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지진응답해석

        권혁기 ( Kwon¸ Hyek Kee ),이종근 ( Lee¸ Jong Keun ),안상로 ( Ahn¸ Sang Ro ),신은우 ( Shin¸ Eun Wo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references of maintenance and design of Gravity Concrete Dams by analyzing dynamic characteristics in x, y, z directions when earthquakes occur. We consider gravity concrete dams such as Chunchon, Paldang and Chungju dam in Han River basin as some cases.

      • KCI등재

        일본과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전략 비교 : 정부개발원조(ODA) 및 해외직접투자를 중심으로

        권혁기(Kwon Hyuck-Ki) 한국아프리카학회 200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9 No.-

        In terms of ODA, Japan's development aid has changed from the past ideal of being based on requests and being separated from politics and economy, and that while advocating the utilization of the Asian experience, Japan has implemented its aid politics in cooperation with the Western countries. China cannot involve itself in African countries alone and thus must keep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ther donors in mind. Many of the Japanese companies that had moved into Africa in the 1960s and 1970s had retreated by the 1980s, a new type of investment(such as Toyota) with a large sum of capital per investment, although with limited numbers of projects, emerged in the 1990s. China's aggressive policies toward Africa in recent years have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and have sometimes attracted criticism. China seems to be perplexed as it tries to construct a new economic relationship with Africa.

      • KCI등재

        서비스종사원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감정부조화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혁기(Kwon, Hyeok Gi),박봉규(Park, Bong Gyu)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8 No.1

        Though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in service workers is very important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the extant study has not yet studi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hypotheses were suggested and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gathering were perform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the samples of 217 encounted service employees from hotels, airlines, and retailers.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issonance. Second, emotional dissonance does show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negatively, and on burnout positively. But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does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dissonanc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teresting suggestions on the subject of emotional labor. Service firms should emphasize the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to decrease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and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authenticit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research topics to be studied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서비스종사원의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 및 직무태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비스업종 고객접점 종사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및 직무태도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과 감정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감정노동의 내면행위는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재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고객접점 종사원들이 인지하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직무와 관련된 감정부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감정노동의 내면행위는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실제정서와 표현정서 사이의 차이가 큰 표면행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감정부조화 간의 영향관계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관계를 완화시키는 변수를 발견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권혁기(Kwon, Hyukki),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2018GOMS)와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각 대학의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대졸자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수준의 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개인 수준의 성별, 연령, 부모의 자산규모, 전공계열, 졸업 평점, 어학연수 경험이 졸업 후 대졸자의 임금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수준에서는 소재지, 설립유형, 학생 1인당 재정지원실적이 임금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 졸업 후 높은 임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로의 이행이 필수적이다. 비록 개인 배경이나 대학 배경과 같이 대졸자 개인의 노력으로 바꾸기 어려운 변인들이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는 하지만, 개인 및 대학 차원의 노력과 교육지원 변인들도 임금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질적 수준이 뛰어난 직장으로 이행하기 위해서 대졸자는 자신의 역량을 계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은 재학생이 뛰어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 구축에 노력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individual and university-level variables affecting the wages of college graduates by using the 2017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data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8GOMS) and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published on the "Higher Education in Korea“(Daehak Alimi) web-si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level gender, age, parental asset size, major, graduation grade, and language trai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level of college graduates. and at the university level,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establishment type, and financial support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level. In conclusion, in order for enrolled students to form high wages after graduation, transition to quality jobs is essential. although variables that are difficult to change due to individual college graduates" efforts, such as individual and university backgrounds, are affecting the wage level,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vidual and university-level efforts and educational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age level. in other words, in order to transition to a job with an excellent quality level, college graduates need to actively strive to cultivate their competencies, and universities should enhance efforts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enrolled students can develop excellent competencies.

      • 호텔 직원의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권혁기(Kwon, Hyeok-Gi),추승우(Choo, Seung-woo)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15 관광산업연구 Vol.9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and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in small and middle scale of hotels. This model tests various theoretical research hypotheses relating to organization commitment,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and Affective career commitment. To verify them, using a sample of 209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in Busan, Ulsan, and Pohang, this study analyses empirically o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 commitment influence innovational orientation. Second, career commitment influence innovational orient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areer commitment as moder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The study provides commitment and policy-HRM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t allow them to explore significant managerial insights so as to develop appropriate policy in small and middle scale of hotel enterprises.

      • KCI등재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권혁기(Kwon, Hyukki),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일치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변수 간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년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6GOMS)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만족도는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대학 재학 중 경험한 전공교육과 교육인프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에서 부여받은 업무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일치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일치도에 따라서도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여성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취업 후 직장에서 경험하는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남성 대졸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일한 교육을 경험하더라도 성별 변인에 따라서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대학은 재학생들이 취업 후 만족스러운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제고에 힘쓰면서도,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성과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그 원인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합한 대학 운영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job match,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and to find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paths between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data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6GOMS) for college graduates in 2017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fter employ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educ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experienced while attending colle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 assigned. Second, job matching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partial parametric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may directly affect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but indirectly, i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match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had a relatively higher static impact (+) than male college graduates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experienced at work after employment. This means that even if the same education is experienced, the effect on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gender variables. In conclusion, universities should work h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after employment, but should closely examine the causes of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perform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