the vocality.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sonic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uttered or sung voice, the performative meaning of the voice revealed through ‘voicing’ is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Meredith Monk and Laurie Anderson who created their own artistic world using their body and vo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