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 설계 및 구현

        김경래,최홍락,김경석,Kim, Kyeong-Rae,Choi, Hong-Ra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As the information age enters, the use of biometrics using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uthenticate each individual's ident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m,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 and demodulate, so it has high security, high precision, and easy user acceptance. However, the accuracy may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r the surrounding ligh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ide-type finger vein recognizer that is highly versatile among finger vein measuring devices, and authenticated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of DenseNet-201 for high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rar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rounding visible light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simulations used data from MMCBNU_6000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nger vein images taken directly were used, and the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EER.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증하는 것은 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체를 활용한 생체인식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중 지정맥 인증 기술은 위조 및 복조하기 어려워 보안성과 정밀도가 높고 사용자 수용성이 용이하여 사회적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주변의 빛의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맥 측정 장치 중 활용성이 좋은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높은 정확도와 인식률을 위해 DenseNet-201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인증하였으며 사용하는 적외선 광원과 주변 가시광선의 영향에 따른 지정맥 인증 기술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북대의 MMCBNU_6000과 직접 촬영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고 EER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진 프레임 기술자를 이용한 유사중복 동영상 프레임 단위 정합

        김경래(Kyung-Rae Kim),이준태(Jun-Tae Lee),장원동(Won-Dong Jang),김창수(Chang-Su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5 방송공학회논문지 Vol.20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ecise frame-level near-duplicate video matching algorithm. First, a binary frame descriptor for near-duplicate video matching is proposed. The binary frame descriptor divides a frame into patches and represent the relations between patches in bits. Seconds, we formulate a cost function for the matching, composed of matching costs and compensatory costs. Then, we roughly determine initial matchings and refine the matchings iteratively to minimize the cost function.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efficient performance for frame-level near duplicate video matching.

      • KCI우수등재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3)

        김경래(Kim Kyunge rae)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본연구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아비담마 개념인 ‘바왕가(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세 번째 논문이다. 논자는 바왕가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빠알리(Pāli)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고유한 아비담마 체계의 특징 및 전개사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향후 ‘초기불교’의 (전승자들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대변자로 여겨지고 있는 테라와다 전통의 성립과정과 역사성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조망해보고자 한다. 앞서 논자는 초기의 바왕가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와 『뻬따꼬빠데사(Peṭakopadesa)』에서 발견되는 바왕가 용례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초기 바왕가 개념은 윤회를 활성화 시키는 ‘존재(bhava)의 요소(aṅga)’, 특히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하는 용어였음을 확인했다. 이후 『밀린다빵하(Milindapañha)』에서 바왕가는 꿈꾸지 않는 깊은 수면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규정된다. 그리고 이 용례들을 기점으로 바왕가는 심법의 범주에서만 다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심의 비활동 상태와 연속성을 변호하는 특수용어로 거듭나게 된다. 바왕가가 아비담마 전문용어로서 인식과정이론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빳타나(Paṭṭhāna)』에 이르러서였다. 『빳타나』제1권에는 바왕가가 총 10회(8문장)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바왕가는 심법으로서 ‘이숙-무기심’에 해당하고, 전향과 바왕가심에게 무간연으로 조건이 되어준다. 이상의 논의들에 이어 본 논문에서는 『빳타나』제2권의 용례들 중 심소법과 관련된 17가지 문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바왕가가 다섯 가지 ‘禪의 요소들’ 중 네 가지 심소법들(伺, 喜, 樂, 捨)과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며, 삼계와 출세간에서 모두 발생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abhidhamma terminology ‘bhavaṅga’ which is found in the abhidhamma treatise Paṭṭhāna (Vol.2). Throughout this series of articles, I shall scrutinize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in Southeast Asia. The first written mention of the term bhavaṅga is in the Nettipakaraṇa and Peṭakopadesa. These two texts convey the earliest usage of the term which defines it as a factor (aṅga) of existence (bhava) or the twelve link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The Milindapañha shows us the next step for the doctrinal development of the term. The term bhavaṅga in this text is described as a non-active state of mind, rather like a dreamless deep sleep. The Paṭṭhāna is the first text that describes bhavaṅga as a sophisticated abhidhamma terminology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occurrences of bhavaṅga in the Paṭṭhāna Vol.1 and 2 reveal that it is the resultant indeterminate (vipākaavyākata) as well as conditioning for the adverting (āvajjana), the death consciousness (cuti-citta), or rebirth consciousness (upapatti-citta) as the proximate condition (anantara-paccaya). Furthermore, the bhavaṅga possibly arises with four kinds of the mental factors (cetasikā) which are called the sustained application (vicāra), the zest (pīti), the pleasant (sukha) and the equanimity (upekkhā). Given that these mental factors are the constituents of meditation (jhāna), the bhavaṅga arises throughout the spheres, namely, from the sense-sphere to the supramunda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학집요(聖學輯要)』의 맥락적 이해, 그리고 두 개의 키워드 - ‘유속(流俗)’과 ‘우유(迂儒)’

        김경래 ( Kim Kyung Rae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5

        이 글은 『성학집요』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텍스트의 내적 분석에 치중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이이가 인식한 당대의 정국 상황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이는 진퇴를 반복하는 가운데, 홍문관에서 근무하던 선조 6년 9월부터 선조 8년 9월까지 약 2년의 기간 동안 『성학집요』를 본격적으로 구상하고 집필하였다. 당시의 정국은 이이가 각종 개혁안을 둘러싸고 현임 대신과 충돌하면서 그들을 경계하는 가운데, 향약 시행 논쟁 등을 통해 후배사류와의 의견 차이를 확인한 이후였다. 현임 대신들이 변화를 거부하며 현상 유지나 신중론을 견지하였다면, 후배사류들은 성급하고 무모하게 즉각적인 ‘삼대지치의 회복’을 추구하였다. 이에 이이는 『성학집요』에 ‘삼대지치의 회복’을 의도적으로 방해하는 위험한 존재로 ‘유속’을, 전략적 사고의 결여로 인해 의도치 않게 이를 지연시키는 존재로 ‘우유’를 등장시켰다. 전자가 이이가 정치적 ‘적’으로 규정하고 가장 적대시하던 대상이었다면, 후자는 정치적 ‘동지’로 간주하였으나 점점 틈이 벌어지며 결국엔 동인(東人)으로 갈라진 집단이었다. 유속과 우유에 대한 이이의 인식과 규정은 이전 그의 여러 글과 글에서도 나타나지만, 『성학집요』는 이를 가장 명료하게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성학집요』를 통해 이이는 국왕 선조에게 이 둘 모두의 태도를 지양하기를 촉구하였고, 이는 그가 이 책을 집필하고 선조에게 진상한 이유이기도 하였다. In contrast to existing studies on the Sŏnghakchibyo that are concerned with internal analysis of the text itself, this article endeavors to interpret the work with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neous political circumstances as perceived by the text’s author, Yi I. Amidst continued changes in his station, Yi I conceived of and authored the Sŏnghakchibyo (Essentials of the Learning of the Sages) over two years between September 1573 and September 1575 (years 6-8 of King Sŏnjo’s rule) while working in the Hongmun’gwan.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era was such that Yi I clashed with the serving ministers over various proposals for reform and was wary of them. This was subsequent to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himself and junior officials having been proven in debates regarding the enactment of community compacts (hyangyak), among other matters. Whereas the serving ministers rejected change, adhering to prudentialism and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e junior officials were impatient and imprudently sought an immediate “restoration of ideal governance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samdae chich’i).” Accordingly, Yi I introduced two types of figures in the Sŏnghakchibyo: the conventionalists (yusok), dangerous individuals who intentionally sabotage the restoration of ideal governance, and the careless literati (uyu), who unwittingly delay the process due to a lack of strategic thinking. Whereas Yi I characterized the former as political enemies and regarded them with hostility, he considered the latter political allies. But as the rift between them grew gradually wider, this latter group ultimately split off to become Easterners (tongin). Though Yi I’s awareness and classification of the conventionalists and careless literati appear in his earlier writing as well, the Essentials of the Learning of the Sages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ains the most articulately formulated account of his thought on them. Through the Sŏnghakchibyo, Yi I implored King Sŏnjo to reject both of these stances, which was his reason for authoring the book and offering it to the king.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시민성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시대적 화두인 제4차 산업혁명은 물리학, 디지털, 생물학의 기술적 융합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융합은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적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부정적인 견해들 모두 민주주의의 강화를 역설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제4차 산업혁명이 권력의 집중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민주주의의 강화를 위한 시민성 즉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시민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적 변화를 야기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는 그에 맞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민주주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시민성에도 유효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인 시민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자유주의적 그리고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다. 시민성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관련해 본 논문은 공동체 안에서 시민 개개인의 자유를 위한 권리와 의무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신공화주의적 관점에서 권리와 의무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중요한 가치인 자유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관련해 본 논문은 자의적 권력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는 스키너(Skinner)의 주장에 근거해 정치적 성취를 위한 시민적 덕성으로부터 자유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중요시 여기는 의무와 관련해 페팃(Pettit)의 비지배의 자유 개념에서 의무를 위한 법의 준수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곧 자의적 권력의 부재와 비지배의 자유를 바탕으로 한 시민성은 권력의 집중으로 인해 야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민주주의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topic of the times,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physics, digital and biology that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a paradigm shift in society.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 the strengthening of democracy. This is becau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ausing a concentration of power.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citizenship for strengthening democracy, and citizenship need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aradigmatic changes to be expect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a shift of thinking to match them. This transformation of thinking is also valid for citizenship for the smooth functioning of democracy. With regard to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bout citizenship,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to discuss rights and obligations from a neo-republican perspective in order to articulat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individual citizens in the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bout freedom, which is an important value from a libertarian point of view, this paper has sought the meaning of freedom from civic virtue for political achievement based on Skinner s argument that it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arbitrary power. We have also worked Pettit’s view of compliance with the duty of duty in the concept of freedom of non-domination in relation to the obligation of importance from a republican point of view. Such attempts are an important element of democracy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power, based on the absence of arbitrary power and the freedom of non–domination.

      • 통일후 동독지역 엘리트 변화

        김경래(Kim, Kyung Rae)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1 한반도미래연구 Vol.5 No.1

        동서독의 통일은 동독 주민들의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한 민주적, 평화적 통일이었다. 동독 주민들의 지지에 의해 선택된 대표자들이 서독의 정치인들과 협상을 벌여 독일연방공화국의 새로운 주로 편입하는 방식을 택한 통일이었다. 통일 후 30년이 지난 현재의 동독 출신의 주민들은 전반적으로 통일된 사회에 만족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다른 한편 동독 출신의 주민들은 자신들을 2등시민으로 여기는 현상 또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중적인 모습에 대해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원인의 하나로 통일된 독일 사회에서 동독 출신이 엘리트의 지위에서 과소대표되는 현상에서 찾고 있다. 비록 대의민주주의 체제라는 특성상 정치 분야에서는 과소대표 현상이 심하지 않지만 경제, 언론, 군대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과소대표되고 있기 때문에 동독 출신의 주민들은 자신들을 대변해줄 수 있는 엘리트의 부족 그리고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 상승의 기회가 현실적으로 부재한다는 인식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비록 통일 직후 서독 출신들이 동독 지역의 엘리트로 충원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사회통합의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133결론이다. The 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was a democratic and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the free will of East German residents. It was a reunification in which representatives selected by the support of East German residents negotiated with West German politicians and incorporated them into the new state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irty years after reunification, residents from East Germany tend to be satisfied with a unified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East German residents also see themselves as second-class citizens. Various causes have been raised for this dual appearance. This paper finds that in a unified German society as one of the causes, East Germans are underrepresented by the elite. Although there is not much underrepresentation in the political field due to the nature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However, it is underrepresented in most areas, including the economy, the media, and the military. For this reason, residents from East Germany feel that they lack the personality to represent themselves, and think that there is no chance of their social status rising. The paper concludes that people from West Germany are forced to be filled with elites in East Germany immediately after unification, but in the long run, it is acting as an obstacle to social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