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유선(Kwon, You Sun),임신일(Im, Shin Il)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교사애착관계가 창의적 성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발달적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KYCPS 2018)의 중학교 1차년도에서 3차년도 종단 패널자료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교사애착관계와 창의적 성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창의적 성격의 변화율이 교사애착관계의 변화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치가 높을수록 변화율에 빠른 감소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창의적 성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창의적 성격의 증가 정도가 가속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역량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analysis on data of about 2,500 peopl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graduall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assage of time. Also, the change rate of creative personality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econd, the high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creative personality. Similarly, the bett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creative personality accelerated as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improved. Also, the high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teacher competency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권유선(Kwon Yoo-Seon),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1

        표상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나타내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최근 강조되고 있는 수학적 과정기술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아 3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표상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전반적인 수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대수(관계, 분류, 패턴)와 측정부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창의성 하위영역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Representation activity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munication method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effec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and creativity, and was to search recently emphasized application possibility of mathematical process skills. To this e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6 five-year-old young children from a pubic kindergarten, You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were execute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mainly, it was presented to effect algebra(relation, classification, pattern) and measurement part. Seco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it was presented significant to improve all creativity in subordinate areas.

      • KCI등재

        문가학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서사 구성

        권유경(Kwon Yu-Kyoung)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8

        Moon Ga-Hak’s tale is a local figure legend transmitted throughout local regions of Jinju and Sanchung. It is an example of Korean oral “historic man tales.” Moon Ga-Hak, a nephew of Moon Ik-Jeom, was a real person from late Koryo and early Joseon. Pegs of the ground for his house remains as a legendary evidence in Soi-ri, Sinan-myeon, Sancheong-gu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figure, transmission, and descriptive composition of Moon Ga-Hak’s narrative using literature and oral recordings. Moon Ga-Hak’s narratives are divided into written narrative and oral narrative. Written narrative is subdivided into historic narrative and local written narrative. Also, all of the written words are likely to come from the oral tradition. Historic narrative records the uprising of Moon Ga-Hak enlisted in “Taejong Silok” and “Sejong Silok” of the “Annals of the Joeseon Dynasty.” It says that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Moon Ga-Hak and the King lead to a defeat from a victory along the passage of time. Moon Ga-Hak’s character here is a tragic figure who dies miserably by rising a revolt although he is a Taoist magic performer who can make the rain fall. The local written narrative divides into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Most Korean government compilations base the tales on a narrative of “UnChangJi”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This narrative ends up with Moon Ga-Hak’s death due to his imperfect Taoist magic in the partial victory in a confrontation with the fox. After the incident of Moon Ga-Hak in history, the classical scholars in Danseong district of his hometown did not directly mention that Moon Ga-Hak died of a traitor. The oral narrative consists of five pieces of existing recording versions, and ten pieces of local recording versions locally investigated by writers. The first half of the narrative is the same with the contents of the local written narrative. In the last half of the narrative, Moon Ga-Hak died as a rebel defeated in the confrontation with the King. What Moon Ga-Hak is credited for includes establishing a nation. An oral narrative transmitter, unlike classical scholars, transmits an incidence with vivid fictional imagination. Moon Ga-Hak, an outstanding figure talented at Taoist magic, was a figure confronted by the King to overturn the established system and build his own n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his faults led him to a defeat, and to a tragic end, he has actively fought against the outer world surrounding him and revealed himself to the world without hiding himself.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classifying Moon Ga-Hak’s narrative as “a man of unusual ability”, “failing out of inability to solve his problem” from “a type of knowledge and ignorance.” It leaves us a new challenge of finding out a new type of figure, not the man of unusual ability, the noble hero, or the folk hero by securing more versions of the narrative and examining them in detail. 문가학 이야기는 진주 ‧ 산청 지역에 전하는 지역 전설이자 인물 전설이다. 또한 역사인물담이다. 문가학은 문익점의 조카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실존했던 인물이며, 산청군 신안면 소이리에는 그가 살았던 집터였다는 못이 전설의 증거물로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문헌 자료와 입말 채록 자료를 통해 문가학 이야기의 모습과 전승, 서사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가학에 관한 이야기는 표현 매체에 따라 크게 글말로 전하는 이야기와 입말로 전하는 이야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글말 이야기는 다시 실록에 기록된 역사 이야기와 지역 문헌에 전하는 글말 이야기로 세분해 볼 수 있다. 입말 이야기와 지역 문헌에 전하는 글말 이야기가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허구로서의 문학이다. 한편, 글로 적혀져 있는 이야기들은 모두 입말로 전해질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역사 이야기는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과 「세종실록」에 나오는 문가학의 난에 관한 기록으로 문가학과 왕의 갈등과 대결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문가학의 승리에서 패배로 나아가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드러나는 문가학의 성격은 비를 내릴 수 있는 도술가이나 역모를 일으켜 처참한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 인물이다. 글말 이야기를 전하는 지역 문헌은 한문 문헌과 한글 문헌으로 구분되지만, 관찬 서적으로 나온 한글 문헌 대부분이 17세기에 나온 한문 문헌인 사찬(私撰) 지리지 󰡔운창지󰡕의 이야기에 바탕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문가학이 여우와의 대결에서 부분적으로 승리함으로써 불완전한 도술을 하게 되어 결국 죽는 것으로 끝난다. 역사에서의 문가학 사건 이후 그의 고향이었던 단성 지역의 선비계층에서는 ‘문가학이 역적으로 죽었다’는 화소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 이 이야기를 전한다. 입말 이야기는 기존 채록 각편 5편과 필자가 직접 현지에서 조사하여 채록한 각편 10편을 대상으로 한다. 이 이야기의 전반부는 지역 글말 이야기의 내용과 같다. 후반부에는 문가학이 왕과의 대결에서 패배하여 역적으로 죽고 말았다는 내용이 이어진다. 문가학이 하고자 한 일은 ‘나라를 세우려 했다’를 비롯해 여러 가지로 전하는데, 입말 이야기 전승자들은 지역에서 글말 이야기를 전승한 선비계층과 달리, 보다 발랄한 허구적 상상력으로 사건을 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가학은 도술이라는 비범한 재주를 지녔던 인물로 조선 초기의 공고한 체제를 뒤엎고 자신의 나라를 세우고자 왕과 직접적으로 대립한 인물이다. 비록 자신의 결점으로 인해 패배에 이르러 비극적 종말을 맞이하고 말았지만, 자신을 둘러싼 외적 세계와 적극적으로 대결하며 자신을 드러낸 인물이다. 이로 볼 때, 문가학 이야기를 ‘알고 모르기’ 유형에서 ‘이인이 자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실패하는 이야기’로 분류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각편을 좀더 확보하고 면밀히 분석하여 문가학이라는 인물에 대해 ‘이인’도 ‘귀족 영웅’도 ‘민중 영웅’도 아닌 새로운 인물형을 찾아야 하리라 본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지용 시의 띄어쓰기와 리듬의 상관성 연구 -1920년대시를 중심으로

        권유성 ( Yu Seung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1920년대 정지용 시가 보여주는 독특한 띄어쓰기를 시적 리듬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1920년대 정지용 시는 당대적 맥락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띄어쓰기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어미나 조사와 같은 허사를 띄어 쓰고 있었던 정지용 시의 띄어쓰기는 음수율을 기반으로 한 당대 정형적 시가의 띄어쓰기나 일정한 관습이 확립되어 있지 않았던 자유시의 띄어쓰기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시에서 허사를 실사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배치한 정지용의 띄어쓰기는 시의 리듬에 대한 고려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었다. 1920년대 동요와 민요풍의 시들, 즉 ‘요(謠)’에서 정지용은 당대의 음수율을 일정 부분 따르고 있었지만 그것을 변형해 그 나름의 독특한 리듬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그것이 어떤 의식 아래 이루어졌는가는 당대 신문에 나타난 동요 기사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그의 동요는 음수율을 기반으로 한 띄어쓰기가 아니라 실제 곡 아래 표기된 가사의 배치와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것을 통해 그의 ‘요’가 시간성을 기준으로 등 장성과 규칙성을 갖춘 정형적 리듬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의 ‘요’에 나타난 띄어쓰기는 ‘노래의 시각화’로 요약될수 있었다. 그리고 ‘요’의 띄어쓰기 형태가 자유시나 산문시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그가 자유시나 산문시 창작 과정에서도 시간성을 고려한 리듬을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자유시와 산문시에서의 띄어쓰기가 ‘요’와 마찬가지로 ‘노래의 시각화’를 위한 장치였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의 대표작 .향수.는 ‘요’의 리듬이 어떻게 변형되면서 자유시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던가를 보여주었다. 그 핵심은 시간적 등장성과 규칙성의 약화 혹은 소멸이었는데, 본고는 그것을 ‘요’와 달리 자유시나 산문시에서는 곡이 전제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의 자유시와 산문시에서의 띄어쓰기는 읽기 혹은 낭독의 과정에서 시간성을 고려한 시적 리듬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즉 ‘리듬의 시각화’ 장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make clea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pacing words and rhythm of Jeong Ji-yong`s poems in the 1920`s. His poems were composed of peculiar spacing words. It was also very particular th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1920`s. This study must have inferred that spacing words related with poetic rhythm. It was the peculiarity of spacing words that focused in chapter two. His poems spaced between an substantive and an expletive. It was the result that gave consideration for poetic rhythm. The ‘Jo(謠)’ among his poems had a formal characteristic of the regular and repetitive in time. Therefore it could be given definition of ‘visualization of song’. On the other hand, his works of free verse or prose poems also have similar spacing words but they were not the regular and repetitive in time. So it could be given definition of ‘visualization of rhythm.’ This peculiar spacing words influenced to his later poems but more or less transformed. It is likely to be considered in contexts of the late 1930`s.

      • KCI등재후보

        관계절 두어(head noun)의 정보와 조사의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

        권유안(Youan Kwon),김영진(Youngjin Kim),남기춘(Kichu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이 연구는 한국어 문장의 관계절 재분석에 관한 것이다. 한국어는 핵-말언어(head final language)로 그 특징이 영어와 다르다. 따라서 한국어는 특징적인 문장처리 과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의적인 관계절 명사구의 구조적 해결과정을 적용하여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결과정을 추론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를 바탕으로 형성된 수정모형과 진단모형을 각각 한국어 문장에 적용하여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소에 적절한 문장모형을 찾고 더 나아가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소에 보다 적절한 모형을 수정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설문지 연구를 통해 구조중의적 문장과 관계절 두어의 논제적 역할(thematic role) 및 중의적 문장간에 난이도를 평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 구조적 중의성이 높은 문장이 보다 어려운 문장으로 평정되었지만 두어의 논제적 역할중의성은 조건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 2는 실시간 과제인 자기조절읽기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통해 구조적, 논제적 역할중의성이 탈중의지역(disambiguation region)에서 반영되는지를 측정하였다. 실험 2의 결과, 논제적 역할의 중의성이 탈중의지역인 관계절 두어에서 나타났다. 실험 3은 주격조사 ‘-가/-이’와 주제표지 ‘-는/-은’이 재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주격조사의 경우 주절의 주어 및 관계절의 주어 모두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주제표지의 경우 관계절의 주어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조적 중의성이 다소 적은 주제표지가 있는 문장의 탈중의지역에서 더 짧은 읽기시간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실험 3의 결과, 주제표지가 있는 문장의 탈중의지역이 주격조사가 있는 문장의 그것 보다 읽기시간이 더 짧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분석과정에서 주제표지의 영향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은 어휘적 정보를 재분석 과정에 적용한다고 가정하는 진단모형이 보다 적절하며 또한 문장에 사용된 어휘적 정보(예를 들어 명사의 논제적 역할)와 문장의 구조적 정보가 상호작용하는 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Head-final languages are different from head-initial languages in many respects. Korean is a head-final language. A number of sentence re-parsing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English, which is a head-initial language. The thematic roles of both head-nouns and case markers are characteristic of Korean senten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matic roles in Korean that affect the sentence re-parsing.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first off-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the type of sentences that entail higher processing cost. It was found that the double displacement condition(D-D)brought about the highest degree of difficulty. In the second experiment, we manipulated the thematic roles of head-nouns in such a way that we could detect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thematic roles on the re-parsing of head-nouns. The condition thus created was D-E, that is, the double displacements in the initial parsing with a single thematic role of “theme” in the head-nouns,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D-D condition, which contains two thematic roles of “agent” and “theme” in the head-nouns. The result of the second experiment was that the reading time of the re-parsing region of the D-D condition was longer than that of the D-E condition. A thir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opic marker “-nun,” which is used only in the matrix sentence in Korean, in reducing the cost of sentence re-parsing. It was found that the topic marker didn’t affect re-parsing; it affects only the initial parsing, which is in conflict with other studies advocating the role of the topic marker in sentence re-parsing in Korean. We could tentatively conclude that there seems to be interactions between lexical and syntactic modules.

      • KCI등재

        전통 문화상품 개발을 활용한 3D 프린팅 교육 프로그램 연구 - 길상 문자 문양을 응용한 노리개를 중심으로-

        권유미(Kwon Yu-Mi) 한복문화학회 2020 韓服文化 Vol.23 No.1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transformed our society into information and digital culture, and thus many changes take place in higher education. In the fashion design field, the new integrated curriculum for introduction to 3D printing and wearable technology i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revolution. To find an integration methodology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created a cultural Hanbok product by applying 3D printing, that is, 3D printed Norigae, which is constructed with auspicious character inscriptions wishing for good luck and longevity. Five steps are involved in 3D printing: 1) Design concept, 2) Collection images, 3) Modeling, 4) Rendering, and 5) Printing. Various designs were created with types of font, engraving, and layers, and shapes of Norigae.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Norigae is useful to understand 3D printing. Also, Norigae made with multi-color 3D printing can be used as a coordinating accessory. Many educational programs used modern accessories to learn 3D printing technologies and processes. However, traditional cultural accessories can be exemplary to learn to use 3D technologies, including modeling software. Besides, students are able to increase cultural knowledge by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 대전광역시 유성구 재활용가능자원 물질흐름분석 및 미래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

        권유리 ( Yuree Kwon ),장용철 ( Yong-chul J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우리나라는 시민들이 재활용가능자원을 분리배출하면 대부분 민간업체들이 수거를 한다. 2017년 말, 중국이 폐플라스틱, 분류하지 않은 폐지, 폐금속 등 고체 폐기물 총 24종의 수입을 중단하면서 중국으로 수출했던 국내 폐기물이 갈 곳을 잃고 이른바 ‘쓰레기 대란’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2018년 발생한 필리핀 폐기물 문제 등 영세기업에 의존한 재활용 산업으로 피할 수 없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영세한 재활용업체를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재활용가능자원 수거를 몇몇 지자체나 단독주택 지역에서 하듯 지자체나 정부가 직접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조사한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경우도 재활용가능자원 수거를 수많은 업체들이 담당하고 있다. 단독주택에서 배출된 재활용가능자원은 지자체가 위탁한 업체에서 수거하지만 단독주택 외 공동주택(아파트)의 경우, 각각 자체적으로 민간업체와 계약하여 재활용가능자원을 수거 및 처리하고 있다. 유성구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아파트가 전체 주거형태 중 65%를 차지하는데 아파트마다 각기 다른 업체들이 재활용가능자원을 수거하다보니 정확한 통계 자료의 확보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생활폐기물 중 재활용가능자원을 중점적으로 물질흐름분석을 실시하였고 작성한 물질흐름도를 바탕으로 미래의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 비판의 맥락과 의미

        권유성 ( Yu Seung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이 글은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재구하고 그 의미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계몽적 지식인에 의한 비판과 주로 종합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에 의한 비판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 시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자세히살필 필요는 이후 문학사적 전개의 동력을 확인한는 것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동인지 문단의 가장 주요한 특징이 예술지상주의로 인식되고 있었다면, 그리고 1920년대 중반 이루어진 문단의 새로운 재편이 동인지 문단의 붕괴와 해체를 통해 가능했다면,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살피는 것은 그런 붕괴와 해체의 추동력을 살피는 것과 연관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광수의 예술지상주의 비판은 조선의 신문화 건설이라는 계몽적 맥락을 동인지와 공유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동인지가 근거하고 있었던 문예론에 접근할 논리를 결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비판으로 이어지기 어려웠다. 즉 이광수는 동인지 문단이 근거하고 있었던 개인의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통한 신문예 건설이라는 부분을 간과한 채, 몇몇 동인들의 개인적인 일탈을 극단적인 언사로 비난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비판은 동인지 문단의 사회적 고립을 강화하는 하나의 계기 정도로 작용할 수 있을 뿐이었다. 반면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에 의한 예술지상주의 비판은 이광수의 그것보다도 훨씬 근본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이들이 동인지 문단이 근거하고 있었던 예술의 근본 원리를 공유한 상태에서, 동인지 문단의 사회적 고립성과 문예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서의 감정 문제까지 그 비판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예술 혹은 문예를 사회적인 소통 쳬계로 인식하고 있었고, 그런 인식 아래 사회적으로 공유될 만한 가치가 있는 감정을 문예가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사회주의경향 지식인의 비판은 동인지의 내적 붕괴를 추동할 수 있는 논리였다. 그런데 이광수와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의 예술지상주의 비판의 차이는 문예의 사회적 소통 체계를 구성하는 한 축인 독자 혹은 대중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 바가 컸다. 이광수는 당대의 독자나 대중을 ‘소아’나 ‘병인’으로 보아 그들의 자발성이나 적극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그는 사회적 소통 체계로서의 문예를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런 반면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의 지식인들은 문예를 기본적으로 사회적 소통 쳬계로 보고 있었는데, 그 바탕에는 독자 혹은 대중에 대한 신뢰가 깔려 있었다. 그들은 인간 개개인이 부조리한 사회 구조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로운 개성을 발휘하며 살 수 있는 사회를 희망했고, 그 과정에서 이들은 대중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믿었다. 이런 독자 혹은 대중에 대한 신뢰가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 이들은 문예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도 ‘문화적 교화’가 가능하다고 믿을 수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considering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criticism on art`s sake in the early 1920`s. In the early 1920`s, it could be investigated in two directions. The one is that presented by Lee, Kwang-soo who was thoroughly enlightening intellectual. The other is that presented by socialist intellectual who participated in socialist journal. The reason why it needed to be explored is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e moments of literary change after that time. The criticism by Lee, Kwang-soo was sharing the context of movement for new-culture construction with 1920`s coterie magazine but it missed the focus of their literary theory. Therefore it only could enforced isolation of the writers of coterie magazine. In contrast, the criticism by socialist intellectuals was more profound than it. It was not only sharing the emphasis of literary emotion with them but also including the dimension of their isolation tendency and connotation of the notion of emotion. They claimed that literature need to deal with socially significant emotion, in other words sympathy, because they were recognizing that literature or art is the system of social communication. These are enough to weakening the ground of coterie magazine. By the way, it was the different point of reader or people that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Lee, Kwang-soo and socialist intellectuals. While Lee, Kwang-soo was not admitted the voluntary ability of people, the socialist intellectuals were not so. They positively believed what people have the possibility of themselves. So they could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enlightenment of people through the literary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