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데이터 분야 동향 분석 - SCOPUS DB를 중심으로 -

        금효진,김선태 한국비블리아학회 202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의 연구데이터 관련 연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데이터 학술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적을 달성하고자 Scopus DB에 게재된 학술논문 14,921편을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 및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술지 게재 시기에 따라 1기(2010-2014년), 2기(2015-2019년), 3기(2020-2024년)로 구분하여 UCINET을 활용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시기에 상관없이 연구되는 주요 키워드와 기간별로 주목받는 키워드, 시간이 지나면서 관심이 줄어드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최근 15년간 연구데이터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주제는 데이터 공유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들이 대부분 매개 중심성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연구데이터 분야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research data academic papers from 2010 to 2024 to understand the research status of research data over the past 15 years. To achieve this goal,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14,921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Scopus DB.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 which wa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 (2010-2014), second period (2015-2019), and third period (2020-2024) according to the period of publication of academic journals, revealed the main keywords studied regardless of the period, the keywords that attracted attention by period, and the keywords that decreased in attention over time. It was found that the most active topic of research data-related research in the last 15 years is data sharing, and most of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lso have high Betweenness Centr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research data in Korea.

      • KCI등재

        초등학교 기초학력 책임지도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김연주(金娟姝),김석우(金石右),이승배(李承倍),서문효진(西門孝進)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2008년 이후 단위학교 기초학력 책임지도제의 세부 프로그램 및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의 운영성과가 반영된 단위학교 기초학력 책임지도제가 일반 단위학교에서 전반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교원의 배경변인(업무유무, 소속 학교 급지, 경력, 담당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자체점검표와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배포한 2012 학교중심학력증진 종합 계획을 연계하여 설문지를 작성, 조사하여 집단별 빈도, 평균,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기초학력 책임지도의 목적 및 계획에 대한 이해 및 계획구체성 정도에 대한 실태는 비교적 높은 반면 담임교사와 저 경력 교사의 의견 반영 정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기초학력 책임지도 운영 실태 면에서 프로그램의 활용이 미비하고 실적위주의 이력관리가 이루어지는 바, 진단 및 선별 체제는 잘 구축되어 있으나 실제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사후 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셋째, 기초학력 책임지도 운영을 위한 환경조성 면에서 교사들의 직무연수 및 학습부진 관련 동아리 참여, 장학 참여도, 학습부진 학생 지도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인식 등이 낮은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따라, 성공적인 기초학력 책임지도의 운영과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 책무성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 인식 하에 진단-지도-평가-이력관리 체제의 내실 있는 구축 및 실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of accountable instruction for basic learning skill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Objects of the survey are the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Korea, using the accountable instruction for basic learning ab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planning process of the accountable instruction process, teacher’s involvement was inadequate. Through this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there are still obstacles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the plan of educational policy level. Second, on promoting process of the accountable instruction, application of supporting programs was insufficient. It means the regular teachers had less information about accountable instruction and supporting programs than the teachers in charge of task for accountable instruction. Therefore, ensuring the management system about after selecting teaching for underachieved students and reorganizing the law and institution for effective use of the various compensation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7∼9세 아동의 단축감각력 발달적 기준에 관한 일연구

        김미선,지석연,금효진,김성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감각조절장애는 감각처리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군이다. 이러한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Short Sensory Profile은 감각조절의 어려움을 선별하는 평가도구로 만 3세에서 10세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hort Sensory Profile을 번안한 단축감각력의 국내 표준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7∼9세 정상발달아동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간의 차이와 미국의 표준점수와의 비교 및 단축감각력 문항의 점수별 응답 비율을 조사하여 검사도구 문항으로 적합한지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축감각력을 사용하여 남학생81명, 여학생 74명을 조사하였다. 결과 : 1.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성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평균과 1SD범위를 미국의 Short Sensory Profile 표준점수기준의 정상범주와 비교하였을 때, 하부영역과 총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4.단축감각력 각 문항별 응답비율을 분석해 보았을 때 일반아동에게 50% 이상 나타나는 항목이 6문항이었다. 결론 : ∼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성별,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이 연령집단의 아동들에게 같은 분류기준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평균과 1SD범위를 미국의 Short Sensory Profile 표준점수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하부영역과 총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각 문항의 비율에서 일반아동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항목이 6개 있었다. 따라서 단축감각력에 대한 문항분석과 만 3∼10세 전 연령을 포함한 국내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Background : Theory of Sensory Integration (SI) was initially developed with an effort to understand children’s behavior by Jean Ayres and has been evolved with extensive research by occupational therapis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since in the latter of the 20 century. With extension of recognition to SI, various professions begin to refer their clients who are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Upon those referrals, occupational therapists normally use Short Sensory Profile (SSP) to screen and decide whether SI therapeutic intervention is needed or not. Objective :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any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and genders for children who are seven to nine years old; (2) to compare the score results of those Korean children with the original Standard which is established for American children: and (3) to compare tendency of response for each item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SI dysfunc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validate test items of the SSP and determine whether the original standard of SSP is applicable for Korean children. Method : 155 students (81 for male, 74 for female) underwent SI evaluation using the Korean-translated SSP. 52 student (22 for male, 30 for female) were 7 years old, 54 students (32 for male, 22 for female) were 8 years old, 49 students (27for male, 22 for female) were 9 years old. Results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SP score by neither age nor gender. In comparison the average score and sensory integrative disorder with the American Standa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n score of sub-item and total score. For six item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endency of respons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SI dysfunction. Conclusions : It is concluded that the original standard is suitable for Korean children aged seven to nine. The six test items that children without SI dysfunction shown similar tendency to respond are questionable to be appropriate as screening test item. It is suggested to proceed to do further item analysis study and extend the study to broad age groups, so develop the most appropriate Standard of SSP for Korean children.

      • KCI등재

        만 7∼9세 학령기아동의 감각통합 임상관찰평가의 발달기준에 관한 일연구

        지석연,김미선,금효진,김성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1

        서론 :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을 평가할 때, 기초적인 요소로써의 감각, 운동에 관한 신경근계 검사로써 임상관찰을 사용하는 것은 표준화된 검사들을 보완하는 것과 더불어 보다 정확한 추론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COMPS(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는 임상관찰의 일부 내용을 7개 항목으로 정리하여 통계적으로 표준화 한 검사도구로서 아동의 문제가 신경근계와 감각통합에 기인한 것인지를 보다 간소한 과정을 거쳐 선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부분적으로 국내 아동의 점수가 외국규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국내 적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반아동에게 COMPS를 실시하여 국내의 정상군 검사결과와 항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발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7∼9세 남학생 76명, 여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대별로는 7세군에서 남학생 21명, 여학생 29명, 8세군에서 남학생 32명, 여학생 22명, 9세군에서 남학생 23명, 여학생 19명이었다. 결과분석은 COMPS 항목에 대한 성별, 연령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남녀 성별간에는 복와위 신전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 결과는 7세와 9세간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보이는 항목이 느린 동작, 손가락-코 짚기, 비대칭경반사, 배와위 굴곡이었고, 8세와 9세간에서는 느린 동작, 손가락-코 짚기, 비대칭경반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7세와 8세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의 7∼9세 사이의 임상관찰검사를 통한 신경근계의 발달적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대상을 보다 확대하여 국내인구에서의 임상관찰평가를 표준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troduction : Occupational therapists commonly use clinical observation to assess neuromuscular function witch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COMPS) is a standardized assessment with seven items and used to screen if a child’s problem is due to neuromuscular and sensory integration system. However, developmental standard of the test need to be validated with Korean children. Objective : This study is purposed to propose developmental standard of the COMPS for Korean children. Method : Seven to nine years old students (76 male and 70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any difference by gender and ag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Results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for all other items except Prone Extension Position (PEP).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ho are 7 years old and those who are 9 years old for Slow Motion(SM), Finger-Nose Touching (FNT), 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ATNR), Supine Flexion(SF). There i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are 8 years old and 9 years old for SM, FNT, ATNR.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are 7 years and 8 years old.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s any difference in neuromuscular characteristics by age among school-aged children, based on the COMP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good evidence to establish developmental standard of COMPS for Korean children. It issuggested to continue further standardization work of the COMPS in order to establish a developmental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 차량제한(vehicle limits)에 대한 국가별 비교 및 작업치료사의 역할 제시

        정유경,최원석,안수빈,박세영,금효진,정민예 한국운전재활학회 2022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Vol.4 No.1

        목적 : 본 연구는 조건부 운전면허 중 차량제한(vehicle limit)에 대한 국가별 사례를 비교해보고 자율주행까지 범 위를 확대하여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조건부 운전면허 중 신체 및 인지능력 보조를 위한 차량의 개조 및 특정 보조기기 부착조건의 차량제 한 제도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체장애를 기준으로 특정 차량 또는 보조기기 부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반해 영국과 호주는 의학적 진단명에 따른 운전허용 기준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작업치료사의 평가와 관련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개인 맞춤형 차량의 개조 및 보조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자율주행시대를 반영한 운전면허 제도 개선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의 시대에 운전자는 새로운 기기의 조작 및 상황대처 능력 등 인지 적 능력이 강조될 것이며, 신체 장애인의 승하차에 대한 중재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될 것이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차량제한에 있어서의 호주, 영국과의 비교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와 역할 확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review vehicle limits among conditional driving license system focused on the Australia and England, and expand the scope to autonomous driving to find out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Among conditional driving license, there is a vehicle limits, that is vehicle modification and attaching assistive device, for assisting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In South Korea, it is mandatory to provide vehicle modification or attach assistive devices based on physical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England and Australia have established driving permission standards according to medical diagnosis conditions, and they provide personalized vehicle modifications and assistive devices through evalu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onsultation with related experts, if necessary. A movement to improve the driving license system reflecting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is underway.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drivers will emphasize their cognitive abilities, such as the ability to manipulate new devices and cope with situations,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getting in or out of vehicl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ll still be required. Conclusion : Therefore, the scope and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ill expan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evaluating and improving drivers’ cognitive and physical abilitie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의 부모에게 감각통합 중심의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혼합 연구방법 사례연구

        최준수 ( Choi Jun Su ),최윤미 ( Choi Yoon Mi ),금효진 ( Keum Hyo Jin ),이경아 ( Lee Gyeong A ),정민예 ( Jung Min Y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감각 조절 문제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2021년 4월 13일부터 5월 25일 동안 매주 1회, 1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종료 2주 후 사후 회기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감각식이는 실행연구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아동과 부모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질적자료와 양적자료를 사용하였다. 질적자료는 문서자료, 관찰 및 인터뷰, 동영상, 아동 작업수행 프로파일 및 일과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양적자료는 양육스트레스 검사, 양육효능감 척도, Sensory Profile 2를 통해 수집되었다. 아동은 감각식이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행동의 감소를 보였으며, Sensory Profile 2 검사 결과 모든 영역에서 원점수의 감소를 보였다. 프로그램 실행 후, 부모는 아동 학업지도, 문제행동, 부모 교육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 태도 및 관점 변화를 나타냈다.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는 74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육효능감 척도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향상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은 부모의 양육 태도, 관점, 스트레스 및 효능감 지수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부모의 경험과 성찰이 담긴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mote parent education on improving sensory regula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 well as reducing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enhancing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remot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n hour, starting from April 13, 2021, and ending on May 25, 2021.A follow-up session was held two weeks after the program's completion. The implementation of a sensory diet, following the action research process, served as the intervention method. The study collect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to assess the changes in both children and parents. Qualitative data were obtained through document analysis, observations, interviews, videos, and assessments of child work performance profiles and schedule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measures such as the parenting stress test, parenting efficacy scale, and Sensory Profile 2. The child showed a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sory diet, as indicated by decreased scores in the Sensory Profile-2 across all domains. Moreover, parents exhibited improved attitudes and perspectives towards the effects of academic advising for their children, managing problem behavior, and participating in parent education. The parenting stress test scores decreased from 74 to 71 points, and the parenting efficacy scale scores improved in all domai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itive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perspectives, stress levels, and efficacy indices among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inclusion of parent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dded significance to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