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of a New Approach to Determine the Potency of Bacille Calmette–Guérin Vaccines Using Flow Cytometry

        권은정,최찬웅,김재옥,김병국,강현경,박태준,반상자,배민석,박상진,정자영 질병관리본부 2017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8 No.6

        Objectives: To circumven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golden standard method, colony-forming unit (CFU) assay, for viability of Bacille Calmette–Guérin (BCG) vaccines, we developed a new method to rapid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potency of BCG vaccines. Methods: Based on flow cytometry (FACS) and fluorescein diacetate (FDA) as the most appropriate fluorescent staining reagent, 17 lots of BCG vaccines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and 5 lots of BCG vaccines for intradermal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viable cells measured by flow cytometry along with the total number of organisms in BCG vaccines, as determined on a cell counter, was used to quantify the number of viable cells. Resul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FACS and CFU assays for percutaneous and intradermal BCG vaccines were 0.6962 and 0.7428,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 correlati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value of the FACS assay was less than 7%, which was 11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CFU assay.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valuation of new potency test method for FACS-based determination of viable cells in BCG vaccines. Accordingly, quality control of BCG vaccine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KCI등재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의 체계와 방법론 - 「지능정보화 기본법」의 사회적 영향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

        권은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경제규제와 법 Vol.16 No.1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zation” has newly introduced a “social impact assessment” for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According to Article 56 of the Act, The main goal of the social impact assessment system is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impact of the utilization and spread of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that have far-reach effects on citizens’ lives, disclose the results, reflect them in policies, and directly recommend improvement measures. The social impact assessment o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is distinguished from the current technology impact assessment, as specified in the article. In particular, it is an important means of regulating risk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ystem close to “ex-post social impact assessment” that secures social acceptance and normative validity for commercial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mpact assessment based on social impact assessment regulations differs from various impact assessment systems implemented to prevent risks, and these uniqu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elements of the impact assessment system. The first step in establish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mpact assessment system is to establish governance, and the subject (organization) and procedure of impact assessment form the backbone of governance. Although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have discretion to conduct impact assessments as performers, it is essential to form a specialized organization that determines the actual subject and scope of assessment, and investigates and evaluates the impact. In addition, when target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provided by private operators, using risk management information held by operators as basic data for assessment can increase the precision and validity of assessment, so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governance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including self-assessment. Furthermore,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 and utility of social impact assessment that realizes a virtuous cycle of risk management system can be enhanced if a specialized organization or dedicated organization conducts an impact assessment and collects opinions from stakeholders or general users at Citizens’ forums. The indicator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mpact assessment are directly related to follow-up sanctions and measures that lower the risk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rease reliability.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impact assessment depends crucially on the assessment indicators. In light of the assessment items stipulated in the law, the main goal of social impact assessment under the current law is to ens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so research to develop indicators and techniques to evaluate safety and reliability must precede. Discussions on the unsystematic issues and reorganization of items throughout the assessment items were left as a follow-up task, and this paper focused on safety and reliability set as key ite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mpact assessment, and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social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by illustrating detailed assessment items and indicators. 현행 「지능정보화 기본법」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비롯한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영향평가’를 도입하였다. 동법 제56조에 따르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생활에 파급력이 큰 지능정보서비스의 활용 및 확산이 사회, 경제, 문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공개하고 정책에 반영할 뿐만 아니라 개선 조치를 직접 권고할 수 있다.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영향평가는 조문에 명시된 대로 현행 기술영향평가와는 대상과 절차가 구별된다. 이는 상용 중인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하여 사회적 수용성과 규범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사후적 사회영향평가’에 가까운 제도인 동시에, 인공지능 분야의 리스크 규제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사회적 영향평가 규정에 근거한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는 위험 예방 차원에서 사전적으로 시행하는 각종 영향평가제도와 차이가 있고, 영향평가 체계의 제 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특유의 제도적 성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 체계를 수립하는 첫 단추는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며, 영향평가의 주체(조직)와 절차가 곧 거버넌스의 골자를 이룬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수행 주체로서 영향평가 실시 재량권을 갖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여타 영향평가제도와 마찬가지로 실제 평가 대상과 범위를 결정하고 영향을 조사ㆍ평가하는 전문조직의 구성은 필수적이다. 또한 민간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평가의 기초자료로서 사업자가 보유한 리스크 관리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평가의 정밀성과 타당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업자의 자체평가 결과를 정부의 영향평가에 활용하는 민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현행 기술영향평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문기관이 영향평가를 시행한 뒤 그 결과에 대하여 이해관계자나 일반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민포럼’을 정식의 절차로 둔다면, 선순환의 리스크 관리 체계로서의 사회적 영향평가의 제도적 의의와 효용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의 지표는 인공지능의 위험도를 낮추고 신뢰도를 높이는 후속 조치와 직결된다. 따라서 영향평가의 성패는 결정적으로 평가지표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법에 규정된 평가 항목에 비추어, 현행법상 사회적 영향평가의 주된 목표는 지능정보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있으므로, 무엇보다 안전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와 기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평가 항목 전반의 비체계성 문제와 항목의 재구성에 관한 논의는 후속 과제로 남겨두고, 본고에서는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의 핵심 항목으로 설정된 안전성과 신뢰성에 초점을 두고 세부 평가 항목과 지표를 예시함으로써 사회적 영향평가 방법론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국립공원 탐방객의 추구가치체계 분석

        권은정,유홍,박종구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객을 정상 등산 탐방객과 둘레길 탐방객으로 나누어 래더링 기법을 통해 수단-목적 사슬을 분석함으로써 탐방객들이 생각하는 산림탐방의 선택속성 및 추구편익,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해 향후 국립공원 탐방객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북한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을 등반 후 하산하는 탐방객을 대상으로 2011년 5월 5일부터 25일까지 21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이 장소들은 도시근교형과 산악형 국립공원을 대표하며, 시기적으로 야외휴양 수요가 높고 탐방로를 조성한 후 도보관광 및 정상 등반 탐방객이 골고루 분포해 연구의 조사대상지로서 적합한 편이다. 국립공원별로 정상 등산 탐방객 대상 40부, 둘레길 이용 탐방객 40부 등 총 16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10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50부를 활용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추출이며, 경제적, 시간적 소모를 줄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는 하드래더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정상 탐방객과 둘레길 탐방객은 모두 ‘자연경관’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 감상’ 또는 ‘자연에 보다 많은 관심’이라는 결과를 얻고, 이를 통해 ‘즐거움과 재미’, ‘자연의 소중함’이라는 가치를 강하게 추구하고 있었다. 하지만 속성의 중요도에서 정상 탐방객은 ‘탐방코스의 험난함과 높이’, ‘다양하고 새로운 탐방로’를 비교적 중요하게 평가한 반면, 둘레길 탐방객은 ‘산에서 접할 수 있는 동․식물’, ‘탐방 혼잡정도’를 지적하는 등 차이가 있었다. 특히, 추구가치에서 정상 탐방객들은 성취감을 비교적 중요하게 평가한 반면, 둘레길 탐방객들은 마음의 평화, 자기성찰, 삶의 소중함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둘레길 조성 시 둘레길 탐방객의 특성을 반영한 시설물 설치가 필요하며, 현재 국립공원의 통합적 탐방객 관리시스템을 탐방목적 등에 따라 세분화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ttributes, consequences, and values of national park visitors. In this effort, a means-end chain theory and laddering technique was applied to data sets from summit climbers and Dullegil hikers. According to a survey of 150 visitors to Bukhansan and Jirisan conducted from 5 to 26 May 2011, visitors grouped between the two categories revealed different visitor values. Specifically, a key finding of the research was that summit climbers were found to have a value chain of natural scenery-appreciation of nature-joy. Contrasted with this were Dullegil hikers whom had a value chain of natural scenery-appreciation of nature-preciousness of nature, showing a slight difference. The former also put their priority on the feeling of achieving and joy, while the latter cherished preciousness of nature and peace of mind. This fact that summit climbers and Dullegil hikers showed different attitudes needs to be considered when national parks make new Dullegils, install facilities and manage visito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