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관계절 두어(head noun)의 정보와 조사의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

        권유안(Youan Kwon),김영진(Youngjin Kim),남기춘(Kichu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이 연구는 한국어 문장의 관계절 재분석에 관한 것이다. 한국어는 핵-말언어(head final language)로 그 특징이 영어와 다르다. 따라서 한국어는 특징적인 문장처리 과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의적인 관계절 명사구의 구조적 해결과정을 적용하여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결과정을 추론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를 바탕으로 형성된 수정모형과 진단모형을 각각 한국어 문장에 적용하여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소에 적절한 문장모형을 찾고 더 나아가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소에 보다 적절한 모형을 수정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설문지 연구를 통해 구조중의적 문장과 관계절 두어의 논제적 역할(thematic role) 및 중의적 문장간에 난이도를 평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 구조적 중의성이 높은 문장이 보다 어려운 문장으로 평정되었지만 두어의 논제적 역할중의성은 조건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 2는 실시간 과제인 자기조절읽기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통해 구조적, 논제적 역할중의성이 탈중의지역(disambiguation region)에서 반영되는지를 측정하였다. 실험 2의 결과, 논제적 역할의 중의성이 탈중의지역인 관계절 두어에서 나타났다. 실험 3은 주격조사 ‘-가/-이’와 주제표지 ‘-는/-은’이 재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주격조사의 경우 주절의 주어 및 관계절의 주어 모두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주제표지의 경우 관계절의 주어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조적 중의성이 다소 적은 주제표지가 있는 문장의 탈중의지역에서 더 짧은 읽기시간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실험 3의 결과, 주제표지가 있는 문장의 탈중의지역이 주격조사가 있는 문장의 그것 보다 읽기시간이 더 짧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분석과정에서 주제표지의 영향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은 어휘적 정보를 재분석 과정에 적용한다고 가정하는 진단모형이 보다 적절하며 또한 문장에 사용된 어휘적 정보(예를 들어 명사의 논제적 역할)와 문장의 구조적 정보가 상호작용하는 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Head-final languages are different from head-initial languages in many respects. Korean is a head-final language. A number of sentence re-parsing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English, which is a head-initial language. The thematic roles of both head-nouns and case markers are characteristic of Korean senten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matic roles in Korean that affect the sentence re-parsing.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first off-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the type of sentences that entail higher processing cost. It was found that the double displacement condition(D-D)brought about the highest degree of difficulty. In the second experiment, we manipulated the thematic roles of head-nouns in such a way that we could detect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thematic roles on the re-parsing of head-nouns. The condition thus created was D-E, that is, the double displacements in the initial parsing with a single thematic role of “theme” in the head-nouns,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D-D condition, which contains two thematic roles of “agent” and “theme” in the head-nouns. The result of the second experiment was that the reading time of the re-parsing region of the D-D condition was longer than that of the D-E condition. A thir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opic marker “-nun,” which is used only in the matrix sentence in Korean, in reducing the cost of sentence re-parsing. It was found that the topic marker didn’t affect re-parsing; it affects only the initial parsing, which is in conflict with other studies advocating the role of the topic marker in sentence re-parsing in Korean. We could tentatively conclude that there seems to be interactions between lexical and syntactic modules.

      • KCI등재

        음절 빈도 효과의 첫 단계, 한글 음절 처리기가 존재하는가?

        권유안(Kwon, Youan),이윤형(Yoonhyung Lee) 언어과학회 2021 언어과학연구 Vol.- No.98

        The syllable parser is basically assumed in order to explai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One of several roles of the syllable parser is to divide syllables from a multi-syllabic word and transform orthographic representation into phonological representation. Thus, this is necessary in languages with a linear alphabetical writing system because syllable boundaries are unclear. However, the letters of Hangul are packed into syllable blocks, and this provides a visual boundary cue between syllables. Therefore,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assume the syllable parser in Korea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has been observed repeatedly in Korean. In order to find the syllable parser in Korean, the present study tested whether or not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s modulated by increasing interval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 presentation via three lexical decision tasks.

      • KCI등재

        실험적 방법으로 탐색한 마기꾼 효과의 원인

        권유안(Youan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과거 위생 마스크(이하 마스크) 착용은 부정적 정보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COVID-19 팬데믹 이후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 되면서 마스크 착용과 부정적 이미지는 반감되고 역전되어 소위 ‘마기꾼 효과(마스크로 가려진 얼굴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착각)’가 나타났다. 이에 몇몇 연구들이 마스크 착용 자가 미착용자보다 긍정적 인상을 주는 원인에 대해 연구하였지만, 대부분 심리적 요인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으로 그 효과를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 방법론적으로도 다소 부족한 점이 있어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여 마기꾼 효과의 원인을 규명하려 시도하였다. 본 연구와 기존 연구와의 방법론적 차이점은 얼굴의 매력도, 친절도, 공격성, 인상의 부드러움을 추가로 물었다는 점이고 또한 마스크를 착용한 얼굴을 보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얼굴이 어떤 얼굴인지 선택지 중에서 선택하게 한 점이다. 만약 이 유도되지 않은 선택이 다른 다수에 의해 이미 매력적인 얼굴로 평가된 얼굴이라면 기존 연구 결과를 보다 강화하는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연구결과 약 50% 사람들이 부드러운 인상이거나 친절한 인상의 맨 얼굴을 선택했고 매력적인 얼굴로는 약 38%만을 선택했다. 이 결과를 근거로 기존 연구의 단점과 마기꾼 효과의 원인을 논의하였다. In the past, wearing a sanitary mask contained negative information. However, as wearing a mask became mandatory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aring a mask and negative images were halved and reversed, resulting in the so-called “mask fishing effect (the illusion that a face covered by a mask looks more attractive).“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studied the causes of the mask fishing effect, there are some shortcomings in the methodology. so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mask fishing effect by supplementing existing studies.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current study asked participants to choose an unmasked face among unmasked faces from a masked face. If this unguided choice was a face that had already been rated as attractive by many others, the results would strengthen the existing findings. However, about 50% of participants chose the unmasked face with the soft or kind impression, and only about 38% chose the attractive fa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discuss the possible causes of the mask fishing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The validation of behavioral test based on mobile devices

        Youan Kwon(권유안)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1

        최근 많은 연구들이 모바일 환경에서 수행된 행동측정의 타당성을 검증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에 발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환경에서 수집된 행동 데이터(예, 반응시간과 오류율)가 행동 연구 영역에 적용가능한지 아닌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4음절 단어 및 비단어들로 구성된 자극목록을 만들고, 71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어휘판단 과제을 수행하도록 요구하였다. 이 과제는 스크린에 제시된 낱자 열이 단어에 속한다면 ‘단어’ 버튼을 또는 제시된 낱자 열이 의미 없는 낱자 열에 속한다면 ‘비단어’ 버튼을 가 급적이면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버튼을 누르는 과제이다. 스마트폰과 타블렛 PC에서 실행된 이 과제를 통해 얻어진 반응시간과 오류율이 PC 환경에서 수집된 메가스터디 결과와 비교되었다. 그 결과 평균 반응시간은 두 환경 간에 비슷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에서 반응시간과 오류율의 분포는 메가스터디에서의 반응시간과 오류율의 분포와는 달랐다. 본 연구는 이 분포의 차이가 두 환경의 다른 반응 민감도에서 유발된 것으로 해석 하였다. 이 해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두 환경간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방법을 논의에서 제안하였다. Recently, many studies have tried to test the validity of behavioral measurement that were conducted by the mobile environment.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ehavioral data (e.g.,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to be measured in the mobile environment (e.g. smartphone or tablet PC) can be applied in behavioral research area or not.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made a stimulus list composed of two and four syllabic strings and asked 71 participants to conduct lexical decision tasks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press ‘word’ button when a presented strings on a screen were categorized in words or to press ‘nonword’ button when the presented strings were categorized in meaningless strings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that were obtained by smartphone and tablet PC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egastudy made up of considerable trials. The result showed that mean response times was very similar between two environments, but the distribution of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on the mobile environment was different from the distribution of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on the megastudy.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t distribution might be induced by the different response sensitivity of two environ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way to narrow the gap between two environments in discussion.

      • KCI등재

        문해력과 어휘 접속 효율 간의 관련성

        권유안(Youan Kwon),박준현(Junhyun Park),홍석성(Seoksung H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Although the literacy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in many areas, it is known rare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cy and the word recognition process. To find the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a correlation between the literacy and the lexical access in a process of word recognition existed, and an experiment to specify the relation among two variables. This study found that a relevance between the literacy and lexical decision latencies and accuracy rates reflecting the effectiveness of lexical access through the exploratory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used the lexical decision task that ask participants to press “word” or “nonword” button when they showed strings on the monitor as correctly and rapidly as they can. Four hundred words were selected from Korean newspapers DB and dialog DB randomly and used stimuli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The current study used verified questionary for the literacy. The results show that upper score group in the literacy score elicit faster lexical decision latency and higher accuracy than lower score group. Based on the result, the present study explained which processes of the lexical access were more efficient in the upper group as compared to the lower group. 최근 문해력이 다방면에 걸쳐 강조되고 있으나 문해력의 기초인 단어 재인과 문해력 간 관련성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에서 문해력과 단어 재인의 한 과정인 어휘 접속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실험 연구를 통해 두 변인의 관련성을 구체화하였다. 어휘 접속을 대표하는 실험 방법으로 어휘 판단 과제를 선택하였다. 이 과제는 단어 또는 비단어를 제시하고 단어인 경우 ‘단어’ 버튼을 비단어인 경우 ‘비단어’ 버튼을 가급적이면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하는 과제이다. 따라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어휘판단 시간과 정답률은 어휘 접속의 효율을 반영한다. 탐색적 연구를 통해 문해력과 어휘 접속의 효율을 대표하는 어휘 판단 시간 및 정확도 간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고 두 변인의 직접적 관련성을 찾기 위해 실험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 연구의 과제는 단일 단어를 모니터에 제시하고 제한 시간 내에 제시된 글자열이 단어이면 ‘단어’ 버튼을 단어가 아니면 ‘비단어’ 버튼을 빠르고 정확히 누르는 어휘 판단 과제였다. 사용한 자극은 국립국어원의 신문과 구어체 말뭉치에서 무작위로 2~3음절 단어 400개를 선정하였으며, 문해력을 측정하기 위해 공인된 문해력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문해력 상위 점수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더 빠른 어휘 판단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에 어휘 접속의 어떤 처리 과정이 상위 집단에서 더 효율적이었는지를 논의에서 설명하였다.

      • KCI등재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음운부호의 활성화 시점

        권유안(Kwon, Youan),이윤형(Yoon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6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of visually presented words had an effect on the pre-lexical stage by investigat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during lexical decision. To do so, 21 participants performed a go/no-go lexical decision task consisting of heterographic homophones (e.g., 같이 – 가치), homographic homophones (e.g., 경비) and control words (e.g., 온탕). Although the N250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N400 effect was significant between conditions. In the discus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voltage map and sLORETA about N250 and suggests that phonological information is used early during the pre-lexical word recognition process.

      • KCI등재

        한국어 시각단어 재인 시 음운정보의 영향

        권유안(Kwon, Youan),남예은(Ye-eun Nam),이윤형(Yoon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5 언어과학연구 Vol.0 No.75

        While a lot of studies with European languages suggested major contributions of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there are studies suggesting little effect of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in Korean visual word processing.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by using an event related brain potential technique known to be very sensitive for measuring on-line language processe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primed go /no-go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pseudo-homophone prime and phonologically identical first syllable prime as well as orthographically identical first syllable prime elicited smaller N250 compared with control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as well as orthographic information is effectively used for the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es.

      • KCI등재

        시각적 단어재인과정에서 단어 빈도와 단어 길이효과의 발현 시점

        권유안(Youan Kwon),이윤형(Yoon 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연구 Vol.0 No.69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lexical access in the visual word recognition. Although behavioral studies showed the interaction between two variables, previous results could not explain the time point that word frequency effect, word length effect and the interaction started.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distinct time point of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effect using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ERP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the word frequency started about 100ms after the onset and the word length effect emerged about 200ms after the onset.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wo variables in all time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word frequency and the word length effect affected in different time points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 KCI등재

        The validation of behavioral test based on mobile devices

        Youan Kwon(권유안)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2

        최근 많은 연구들이 모바일 환경에서 수행된 행동측정의 타당성을 검증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에 발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환경에서 수집된 행동 데이터(예, 반응시간과 오류율)가 행동 연구 영역에 적용가능한지 아닌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4음절 단어 및 비단어들로 구성된 자극목록을 만들고, 71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어휘판단 과제을 수행하도록 요구하였다. 이 과제는 스크린에 제시된 낱자열이 단어에 속한다면 ‘단어’ 버튼을 또는 제시된 낱자 열이 의미 없는 낱자 열에 속한다면 ‘비단어’ 버튼을 가급적이면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버튼을 누르는 과제이다. 스마트폰과 타블렛 PC에서 실행된 이 과제를 통해 얻어진 반응시간과 오류율이 PC 환경에서 수집된 메가스터디 결과와 비교되었다. 그 결과 평균 반응시간은 두 환경 간에 비슷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에서 반응시간과 오류율의 분포는 메가스터디에서의 반응시간과 오류율의 분포와는 달랐다. 본 연구는 이 분포의 차이가 두 환경의 다른 반응 민감도에서 유발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해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두 환경간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방법을 논의에서 제안하였다. Recently, many studies have tried to test the validity of behavioral measurement that were conducted by the mobile environment.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ehavioral data (e.g.,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to be measured in the mobile environment (e.g. smartphone or tablet PC) can be applied in behavioral research area or not.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made a stimulus list composed of two and four syllabic strings and asked 71 participants to conduct lexical decision tasks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press ‘word’ button when a presented strings on a screen were categorized in words or to press ‘nonword’ button when the presented strings were categorized in meaningless strings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that were obtained by smartphone and tablet PC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egastudy made up of considerable trials. The result showed that mean response times was very similar between two environments, but the distribution of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on the mobile environment was different from the distribution of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on the megastudy.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t distribution might be induced by the different response sensitivity of two environ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way to narrow the gap between two environments in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