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19구급 신고데이터에 대한 분류모델 성능 개선

        권은정(Eunjung Kwon),박현호(Hyuinho Park),변성원(Sungwon Byon),이규철(Kyuchul Le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1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the text classification model to provide optimal response information for each disaster situation with respect to the report content recorded by the receiver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119 emergency report. A text classification model that receives a sentence and classifies it into a category is a widely used technique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is study defined the rules for using augmented learning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ext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supervised learning, and confirmed the performance of the classification model using the augmented learning data through experiments.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text classification model that is input as the report contents for each emergency situation, such as disease, traffic accident, and injury, was suggested.

      • KCI등재

        공간적 오브제로서 의자디자인에 나타난 특성에 관한 연구 - 덴마크 디자이너 아르네 야콥센과 베르너 팬톤의 작품을 중심으로 -

        권은정 ( Eunjung 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오브제들 가운데 의자디자인은 공간의 크기와 형태, 사용자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공간 안에 놓인 의자는 사용자에게 행위를 일으키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영향을 받기도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소통이 일어난다. 즉, 의자는 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핵심 요소이며, 오브제로서 인간과 공간 사이에서 상호연관성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의자디자인을 공간디자인 입장에서 조망하는 것은 충분히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수 없이 많은 다양한 의자 가운데 덴마크 출신 디자이너 아르네 야콥센과 베르너 팬톤의 의자디자인을 분석하고 공간의 오브제적 관점으로 의자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고찰로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에 대한 개념적 정리와 덴마크 현대 디자인의 발달 배경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아르네 야콥센과 베르너 팬톤의 의자디자인 총 8개의 작품을 통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거장의 의자디자인 특성을 형태, 재료 및 마감, 공간에서의 기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아르네 야콥센과 베르너 팬톤의 의자디자인을 공간의 오브제적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아르네 야콥센의 의자디자인은 유기적 형태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고, 불필요한 장식을 철저히 배재한 단순성을 추구하였다.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가 된 통일된 몸체로서 유연하고 유머러스한 조형성을 추구하였다. 재료 및 마감에는 성형합판기법의 새로운 기술 접목과 생산공정과 재료의 최소성을 추구하였다. 공간에서의 기능으로는 가볍고 쌓아서 보관이 가능한 스태킹 기능으로 수월한 이동과 공간을 최소화 하였고, 몸을 감싸는 형태로 개인적인 공간을 형성해 안락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공간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베르너 팬톤의 의자디자인은 팝아트적인 성향으로 추상적인 곡선과 역동적인 형태를 추구하였다. 재료 및 마감에는 목재보다는 합성수지나 금속 등 신소재를 이용한 실험으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채도가 높은 원색을 선호 하였다. 공간에서의 기능으로는 자세와 위치에 다양한 선택권과 변수를 제공하고 공간과 의자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였다. 또한 가볍고 실용적인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결론) 이상으로 공간적 오브제로서 의자디자인에 대하여 작품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공간에서의 기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공간적 오브제로서 의자는 공간의 목적에 맞는 장치적 요소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기능적이면서 심리적인 오브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공간과 의자디자인, 인간행태와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Goal) Among various objets, chair design is influenced by spatial siz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Chair in the space is usually affected by consumers, and sometimes it causes their behaviors; through these, various communication happens. In other words, chair is an essential factor that composes space, and it plays a medium between human and space as objet. Therefore, prospecting chair design in stance of space design is worthy enough to implement. (Research Method) In this research, we try to analysis chair design of Arne Emil Jacobsen and Verner Panton in aspect of space objet among numerous sorts of chairs. First of all, we considered traits and developed background of modern design in Demark and arranged concepts about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objet as theoretical contemplation. For the next, we looked into traits through 8 pieces of chair design arts of Arne Emil Jacobsen and Verner Panton. Finally, we analyzed and classified traits of chair design of two maestros by their functions of shape, material, end and space, and we drew a conclusion. (Result) As chair design of Arne Emil Jacobsen and Verner Panton was analyzed in aspect of space objet, chair design of Arne Emil Jacobsen expressed organic forms in metaphorical way, and pursued simplicity to the exclusion of unnecessary decorations. Additionally, it pursued humorous and flexible formativeness as an united body forming back and seat together. For materials and end, minimizing materials, production process, and integrating new technology of plywood molding method were pursued. For spatial function, stacking functions which are light and able to store helped to get comfortable movement and minimize space, and it offered comfort by shaping personal space wrapping people`s body. Additionally, it could be transformed in various shape, and it made us to use it in multiple ways according to necessity of space. Chair design of Verner Panton pursued dynamic shapes and abstract curves following tendency of pop arts. They used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s and metal rather than timber which were found by experiments using new materials, and prefer primary color with high chroma. For spatial functions, they offered various options and variables to positions and locations, and made a border between space and chair ambiguous. Also, they pursued light and practical design. (Conclusion) Finally, we contemplated functions in space, and analyzed examples or arts relevant to chair design as space objet. As space objet, we could figure out chair was a device factor which were fitting on aim of space, and it induced users to participate, and it was functionally and physically objet. In the future, we hopefully expect that this article can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research about space, chair, and compatibility between space and human`s behaviour based on this result.

      • KCI등재

        지능정보기술의 위험 통제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 규제행정의 다각화 관점에서 -

        권은정 ( Eun-jeong Kwon ) 한국법정책학회 2021 법과 정책연구 Vol.21 No.3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비롯한 지능정보기술이 우리 사회의 주요 변인이자 동력으로 작용하면서 이른바 ‘지능정보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지능정보기술은 활용 분야와 개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양태를 보이며, 그에 부수하는 위험의 성격과 수준도 일정하지 않다. 막대한 양의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머신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시스템에서는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 침해 위협이 상존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ㆍ알고리즘의 편향성 내지 불투명성은 또 다른 권익 침해 가능성을 내포하는 등 위험의 내용과 구조는 단순하지 않다.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이 사람의 의사결정과 행위를 대체ㆍ보완하는 경우에는 행위와 결과 간의 상당인과관계나 기존의 위험책임 법리를 적용하기 어려운 제3의 위험 영역이 생겨나기도 한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지능정보기술, 특히 인공지능의 위험성에 대한 학계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인공지능 규범’을 창출하는 연구나 입법 사례가 급증하였다. 우리 국회에서는 지능정보화 정책 추진 및 거버넌스 정립을 도모하는 여러 법안이 발의되었고, 그 선두에서 「지능정보화 기본법」이 통과되어 2020년 12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은 사회적 영향평가, 안전성 보호조치 등 지능정보화의 위험에 대처하는 규제행정의 수단도 포함하고 있으나, 법 집행을 위한 구체적인 시행령이나 행정입법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이 법은 주로 국가의 지능정보화 정책 방침을 체계화한 것으로, 인공지능 시스템으로부터 야기되는 차별취급, 불공정행위, 절차위반 등에 대한 법적 규율이 구체화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현행 「지능정보화 기본법」만으로는 지능정보기술 특유의 위험에 다 각도로 대응할 수 없으며, 유효적절한 행정 개입을 위한 별도의 후속 입법이 필요하다. 지능정보기술 분야 규제행정은 무엇보다 사적 통제와 공적 통제의 기능 배분을 최적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즉, 지능정보기술의 위험을 통제하는 동시에 그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제행정 상대방의 자율규제를 허용하되 리스크 관리, 행위의 불법성 통제, 사후적 책임 귀속 등에 초점을 둔 규제법 질서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법체계 전환의 목표는 공동규제를 실현하는 조직 및 절차를 마련하고 필수 적합성 평가, 인증, 영향평가 등 관련 제도를 구체화해 나감으로써 점진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As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ts as a variable throughout our society, the paradigm shift to the so-call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accelerat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hows various forms and aspect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 and purpose, and the nature and level of the risks that follow are not constant. In machine learning-based AI systems that utilize huge amounts of personal data, threats of privacy infringement of data subjects exist, and bias or opacity of data and algorithms implies a further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rights and interests. When an automation system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replaces and supplements human decision-making and behavior, it also creates a third risk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principle of risk responsibility or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and outcome. In recent years,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risk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AI, and the number of studies and legislative cases that create 'AI norms' increased rapidly.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several bills have been proposed to promote intelligent informatization policies and establish, and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on was passed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December 2020. This law also includes means of regulatory administration to cope with the risk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such as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safety protection measures, but specific enforcement ordinances a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for law enforcement are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this law systematizes the national legal policy policy and does not directly stipulate legal rules for discriminatory treatment, unfair practices, and procedural violations of new aspects caused by AI systems. Therefore, the current law alone cannot sufficiently cope with the potential risk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al risks of the system, and individual and subsequent legislation are required. Regulatory administration in the field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focus above all on optimizing the distribution of functions of private and public control. In other words, in order to control the risk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crease its social accept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ulatory legal order that focuses on risk management, control of illegal acts, and attribution of post-responsibility. The goal of transforming the legal system will be gradually realized by preparing organizations and procedures to realize co-regulation and specifying related systems such as mandatory conformity assessment, certification, and impact assessment.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방안에 대한 전문가 인식 유형 연구: OTT 산업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권은정 ( Eun Jeong Kwon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1 주관성연구 Vol.- No.57

        본 연구는 학계, 전문가, 이해당사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방안 중 OTT 산업 지원정책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Q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P표본에 포함된 응답자들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공적책임 강조형’으로 공정 상생 환경 조성을 통한 OTT 생태계 발전을 지향하며 사업자의 성실한 책무의 이행을 강조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신규시장 개척을 통한 사업성 추구형’으로 신유형 OTT 콘텐츠 제작과 네트워크 고도화를 통해 OTT 시장을 성장시켜 규모있는 OTT 생태계의 발전을 지향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1인 창작자 보호와 콘텐츠 제작 중심형’으로 콘텐츠 펀드 조성과 공모전을 통한 다양한 방식의 OTT 콘텐츠 제작 지원과 창작자 육성 프로그램을 중요시하는 유형이다. 유형에 따라 OTT 생태계 발전을 위한 우선 추진과제 선정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자의 편의를 위한 규제 완화 정책에는 공통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academics, experts, and stakeholders on the OTT industry support policy among the Digital Media Ecosystem Development Plan through Q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pondents included in the P sampl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is the type of ‘Public responsibility oriented’. They emphasize to cultivate the OTT ecosystem through the creation of a fair win-win environment. Type 2 is the type of ‘Business feasibility-pursuing type through new market opening’. They aim to cultivate a large-scale OTT ecosystem by growing the OTT market through network advancement. Type 3 is the type of ‘One-person creator protection and contents production oriented’. They ask various kinds of OTT content production support and creator nurturing program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priority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OTT ecosystem depending on the type. In particular, for all types, respondents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with the deregulation policies for the convenience of business operators in common.

      • KCI등재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국내 주요 고구마 품종의 식물체 재분화

        권은정,석윤,김문자,안영섭,이준설,정병춘,곽상수,이행순,Kwon, Eun-Jeong,Kwon, Suk-Yoon,Kim, Moon-Za,Lee, Joon-Seol,Ahn, Young-Sup,Jeong, Byeong-Choon,Kwak, Sang-Soo,Lee, Haeng-Soo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3

        4종류 고구마 품종을 대상으로 정단분열조직 배양에 의한 배발생 캘러스 유도, 이들로부터 고빈도의 체세포배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자미. 율미, 신황미, 및 화이트 스타의 생장점을 LS 기본배지에 1 mg/L auxin (2,4-D, picloram, dicamb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2,4-D 첨가 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배발생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 4주째에 유도된 배발생 캘러스의 빈도는 신황미, 자미, 율미. 및 화이트 스타에서 86%, 78%, 76%, 및 80%를 각각 나타내었다. 2,4-D 첨가 배지에서 얻어진 배발생 캘러스를 2.4-D를 제거한 배지로 옮겨 주어 체세포배를 유도하였으며, 이 체세포배의 90% 이상이 완전한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단분열조직 배양으로부터의 체세포배 발생 방법이 광범위한 고구마 품종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자육종을 통한 신기능성 고구마 품종개발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of major cultivar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in Korea via somatic embryogenesis was established. Embryogenic calli were formed from shoot apical meristems of sweetpotato cultivars when cultured on L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auxin (2,4-D, picloram, dicamba). Among three kinds of auxin, 1 mg/L 2,4-D showed the highest embryogenic calli induction rate. After 4 weeks of cultures on L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2,4-D, embryogenic calli induction rates of Sinhwangmi, Zami, Yulmi, and White Star were 86%, 78%, 76%, and 80%, respectively. Upon transfer onto LS basal medium, most of somatic embryos developed into plantlets. Regenerat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to potting soil and grown to mature plants in a greenhouse.

      • KCI등재

        B16F1세포에서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합성에 대한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

        권은정(Eun-Jeong Kwon),박혜정(Hye-Jung Park),김문무(Moon-Moo Kim),이경록(Kyeong Rok Lee),홍일(Il Hong),이도경(Do Gyeong Lee),오영희(Yunghee Oh)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9

        멜라닌은 su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hydrogen peroxide와 같은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질, 단백질, DNA 산화를 야기시키는 활성산소는 주근깨와 기미의 원인으로 알려진 melanin 과잉생산을 유도한다. 한약재중에서 본 연구에 사용된 유백피는 주요성분으로 flavonoids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16F1에서의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UMEE는 3.12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항산화 실험에서 UMEE는 높은 환원력과 DPPH 소거효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UME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MEE는 in vitro에서 tyrosin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UMEE는 melanogenesis에서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UMEE가 항산화 활성뿐 만 아니라 tyrosinase 및 TRP-2의 발현억제를 통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에 미백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Melanin plays a key role in the protection of skin from ultraviolet light that generat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uch as su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and hydrogen peroxide. However, the ROS leading to the oxidation of lipids, proteins and DNA are involved in the overproduction of melanin that is known to cause melasma, age spots and freckles. Among the herb medicines, Ulmus macrocarpa used in this study was reported to contain flavonoids as a main compon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Ulmus macrocarpa ethanolic extracts (UMEE) in B16F1 cells. UMEE below 3.12 μg/ml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an anti-oxidant experiment, UMEE showed not only high reducing power and scavenging activity on DPPH, but it was also observed that UMEE exhibit an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UMEE did not display an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However, UME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in B16F1 cells. In addition, UMEE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which are key enzymes in melan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MEE exert a whitening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both tyrosinase and TRP-2 expression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suggesting that UMEE could have the functional potential for a whitening effect on the skin.

      • KCI등재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첫걸음 - 야호 데이의 경험과 의미

        권은정(Kwon, Eun-Jeong),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의 놀 권리 존중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경험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집중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주요 사례를 추출하여 의미를 해석하였다. 어린이집에서 놀 권리 존중에 따른 교사의 경험과 의미는 첫째, 막연한 두려움과 혼란 속에서 자신을 내려놓고 또 내려놓기를 반복하며 가까스로 힘겨운 첫발을 내딛고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점점 아이들에게 귀를 기울이며 좋은 청취자가 되어 놀 권리란 유아들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돌려주는 것임을 깨닫고 유아들에게 함께 발맞추는 교사로 나아갔다. 유아의 경험은 첫째, 보이지 않는 벽을 허물고 나와 저마다의 공간과 시간을 향유하며 놀이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었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는 서로 만나고 소통하고 교류하며 놀이에 놀이를 더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 권리 존중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을 통해 비로소 유아들의 시선에 발맞추는 교사로 나아가게 되었으며, 놀 권리를 존중받은 유아들은 놀이의 경계를 넘어 진정한 놀이의 주체로서 놀이를 향유 할 수 있었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ith "right to play" and its meaning in a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Data were gathered by intensiv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repeatedly read to extract major cases to interpret their meaning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with "right to play" in th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ts meaning were as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kept emptying their minds in fear and confusion barely managing to take the first step. Second, the teachers gradually grew to listen to young children carefully, becoming good listeners, and they realized that "right to play" was not what was given to children, but what was returned to them, and they became teachers who kept pace with the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young children were as below: First, the children crossed the border of play as they broke down the hidden wall among themselves and enjoyed their individual spaces and time. Second, the children enriched their play by encountering, communicating and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teachers improved themselves to look at things from young children"s perspective and that the young children whose "right to play" was respected, were able to enjoy playing as the main agents, crossing the border of play.

      • KCI등재

        자동적 처분의 행정법적 제 문제 ― 처분의 형식·절차 및 구제에 관한 쟁점을 중심으로 ―

        권은정 ( Kwon Eunje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3

        올해 3월부터 시행 중인 「행정기본법」은 자동적 처분에 관한 제20조를 두어 완전 자동화된 행정처분을 명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본조는 완전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발급되는 기속적 행정처분의 법률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행정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데 주된 취지가 있다. 이로써 ‘행정의 자동화작용’은 행정의 전산화 내지 부분 자동화를 추상적으로 범주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공지능 시스템을 비롯한 완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발급되는 처분까지 포괄하는 행정의 주요 행위형식으로 진일보하게 되었다. 행정법상 ‘처분’은 행정작용법과 행정구제법을 관통하는 핵심개념으로서 특히 행정쟁송법상 처분개념을 축으로 발전해 왔다. 「행정기본법」 역시 판례나 「행정소송법」 제2조 등에서 일관하는 실정법상 처분개념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처분개념의 범주는 행정법상 권리구제의 범위 및 가능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자동적 처분 도입에 따라 처분의 형식 및 절차뿐만 아니라 권리구제와 관련하여 법해석과 입법론 차원에서 보강이 필요한 쟁점이 생겨났다. 파생 논의를 다루기에 앞서 「행정기본법」이 허용하는 자동적 처분, 즉 완전 자동화된 기속적 행정처분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상 자동적 처분은 인간(행정청)의 의사결정 및 행위의 개입 없이도 ‘적법한’ 자동화 처리가 기술적으로 가능한 영역을 전제로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처분의 적법성은 내용은 물론 절차와 형식 면에서도 충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자동적 처분이 완전하게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존할 경우에는 「행정절차법」상 사전통지 및 이유제시의 생략·대체 가능성에 대한 특례를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정기본법」상 이의신청 및 재심사, 「국가배상법」상 배상책임 청구 등 현행법 규정에 따른 권리구제절차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자동적 처분 결과에 대한 설명 및 검토 가능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공지능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완전 자동화 수준을 넘어 ‘자율적’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제한되어야 하며, 시스템의 적법성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공행정 부문의 알고리즘 영향평가를 체계화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March 23, 2021, explicitly allowed fully automated administrative disposition as it stipulated Article 20 on automatic dispositions. This Article has the main purpose of promoting the digit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by laying the legal basis for administrative disposition issued through a fully automated system. As a result, ‘automation of administration’ is not only categorizing computerization or partial automation of administration, but also advancing to a major form of public administration that encompasses administrative disposition by fully automated systems, including AI systems. “Disposition” in administrative law, is a key concept that penetrates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 ranging from the administrative action law to the administrative relief law, and has developed the concept of disposition under the legal action law.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lso reflected the concept of disposition under the current law,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ecedents and Article 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concept of disposi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scope and possibility of the relief of rights under administrative law.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utomatic dispositions has created issues that require reinforcement in terms of legal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regarding the relief of rights as well as the forms and procedures of disposition. Prior to dealing with derivative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xtent to which fully automatic disposition is permitted by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Under the current law, automatic dispositions should be allowed on the premise that “legitimate” automated decision-making processing is technically possible without further human (administrative) decision-making or acts. The legality of the disposition must, of course, be met in terms of the content, procedures and formality. If a disposition relies on a fully automated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licitly stipulate exceptions for the possibility of omission or replacement of prior notice and reason presenta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explain and review the results of automated processing in order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procedures for relief of rights under the current law, such as filing objections and re-examination under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claiming liability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The use of ‘autonomous’ systems beyond the level of fully automated system should also be prohibited, and the algorithmic impact assessment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sector that verifies the legitimacy and safety of the systems should be preceded.

      • KCI등재

        워드클라우드 방법을 통해서 본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권은정(Kwon, Eun-Jeong),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워드클라우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유형을 놀이본질, 놀이가치, 놀이환경, 교사역할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놀이본질’은 놀이에만 내재하는 고유한 존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즐거움, 자유, 몰입 등과 같은 놀이의 속성과 놀이틀과 같은 놀이구조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놀이가치’는 놀이로 인한 현상, 행위 등이 유아에게 의미있고 바람직한 것임을 나타내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 놀이의 역할과 기능을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놀이환경’은 놀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 사회적인 조건이나 상황으로 물리적 환경인 자연, 안전, 공간 등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었다. 넷째, ‘교사역할’은 놀이를 마주하고 있는 교사의 입장과 생각에 대해 교사의 개입과 지원, 놀이확장, 교사교육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아놀이에 대한 효과적인 현장지원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play. Thus, the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now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play could be divided into the play essence, the play value, the play environment, and the teacher role. First, as the ‘play essence’ is what establishes play and constructs a unique existence inherent in play, it was including the attributes of play such as enjoyment, freedom, immersion, etc. and the contents of the play structure such as a play frame. Second, the ‘play value’ was cover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the role and function in play of showing that the phenomena and actions caused by play are meaningful and desirable for toddlers. Third, as the ‘play environment’ is natural and social condition or situation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play, it was involved the perceptions of nature, safety, space, and teaching aids, which correspond to the physical environment. Fourth, the ‘teacher role’ was including the teacher intervention and support, the expansion of play, and the contents of the teacher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position and thoughts of teachers facing play. This study figured out how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play changes and proceeds with being formed by harmonizing with the field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basic data on effective field support for infant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중독 감소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은정(Eun Jung Kwon),장승옥(Seung Ock J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집단 치료 프로그램을 통합분석하고 인터넷 중독 감소에 대한 효과크기를 탐색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치료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별 효과크기와 인터넷 중독 감소에 대한 이질성의 배경 변인을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23편이며, Excel과 CMA 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하위집단분석, 조절효과분석(meta-ANOVA, meta-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로는 첫째,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 치료 프로그램의 인터넷 중독 감소에 대한 전체 평균효과는 g=1.88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가 있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 집단 치료 프로그램의 중독 감소에 대한 구성요소별 효과크기는 미술치료 개입방식과 60분 이상에서 90분 미만, 총 10회기 이상 진행이 가장 컸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셋째,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 치료 프로그램의 중독 감소에 대한 이질성의 원인변인은 개입방식, 진행시간, 총 회기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appropriate treatment program for adolescent internet addicts by performing a meta-analysis that explores the size of effect on the reduction of Internet addiction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a treatment program performed for adolescents addicted to the Internet. To do thi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sizes of each component of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 for adolescents and the heterogenous nature in reducing Internet addiction.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 studies o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 published from 2000 to 2015 and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sub-groups analysis, a meta-ANOVA, and a meta-regression analysis by using Excel and Comprehensive Meta-Analysis 2 software programs.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average effects of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 on the reduction of Internet addiction were g=1.883. Second, the effect size of each component on addiction reduction of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 was the largest for the art therapy , when performed more than 10 sessions and between 60 and 90 minutes for each session. Third, the variables of heterogeneity on reducing addiction of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 were the intervention method, a total of sessions, and proceeding time. This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 of present study,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