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중반 ‘기자 형상화’ 소설의 진가(眞價) - 염상섭의 「검사국 대합실」과 「윤전기」를 중심으로 -

        권동우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This paper intends to try a more activ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he impact of Yeom Sang-seop's journalist activities, whic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by researchers, on the creation of novels. As a journalist on "fact/object" and "fictional/subjective,"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a debate between journalism and reporting, I would like to analyze Yeom Sang-seop's understanding and judgment,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artist's creative worldview and work in the mid-1920s, the formation of realism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at Yeom Sang-seop's worries due to the tension between "object" and "subject" required by journalism in dealing with specific cases have been transferred to fiction creation. By exploring the process in which "objective" and "subjective" intersect and the position as a reporter and identity as a writer intervene to form a novel, I would like to confirm the "true value" of the journalist-shaped novel and approach the source of Yeom Sang-seop's realism literature.

      • KCI등재

        통감부 시기, 신습교(神習敎)의 한국포교 양상 연구

        권동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한국학 Vol.45 No.2

        본고는 통감부기 교파신도의 한국 포교 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교파신도의 한국 포교가 재한일본인을 주된 포교대상으로 했다는 기존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였으며, 신습교(神習敎)를 분석 대상으로 했다. 본고의 전개는 다카하시 히사시(高橋久司), 다카하타 이사오(高畑庸), 이학재(李學宰) 등 인물관계를 중심으로 초창기 신습교의 포교 양상을 고찰했으며, 이 과정에서 신궁봉경회(神宮奉敬會)와 ‘동우회(同友會)’, ‘대동회(大同會)’ 등 친일단체와 신습교의 관계, 또 천조교(天照敎)의 정체와 신습교의 관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신습교는 한국인을 주된 포교의 대상으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한국인 이학재를 전면에 내세워 ‘천조교’를 만들고 이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한국 상인(商人)을 회원으로 포섭함으로써 교세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명확히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습교는 초기부터 포교의 대상을 ‘한국인’으로 하는 포교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는 점이 드러났다. 또한 신습교에서는 한국 포교에 있어 초창기부터 이학재를 중심으로 촉탁 포교사의 형태로 한국인을 고용하여 포교의 주체로 내세우는 등, 비록 통감부에 보고되지 않는 촉탁의 형태였지만 한국인 ‘포교사’를 선임하여 한국포교의 기초를 닦고자 시도했던 최초의 교단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 가능성에 관한 연구

        권동우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대순진리회는 교단 내부 구성원들에 있어서나 학계에 있어서나 ‘민족종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민족종교의 성격이 꽤 복잡하다. 곧 민족종교로서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선민사상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인류와 세계를 구제하겠다는 세계종교의 보편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세계종교의 보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수성과 보편성의 논리는 단지 대순진리회에만 국한된 특징이 아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종교들이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고 하는 이중성을 보여 왔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근대 일본에서 형성된 교파신도다. 근대 일본 정부가 국가신도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교파신도는 총 13개 종파가 형성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일본인의 민족적 전통을 계승하는 민족종교라고 하면서도,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세계종교를 표방하면서 해외포교에 나선다. 그렇다면 이처럼 민족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했던 교파신도의 해외포교는 어떻게 귀착되었고, 이들의 세계종교화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처럼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이중성을 보여 왔던 교파신도의 사례를 통해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대순진리회가 지향해야 하는 길에 대해 약간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민족종교’론 또는 ‘민중종교’론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한국에서 민족종교이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하고 있는 원불교의 사례도 점검하는 것으로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경계에 서 있는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지향점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Daesoon Jinrihoe tends to be perceived as a ‘nationalistic religion’ by both internal members of the religious body and outside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However, the character of this particular nationalistic religion is rather complex. On top of emphasizing the special status of the Korean ethnic group while focusing on nationalism as a nationalistic religion, Daesoon Jinrihoe futrther asserts an implication of the universality of world religion aiming to bring relief to humankind and the world. This dynamic is one of the specificity of nationalistic religion and also the universality of world religion. However, this dual logic of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is not characteristic of only Daesoon Jinrihoe. Many religions in the world have also exhibited duplicity as nationalistic religions and world religions. And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Sectarian Shinto as it formed in modern Japan. Kyoha Shinto formed when the modern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Shinto system which had a total of 13 sects. Most of them do not only call themselves a nationalistic religion, inheriting the ethnic tradition of Japanese people, but also jump into overseas missionary work. This started during the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With that in mind, how did the overseas missionary work of Sectarian Shinto aspire for status as a world religion while maintaining their identities as nationalistic religions? Furthermore, how did their movements fare in their efforts to become world religions? Thu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Daesoon Jinrihoe becoming a world religion through some cases of Sectarian Shinto that showed the duplicity as nationalistic religions and world religions. Also, this thesis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 As such,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new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 as it stands on the borderline between being a nationalistic religion and a world religion. This is done by examining the historical flow of theory regarding ‘nationalistic religion’ or ‘minjung religion’ which have long been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lso examined is the case of Won Buddhism which likewise aims to simultaneosuly be both a nationalistic religion in Korea and a world religion abroad.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교파신도의 조선포교 양상 연구―『조선총독부관보』(1911-1945) 기록을 중심으로―

        권동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This thesis generally arranged the current status of distribution by region and period regarding aspects that ‘Sectarian Shinto’ among Japanese religions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society and developed the propagation in it by focusing on “The Official Gazette”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of each sect of Sectarian Shinto in ‘Korea’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ies on Japanese relig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generally stay at general ones. But studies on Sectarian Shinto exposes the errors and limitations as the baseline data have not properly been analyzed. So, the study is meaningful as the basic study for deepening Sectarian Shinto and Japanese religious stud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sect of Sectarian Shinto by compiling a chart about their aspects of distribution by period and region and then gave shape to their aspects of the propaga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one another. The points which are clearly unvei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ctarian Shinto’s propagation did not penetrate deeper into each area in Korea than thought. Second, the existing argument that most of Sectarian Shinto propagated religion targeting Japanese people who lived in Korea could again be found. Third, the comprehensive review of “Statistical Yearbook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Documents Binding Book about Religion”, “The Lists of Religions and Events in Korea”, the records of other government offices, the materials in the order, and the news articles with “The Official Gazette” as the center could be found to have the possibility of outline details of the propagation of Japanese religions in Korea in the Japanese colony era. 본고는 일본계 종교 가운데 ‘교파신도’가 근대 한국사회에 유입되고 포교를 전개했던 양상에 대해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으로 지역별, 시기별 분포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교파신도 각 교파의 ‘조선포교’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일제강점기 일본계 종교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개괄적인 연구에 머물러 있는데, 그 가운데 교파신도 관련 연구는 기초자료의 분석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여 오류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파신도의 시기별⋅지역별 분포 양상을 도표로 제작하여 각 교파별 특징을 살펴본 후, 이들의 포교 양상을 구체화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점은 첫째 교파신도의 조선포교가 생각보다 조선 내 각 지역으로 깊이 침투해 들어가지 못했다는 점이며, 둘째 교파신도 조선포교의 대부분은 조선 거주 일본인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에 두고 『조선총독부통계연보』, 『종교에 관한 잡건철』, 『조선(朝鮮)에 있어서 종교 및 향사일람(享祀一覧)』과 기타 관공서의 기록, 교단 내 자료, 언론기사 등을 종합 검토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일본계 종교의 조선포교 양상에 대한 윤곽을 그려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 재고

        권동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0 No.-

        원불교는 불교인가 아닌가? 이에 대한 담론은 197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대부분이 원불교와 불교를 영향관계 속에서 이해하려는 성향이 강했다. 하지만 대한불교조계종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한국불교는 이미 오랜 역사를 통해 변형의 과정을 겪어왔으며, 또한 한국불교 내에는 조계종 외에도 천태종, 진각종, 화엄종 등 다양한 형태의 종파들이 함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불교종파들도 대부분이 근대 이후에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불교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불교가 역사를 통해 어떠한 변용의 과정을 겪어오면서 현재 상태의 한국불교로 정착되어 왔는가를 생각해야 할 것이며, 그러한 변용의 과정 속에서 원불교와 불교의 문제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즉, 원불교와 불교의 ‘영향’ 관계를 생각할 것이 아니라, 역사를 통해 변용되어 온 ‘불교들’로서의 원불교와 불교가 각각 현재를 통해 어떠한‘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 하는 곳으로 시선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통해 현대사회에 있어서 원불교와 불교의 정체성을 새롭게 설정해 가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Is Won-Buddhism considered Buddhism or not? This discourse emerged during the 1970s and the inclination of most scholars was to analyze the relational influence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However,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already grappled with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out their long history and it is obvious by examining schools within Korean Buddhism, besides the Jogye Order, such as Cheontaejong(天台宗), Jingak jong (眞覺宗), Hwaeom jong (華嚴宗) and others that most of them underwent transformation since the modern period. As su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urse of Korean Buddhism we have to first think about how Korean Buddhism came to be what it is today and what processes of transformation it underwent by examining Buddhist history. This paper argues that we have to re-think the problem of Buddhism and Won-Buddhism within that process of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we should not examine the relational “influence” between Buddhism and Won-Buddhism, rather we should focus on what kind of “role” Buddhism and Won-Buddhism are responsible for in the present period by examining the transformations of other types Buddhism throughout history. By doing so we will shed new light on this issue, and establish a new identity of Buddhism and Won-Buddhism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원불교 ‘교화(敎化)’ 활성화 방안 모색 - 법인정신(法認精神)의 계승과 연계하여 -

        권동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1 No.-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solution in the religious mind or the “The spirit of the Dharma-authentication prayers” which is the foundation of religious sentiment in Buddhism rather than conventional administrative or practical method. To overcome the slump in the missionary work, Buddhism installed “3rd Special Design Committee for Religious Body” in 1987 to make changes in the religious policy for the “specialization in the missionary work”. But, instead of leading to the growth of religion, this kind of effort caused a lot of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missionary work of Buddhism. First, though the specialization in the mission pursues the specialization of the effort of mission through the division of works in the kyodang, it failed, thereby resulting in the despair in the effort of spreading the religion and causing the fixed mission pattern such as focusing on congregation and preaching. Second, the renewal of the titles of clergy trying to focus the “missionary power” on the clergy for the “specialization in the missionary work” for acquiring the uniqueness and specialization ends up with the making the role of layman changed from the initiator of mission to the target of mission. Third, the rite’s devotion or the magnificence of the kyodang space which were tried for the religious enhancement fell into the formalism and the dispute over the ‘title of religious target’ emphasized the transcendence and personality of religious target of Buddhism, thus damaging the religiousness of ‘Everywhere a Buddha Image, Every Act a Buddha Offering’ which is the ideal of Buddhism. 본고는 원불교 교화침체의 문제에 해법을 제시함에 있어 기존의 행정적 또 는 실무적 방법이 아닌 종교적 정신, 특히 원불교 종교성의 가장 근간이 되는 ‘법인(法認)정신’에서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했다. 원불교에서는 교화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1987년 ‘교단 제3대 설계특별위원 회’를 설치해서 ‘교화전문화’를 위한 교단 정책의 대대적인 변화를 단행했다. 그 런데 이러한 일련의 노력이 오히려 원불교 교화 발전에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교당교화의 전문화 지향은 교당 내 업무의 분화를 통해 교화 전문성 확보를 추구하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하면서 교단 전반에 교화에 대한 패배의 식 심화와 법회 중심, 설교 중심의 교화라는 고착된 교화패턴을 낳고 말았다. 둘째, 교화의 고유성과 전문성 확보라는 ‘교화전문화’를 위해 ‘교화권’을 출가 교역자에게 집중하고자 했던 ‘교역자 호칭 정비’는 재가교도를 교화의 주체 세 력에서 교화 대상으로 전락시키고 말았다. 셋째, 신앙성 제고를 위해 시도된 의식의 경건성이나 교당 공간의 장엄 등은 지나친 형식주의에 떨어졌고, ‘신앙 대상 호칭’ 논쟁은 원불교 신앙 대상의 초월성과 인격성을 강조하면서 원불교 가 지향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의 신앙성을 훼손하는 결과 를 초래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태산과 구인제자가 추구했던 ‘무아(無我)’와 ‘공(空)’의 체현을 통해 사념(私念)을 제거하고 그 정신으로 창생을 구제하려 했던 법인정신을 계승하는 것에 의해 교화의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KCI등재

        원불교의 대안교육-사회개혁과 소외의 치유를 지향하는 교육관-

        권동우 한국종교교육학회 2012 宗敎敎育學硏究 Vol.40 No.-

        원불교에서는 현재 영산성지고등학교, 원경고등학교, 경주화랑고등학교, 지평선고등학교, 한겨레고등학교 등 5개의 고등학교와 성지송학중학교, 헌산중학교, 지평선중학교, 한겨레중학교 등 4개의중학교, 그리고 중ㆍ고 통합학교인 은혜학교까지 10개의 대안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대안학교는 모두 교육당국이 학력을 인정해 주는 이른바 인가형 대안학교이다. 원불교의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의 운영은 한국의 대안학교 역사에 있어 효시를 이룬다. 그렇다면 이러한 원불교 대안교육은 어떠한 사상적 배경을 토대로 형성되고 유지되고 있는 것일까? 본고에서는 원불교의 교리사상을 근간으로 원불교 대안교육이 사요의 ‘타자녀교육’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밝힌다. 특히 사요의 정신이 일원상진리를 바탕으로 한 사은의 상즉성, 즉 없어서는 살수 없는 관계인식을 토대로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이로부터 원불교의 대안교육이사요의 정신인 ‘사회개혁’과 ‘소외’와 ‘차별’로부터 ‘치유’와 ‘회복’을 지향하는 교육의 방향을 견지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이와 같은 사상적 인식을 토대로 원불교 대안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점검하였다. 그 중에서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원불교의 대안교육은 대안학교의 범람과 더불어 대안교육의 보편화가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대안교육을 또 하나의 경쟁수단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으로부터소외된 이들에게 어떠한 교육평등의 기회를 부여할 것인가에 대해 점검하면서 대안교육의 미래적방향을 설계해 가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천리교의 토착화 과정 연구― 조선인 포교의 방향과 실제 양상을 중심으로

        권동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9 No.-

        There were total 11 sects that flew into and propagated the religion in Joseo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mong them, Tenrikyo could be pointed out as a sect succeeded in naturalization. Should the naturalization of Tenrikyo in Joseon be regarded as an outcome of executing the direction of ‘world universal religion’ through overseas propagation, which was intended by the headquarters and leadership of Tenrikyo? Or was the religiosity of Tenrikyo naturally formed in the direction totally different from the propagation in Joseon they had argued, which was led to the naturalization of religion?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actual status of propagation in Joseon based on the gap between Tenrikyo’s intended direction of propagation and the actual aspect of propagation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under the subject of ‘naturalization’ of Tenrikyo. As a result, the secret in which Tenrikyo could propagate the most Joseon believers compared to other sectarian shinto in Joseo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the ‘treatment of sickness’ defi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non-modern medical treatment and ‘non-civilization’. Tenrikyo’s biggest obstacle to propagation in Joseon was the ‘assimilation’ logic of universal brotherhood used by the leadership of Tenrikyo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establishing Tenrikyo as a world universal religion. 일제강점기 조선사회에 유입되어 포교를 전개했던 교파신도는 모두 11개 교파였다. 그 가운데 그나마 토착화에 성공한 교단을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天理敎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천리교의 조선 내 토착화는 근대 천리교 본부와 지도부에서 의도했던 ‘세계 보편종교’의 방향이 해외포교를 통해 실행된 결과물일까? 아니면 그들이 주장해 왔던 조선포교 방향과는 전혀 다른 방향에서 천리교적 종교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신앙의 토착화로 이어진 것일까? 본고는 이러한 천리교의 ‘토착화’를 화두로 일제강점기 천리교에서 의도한 조선포교의 방향과 실제 포교의 양상이 어떠한 간극을 보이는 가운데 조선인 포교를 실행해 왔는지 그 실상을 찾아보고자 하는 작업이었다. 결과적으로 일제강점기 천리교가 조선사회에서 다른 교파신도에 비해 가장 많은 조선인 신자를 포교할 수 있었던 비결은 일본 정부에 의해 비근대적 의료행위로서 ‘비문명’으로 규정했던 ‘치병’이었다는 점, 이에 대해 오히려 천리교의 조선포교에 있어 가장 큰 장애가 된 것은 천리교 지도부와 조선총독부가 천리교를 세계 보편종교로 정립하기 위해 내세운 사해동포의 ‘동화’ 논리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쓰기 윤리’를 매개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교육 과정 및 사례 연구

        권동우,배혜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Digital Literacy’ refers to a capability to evaluate and judge reliability of diverse information distributed through digital networks, and to change this to knowledge that is necessary to individuals by sorting out, selecting, editing, and process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gital media apparatus and platforms, this digital literacy is being more highlighted. But the use of digital medial among writing learners is still at its primary stage to check and transf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a result, the failure in invigoration of digital literacy in a very true sense is making it impossible to extend independent writing. The introduction and the cultivation of ‘writing ethics’ that this paper focuses on, can be a drive to extend writing, since it facilitates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writing itself.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mediating role of writing ethics and its effect on digital literacy writing, rather than putting essential emphasis on it in a primary sense. When it comes to using digital literacy as a previous step of writing, writing ethics is part of the solution for a critical mind on how to boost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expression, which are fundamental issues in writing. Writing ethics education and learning enhance discernment of digital information, naturally leads to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writing, and invigorates digital literacy again. Ultimately, a virtuous circle is formed in this way.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서 유통되는 다양한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ㆍ판단하고 이를 취사・선택・편집・가공하여 자기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최신 디지털 미디어 기기와 플랫폼의 다변화로 인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양상은 정보와 지식을 확인하고 옮겨오는 일차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활성화에 이르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체적 글쓰기라는 확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주목하는 ‘쓰기 윤리’의 도입과 의식의 함양은 그 자체로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글쓰기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글쓰기의 확장으로 이끄는 하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쓰기 윤리에 대해 일차적인 의미의 당위적 강조가 아닌 그것이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에서 불러일으키는 매개적 역할과 효과에 대해 주목하였다. 즉 디지털 리터러시를 글쓰기의 전(前) 단계로 활용함에 있어, 어떻게 그것을 글쓰기에서 요구하는 본질적 문제인 창조적 사고와 주체적 표현으로 유도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답의 한 방편에 쓰기 윤리가 자리한다. 쓰기 윤리 교육과 학습은 디지털 정보에 대한 분별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고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글쓰기를 이끌어내며, 이는 다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선순환의 구조를 만들어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