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사자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활성

        류희영,김영관,권인숙,권정숙,진익렬,손호용,Ryu, Hee-Young,Kim, Yung-Kwan,Kwun, In-Sook,Kwon, Chong-Suk,Jin, Ing-Nyol,Sohn, Ho-Yo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4

        식용 및 약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산사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의 thrombin time(TT) 및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증가 활성을 측정하여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산사자의 항혈전 물질은 물 추출보다는 메탄을 추출이 적합하며(추출효율 40.4%), butanol 분획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사자의 butanol 분획물은 1.25 mg/ml의 농도에서 835%의 TT 증가, 315%의 aPTT 증가를 보여 아스피린보다 2.9배 이상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혈전 활성은 기존의 보고된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 및 rutin과는 무관하였다. 또한 산사자의 활성물질은 0.5 N HCl 처리시 120분 이상 안정하였으나, $100^{\circ}C$, 30분 열처리에는 85% 이상의 활성소실이 나타나 열에 매우 민감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열 처리와 적합한 가공 공정이 가능하다면 산사자 추출물이 혈액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fructu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has been used as medicinal and food source in worldwide. In this study, a strong direct thrombin inhibition and antithrombosis activity were identifi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C. pinnatifida Bunge fructus. The solvent fractionation of fructus extract using hexane, ethylacetate, butanol revealed that the butanol fraction has a prominent antithrombin activity. Thrombin time(blood-clot formation time)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extended to 835% and 315% by addition of the butanol fraction at concentration of 1.25 mg/mL, whereas thrombin time extended to 287% by addition of aspirin at concentration of 1,25 mg/mL. The butanol fraction showed anthrone-positive and weak ninhydrine-postive reaction. The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was not related to previously reported flavonoids or polyphenols. The activity was maintained against acid treatment(0.5 N HCl for 120 min), but rapidly lost by heat-treatment($100^{\circ}C$ for 30 min). Our results suggested that fructus of C. pinnatifida Bunge with non-heat treatment process could be developed as a natural source of antithrombosis.

      • KCI등재

        영여자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안선미,장한수,권인숙,손호용,Ahn, Seon-Mi,Jang, Han-Su,Kwun, In-Sook,Sohn, Ho-Yong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영여자는 마의 주아를 말하며, 년간 생마 생산량 5,000 톤의 절반인 2,500 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영여자는 다음해 마의 종자로 일부 이용될 뿐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여자의 새로운 생물소재 가능성을 검토하고 생마에서 보고된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영여자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로부터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의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영여자 메탄올 추출물은 마의 그것과 유사하게 다량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총 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2배, 3.4배 높았다. 항균 활성의 경우,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나 전반적으로 마와 유사하였으나, 부가적으로 S. aureus에 강한 생육저해를 나타내어 마와 차별되었다. 항혈전 활성의 경우, 헥센 분획물이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어 4.8 mg/mL 농도에서 300초 이상, 2.4 mg/mL 농도에서 67초의 트롬빈 타임을 나타내어 마의 경우와 비교할 때 4배 이상의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매우 우수한 DPPH 소거능($IC_{50}=38.1{\mu}g/mL$), SOD 유사활성(vitamin C의 36%) 및 환원력(BHT의 59.4%)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영여자의 새로운 생물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영여자가 마의 지하괴근이 가진 항세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과 거의 동등한, 또는 보다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e annual productions of yam and its aerial bulbils are estimated to 5,000 and 2,500 ton, respectively. But the majority of bulbils had been discarded without specific use. In this study, methanol extract and its organic solvent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and their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respectively. The methanol extract contained 58.98% of water-soluble materials as like yam's extract. But the bulbils's extract contained 12-folds of total polyphenol and 3.4-folds of total flavonoids compared than yam's extract, respectively. For antimicrobial activity the 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t $500{\mu}g/disc$ concentration against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Antifungal activity was not observed in any fractions. Strong antithrombin activity was found in the hexane fractions. At 4.8 mg/mL concentration thrombin time (TT) was over 300 sec, which is 4-folds extended than the TT of yam. In a while,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DPPH scavenging activity ($IC_{50}$ of $38.1{\mu}g/mL$),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hich are comparable to vitamin C or BH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bulbils of yam as yam tuber have useful bio-activities, such as antibacterial,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안동주변 농촌지역 50세 이상 주민의 식품섭취빈도 및 건강행위에 따른 영양위험 분석 (1)

        이혜상(Hye-Sang Lee),권인숙(In Sook Kwun),권정숙(Chong Su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8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 개선을 위한 노인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 1,384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식품섭취빈도에 관한 설문조사 및 식이섭취조사를 수행하였고, 건강관련행위 및 식품섭취빈도와 영양소섭취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 분포는 50~64세가 60.0%(남자 54.0%, 여자 63.9%), 65~74세가 34.4%(남자 38.5%, 여자 31.8%), 75세 이상이 5.6%(남자 7.5%, 여자 4.3%)이었다. 대상자의 흡연율은 남자 78.0%, 여자 4.1%로 남자의 흡연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음주율은 남자 64.5%, 여자 31.8%로 이 지역 조사대상자들의 음주율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나타난 전국평균보다는 다소 낮았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남자의 9.8%, 여자의 6.7%로서 90% 이상이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를 거의 먹지 않는 사람이 남자는 35.2%, 여자는 65.0%, 생선을 거의 먹지 않는 사람이 남자는 32.1%, 여자는 44.7%로 나타났으며, 과일을 거의 먹지 않는 경우는 15.7%(남자 15.2%, 여자 16.0%)이었다. 김치를 제외한 채소의 경우 42.6%(남자 40.0%, 여자 44.1%)가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 섭취량이 남자 1410.5 ㎉, 여자 1279.2 ㎉인 점과 에너지 필요추정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92.5%, 여자 88.4%인 것으로 볼 때 이 지역 조사대상자들의 에너지 섭취 부족은 심각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자 53.8 g, 여자 46.9 g이었으며, 남자의 27.8%, 여자의 29.8%가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였다. 비타민 섭취량을 평균필요량과 비교 분석한 결과, 리보플라빈 섭취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남자 92.5%, 여자 89.6%), 다음은 엽산(남자 89.7%, 여자 88.5%), 티아민(남자 76.7%, 여자 77.2%), 그리고 비타민 A(남자 69.9%, 여자 75.6%)의 순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타민 섭취량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무기질 섭취량 분석 결과, 칼슘(남자 78.0%, 여자 85.8%)의 섭취가 가장 부족하였으며, 아연(남자 65.6%, 여자 52.1%)이 칼슘에 이어 부족하게 섭취하는 무기질이었다. 75세 이상 주민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단백질, 비타민 B?, 철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육류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은 육류를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하는 사람보다 단백질과 니아신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생선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단백질, 니아신, 비타민 B? 그리고 아연의 섭취가 낮았으나, 과일과 김치를 제외한 채소에 대한 섭취빈도는 영양위험 수준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로 인한 영양소 섭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여자 노인에서는 일주일에 1~2회 음주자의 영양 섭취 불량 비율이 비음주자 또는 거의 매일 음주하는 사람보다 오히려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대부분의 영양소에 있어서 섭취 부족비율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여자는 인의 섭취 불량 비율이 흡연자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 남녀 모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의 영양불량 비율이 낮은 경향이었으나, 남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여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에서 에너지,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연의 섭취 불량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은 흡연율이 높고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좋지 않았고, 육류, 생선, 채소 등의 식품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어육류의 섭취빈도는 영양위험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따라서 이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금연교육과 함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채소와 어육류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양중재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nutritional risks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Andong are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84 subjects (532 males, 852 females) aged 50 years and over. Nutrient intakes,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cluding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energy intakes were 1410.5 ㎉ for males and 1279.2 ㎉ for females, and the percentages of the subjects consuming below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were 92.5% and 88.4%, respectively. The least consumed nutrients compared to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were riboflavin (92.5% for males, 89.6% for females), folic acid (89.7%, 88.5%), and calcium (78.9%, 85.8%), in order. According to the food intake frequency survey, the intakes of meat, fish and vegetable (except kimchi) were very poor, and this low intakes of meat and fish showed as poor status of protein, niacin, vitamin B?, and zinc intakes. Health-related behaviors data showed that the ratio of cigarette smokers, especially male, was higher, while the ratio of the person exercising regularly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ionwide statistics, respectively. Cigarette smoking and drinking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or nutrition intake, while regular exercise positively influenced nutrient intakes in female subj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was likely to be severely deficient and the low intakes of meat and fish to be high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nutritional risk.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ary disease related to the food intak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subjects, the proper educational program on balanced dietary intake and the correcti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is are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비타민 D : 호르몬 같은 영양소

        신미영(Shin, Mee-Young),권인숙(Kwun, In-Sook)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1

        Purpose: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definition of vitamin D as a nutrient as well as a hormone-like molecule and its new function in prevention of various chronic diseases. Methods: The review was written by the method for systematic reivew writing. Literatures from the various sources, including research articles, book chapters, proceedings and electronic materials as appropriate, were screened first and then reviewed and analyzed for the review. Results: Vitamin D was originally considered as the essential nutrient as a vital carbon compound and was first discovered among children with osteomalacia, also known as ricket disease, characterized by poorly calcified bones which were easily bent rather than broken. Since that time, vitamin D has been known as the key nutrient to improve bone health. However, recently emerging study findings have shown that vitamin D acts as the hormone-like nutrient since it is synthesized like a hormone when our body needs and this particular vitamin also acts like a cell signaling ligand which regulates gene expression of various proteins. So far positive effects of vitamin D have been suggested for the action of anticancer, antiimmune function, and anti-cardiovascular disease, as well as antidiabetic function, etc. In this review, the definition for vitamin D as a nutrient vitamin as well as a hormone-like molecule, cell signaling mechanism of vitamin D, and finally the potential role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re discussed. Conclusion: Vitamin D is now being considered as a vital nutrient as a vitamin and as a potential substance for prevention of several chronic diseases.

      • KCI등재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고혈압 유병율과 위험요인 분석

        이혜상(Hye-Sang Lee),권인숙(In-Sook Kwun),권정숙(Chong Su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7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예방을 위한 영양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40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 1,296명(남자 496명, 여자 800명) 중 고혈압(비인지 고혈압)이 602명(남자 272명, 여자 330명)으로 46.5%였으며, 원대상자의 고혈압 환자(778명) 중 고혈압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23%(176명)인 반면, 고혈압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 77%로, 고혈압 환자의 3/4이상이 자신이 고혈압인지를 모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신체계측 결과,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가 남녀 모두 정상 혈압군보다 고혈압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여자의 중성지방치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고혈압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제외하고,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남자) 및 공복혈당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교차비로 분석한 결과, 남성, 고령, 체지방율 또는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허리둘레에 의한 복부비만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의 지질치와 공복 혈당치는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음주 및 운동습관의 고혈압 발생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흡연여부와 흡연량은 관련성이 없었고, 음주의 경우는 음주 빈도가 높거나 음주량이 많을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습관의 경우, 운동 여부, 빈도 및 일회 운동시간 모두 고혈압 발생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과 고혈압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육류 섭취를 주 1회 미만 하는 사람이 주 1회 이상 하는 사람보다 고혈압 발생 위험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생선, 과일 및 채소 섭취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영양섭취 기준 이상과 미만 섭취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영양소 섭취 상태와 고혈압 발생의 유의적인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조기 발견을 위해 규칙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하며, 고혈압 예방을 위해 음주 빈도와 일일 음주량을 줄이고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질병과 영양 섭취의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사용이 타당하나, 본 연구에서는 조사원의 부족과 조사대상자의 제한점으로 인해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고혈압과 영양 섭취와의 관련성을 입증함에 있어서 다소 미흡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from Jan/2003 to Feb/2003. The subjects were 1,296 people (496 males, 800 females) aged 40 years and over living in Andong rural area. The hypertensive group was composed of 602 people (272 males, 330 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hypertension (SBP≥140 ㎜Hg or DBP≥90 ㎜Hg) for the first time at this health examination. The mean anthropometric values of body weight, body fat (%),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tensive group than those in normal group. However, the bi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total-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DL-C, LDL-C and fasting blood glucose (FBG) level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cept TG in female. The risk factors of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expressed a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tial interval (CI). The results showed that age, sex, obesity, waist circumference, alcohol drinking and meat intakes were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In contrast, cigarette smoking, exercise and the increased fish, fruit and vegetable (except Kimchi) consumption, blood lipid levels and FBG were not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Nutrient intake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either. In conclusion, we cannot assert that this study established the existence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risk of hypertension in the subjects, but it does suggest that this is a question worth investigating further using a larger scale of case-control study to determine how the past exposure to some nutrient or dietary component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 KCI등재

        아연의 1차혈관평활근세포 증식에 대한 기능

        조영은(Young-Eun Cho),권인숙(In-Sook Kwun)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6

        Purpose: The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in mature animals have implicat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progre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This study aimed at optimizing the protocol in culturing primary VSMCs (pVSMCs) from rat thoracic aorta and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ellular zinc (Zn) deficiency on cell proliferation of the isolated pVSMCs. Methods: The thoracic aorta from 7-month-old Sprague Dawley rats was isolated, minced and digested by the enzymatic process of collagenase I and elastase, and then inoculated with the culture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DMEM) at 37°C in an incubator. The primary cell culture morphology was observed using phase-contrast microscopy and cellular Zn was depleted using Chelex-100 resin (extracellular zinc depletion only) or 3 μM N,N,N′,N′-tetrakis(2-pyridinylmethyl)-1,2-ethanediamine (TPEN)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zinc depletion). Western blot analysis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SM22α and calponin as smooth muscle cell marker proteins and von Willebrand factor as endothelial cell marker protein to detect the culture purity. Cell proliferation by Zn depletion (1 day) was measured by MTT assay. Results: A primary culture protocol for pVSMCs from rat thoracic aorta was developed and optimized. Isolated cultures exhibited hill and valley morphology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pVSMCs and expressed the smooth muscle cell protein markers, SM22α and calponin, while the endothelial marker von Willebrand factor was hardly detected. Zn deprivation for 1 day culture decreased rat primary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this pattern was more prominent under severe Zn depletion (3 μM TPEN), while less prominent under mild Zn depletion (Chelexi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ellular Zn deprivation decreased pVSMC proliferation and this may be involved in phenotypic modulation of pVSMC in the aorta.

      • KCI등재

        혈관 플라그 형성 저해단백질에 대한 아연의 기능

        신미영(Shin, Mee-Young),권인숙(Kwun, In-Sook)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1

        Purpose: Zinc, a biomineral present within and outside cells, manages various cellular mechanism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zinc was involved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calcification via regulation of calcification inhibitor protein, osteopontin (OPN). Methods: Rat aorta cell line (A7r5 cells) and primary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pVSMCs) from rat aorta were cultured with phosphate (1-5 mM) and zinc (0-15 μM) as appropriate, along with osteoblasts (MC3T3-E1) as control. The cells were then stained for Ca and P deposition for calcification examination as well as osteopontin expression as calcification inhibitor protein was measured. Results: Both Ca and phosphate deposition increased as the addition of phosphate increased. In the same manner, the expression of osteopontin was upregulated as the addition of phosphate increased in both cell types. When zinc was added, Ca and P deposition decreased in VSMCs, while it increased in osteoblasts.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zinc may prevent VSMC calcification by stimulating calcification inhibitor protein OPN synthesis in VSMC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