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말기 암 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권경은,김분한,장윤정,김희정,정연,Kwon, Kyeung-Eun,Kim, Boon-Han,Chang, Yoon-Jung,Kim, Hee-Jung,Jung, 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is exploratory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of family memb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collected through the telephone counselling service by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Methods: The study included 113 family memb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had enrolled at the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for the period from June, 2007 through March, 2008 and had agreed to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n=113) consisted of grown-up children (n=82) and spouses (n=8) of patients'. Those in their 40's (n=40) and 30's (n=36)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sample. The questions raised most were about the information on treatment methods (n=117),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s (n=46), terminal cancer patients' life (n=27), deathbed and prediction of remaining life (n=18), hospitalization (n=16), and financial support (n=15). Most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telephone counseling services, and 69% of the subjects had come to know about the telephone counseling service via Internet, and 10.6% of them stated that the PR for the service was poor. Conclusion: It is deemed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to use the mass media for PR of the hospice services, since family memb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re less aware of the hospice conducive to enhancement of patients' remaining quality of life, being involued too deeply in their treatment. 목적: 본 연구는 국가암정보센터의 전화상담을 통해 말기 암 환자가족의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를 통해 말기 암 환자 간호의 질을 향상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국가암정보센터를 통해 문의한 말기 암 환자 가족 중 만족도 조사에 동의하고 실제 통화된 113명을 대상하였다. 결과: 1. 정보를 요구한 말기 암 환자 가족은 113명으로 가족 중 자녀(82명)와 배우자(8명)가 주로 이용하였고, 연령은 40대(40명)와 30대(36명)의 이용이 많았다. 가장 많은 질문은 치료방법 117건, 말기 암 환자의 관리 46건, 말기 암 환자의 생활은 27건, 임종과 수명예측 18건, 입원기관에 관한 정보 16건, 경제적 지원은 15건 으로 나타났다. 전화상담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을 보였다. 전화상담 서비스를 알게 된 경위는 인터넷이 69%로 가장 많았고 상담 후 개선사항을 묻는 질문에 홍보가 부족하다는 대답이 10.6%로 가장 많았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말기 암 환자 가족은 치료방법에 매여 있어 남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적은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 매스미디어를 활용한 호스피스 홍보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금상품거래 위탁계약에서 장래의 금 가격은 소비자에게 고지해야 할 ‘중요사항’에 해당하는가 - 最高裁判所平成22年3月30日第三小法廷判決에 대한 판례 평석 -

        권경은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49

        Today, in the era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a market isoperated by two axes, companies and consumers. Consumers are required tobe wise when they purchase goods for their consumption or daily life. Butin fact, the damages brought by the consumption and purchase activity areincreasing every year, because consumers can not get enough informationthan companies can. Thus, how could we prevent and relieve consumers’damage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Although there may be many measures to prevent consumers' damages,but putting companies under the obligation not to lie or exaggerate to consumerswhen purchasing goods, and under the liability for the sincere explanationconcerning transactions, would be a efficient means. By the way, in Japan, Consumer Contract Law established in 2000 rulesthe contracts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Article 4 of ConsumerContract Law provides that companies should notify consumers of ‘importantmatters’ related to the contracts beforehand. And it also provides thatconsumers could claim the cancellation of contracts where companies violateabove prescription. The case of this article relates to above mentioned ‘importantmatters’. The points of this case at issue are two. The first is, whether it is theviolation of the article 4 (1) of Consumer Contract Law which forbids companiesdefinitive predictions, where a company made a consignment contract with a consumer about futures trading of gold, and if the company made commentsthat the price of gold would go up in the near future. The second is whetherthe comments above mentioned obeyed notifying consumers of disadvantage(in this case, the possibility that the price of gold could fall sharply), whichthe article 4 (2) of Consumer Contract Law provides. The Supreme Court of Japan reversed the decision on original jurisdiction,stating that the price of gold in the future is not the ‘important matter’which the article 4 (2) of Consumer Contract Law provides, and orderedthe case sent back to the court below. 대량생산, 대량소비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날은 사업자와 소비자라는 두 개의 축에 의해서 시장이 돌아가고 있다. 소비생활 및 구매활동을 함에 있어서 소비자에게는 현명한 판단을 할 것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지만, 사업자에 비해 정보 등 여러 면에서 열등한 지위에 있는 소비자가 소비 및 구매활동으로 받는 피해는 매년증가일로에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피해를 어떻게 방지하고 구제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소비자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사업자로 하여금 거짓, 과장된 사실로 소비자를 현혹시키지 말 것과 소비자에 대해 거래와 관련하여 성실한 설명의무를 다하도록 의무화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수 있다. 실제로, 우리 소비자기본법 제19조는 사업자의 책무로서 ‘사업자는 물품등을 공급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이나 이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거래조건이나 거래방법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제2항)고 규정하는 동시에, ‘소비자에게 물품 등에 대한 정보를 성실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것’(제3항)을 규정하고 있고, 그 외 방문판매법 제23조와 전자상거래법 제21조 및 할부거래법 제34조등에서도 거짓 또는 과장된 사실을 알리거나 기만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사업자가거래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사업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행위에 대해서는 지난 2000년에 제정된 소비자계약법에 의해 계약법적 규율을 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이 규정하는내용 중 제4조에는 ‘사업자가 소비자와 소비자계약을 체결할 경우 거래와 관련된중요사항에 대해서는 소비자에게 고지할 것’과 ‘이를 위반한 경우 소비자가 계약을취소할 수 있다’는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판례 역시 이러한 ‘중요사항’에 관련된 것이다. 본 사안은 금선물거래 위탁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사업자가 소비자에 대해 장래에 금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말한 것이 일본소비자계약법 제4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단정적 판단의 제공에 해당하는지와 동조 제2항에서 규정하는 불이익사실의 불고지(본 사안에서는 금값이 장래에 폭락할 수도 있다는 사실의 불고지)에 해당할 것인지가 문제되었다. 일본의 최고재판소는 금 선물거래위탁계약에서 장래의 금값은 소비자계약법 제4조 제2항 본문에서 규정하는 ‘중요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원심으로 돌려보냈다. 사업자가 소비자와 계약을 체결할 때, 사업자는 대개 당해 계약을 통해 소비자가 얼마나 많은 이익을 손에 넣을 것인가는 과장해서 설명하지만, 불이익이 될 사실에 대해서는 고지하지 않거나 축소해서 설명하는 경향이 많다. 특히, 체결하고자 하는 계약내용이 투기성이 강한 장래의 선물거래인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당해 계약을 통해 손에 넣을 것이 예상되는 이익은 소비자가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동기로 작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것인데, 소비자가 사업자의 감언이설에 속아 계약을 체결한 후 정작 예상했던 이익을 손에 넣기는커녕 오히려 손해만을 입었다면, 사업자가 사전에 불이익이 될 사실을 말하지 않은 것이 ‘불이익사실의 불고지’ 혹은 ‘단정적 판단의 제공’ 등에 해당하여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사유가 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진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은 바로 이에 대해 ...

      • 부산 해운대 the# 센텀파크

        권경,Gwon, Gyeong 한국주택협회 2006 주택과 사람들 Vol.196 No.-

        지상에 차가 없는 공원 같은 아파트. 부산 해운대 the# 센텀파크에 사는 권경 주부는 요즘 사는 맛과 재미를 느낀다고 한다. 바로 the# 센텀파크의 매력에 푹 빠져 있기 때문이라고. 뒤로는 장산, 앞으로는 수영강이 펼쳐진 곳에 위치한 해운대 the# 센텀파크에 살고 있는 권경 입주민으로부터 the# 센텀파크의 진수를 들어본다.

      • KCI등재

        瑕疵ある建物に関する諸問題 - 最高裁平成22年6月17日第一小法廷判決及び最高裁平成23年7月21日第一小法廷判決を中心に-

        권경은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법학논고 Vol.0 No.46

        The house is one of the most expensive purchases in our life. And manypeople pay the loan back used for the house throughout the life. So, we caneasily suppose the hidden defect in these expensive purchases will cause thegreat distress to the purchasers. Recently, many problems were brought up related to the hidden defect ofthe buildings including houses in Japan. And judicial precedents about theseproblems have been accumulated by the courts of Japan. For example, in casethe house has to be rebuilded because of serious defects, the Supreme Courtof Japan ruled that the contractor is responsible for those damages equivalentto the value of rebuilding expenses based on defect warranty liability. And theSupreme Court of Japan also determined that the architect, supervisor, builderresponsible for the tort liability caused by the serious defects of the building. We could find significance in this leading case on the follwing points. TheSupreme Court of Japan granted the purchaser of the new building to suitdamages equivalent to rebuilding expenses, against the seller and the builderbased on tort liability caused by the grave defects. On that case, those whohave obligation to compensate should not deduct the benefits of living on thebuilding from the damages by the legal principle of profit and loss offset. Thisproblem has been discussed by the lower courts of Japan for a long time. Thisprecedent is the first judgment by the Supreme Court of Japan on this problem. 住宅の購入は、人間が人生を生きる中で最も高価な買い物の一つといえる。場合によっては、住宅の購入にかかった費用を一生にかけて支払い続ける人も少なくない。ところで、このような高価な買い物である住宅に瑕疵が存在する場合、買主はそれにより被害を被ることになる。近年、瑕疵ある建物については、日本でも多くの問題が生じており、判例においてもこれに係る判断が蓄積されている。例えば、重大な瑕疵のために建物を建替えざるを得ない場合に、請負人の瑕疵担保責任に基づいて建替費用相当額につき損害賠償請求が認められた事例(最判平成14年9月24日判時1801号77頁)や、重大な瑕疵のある建物の設計者、管理者、施工者等が不法行為責任を負うことが認められた事例(最判平成19年7月6日民集61巻5号1769頁)等がそれである。その中で、本判決は、新築建物の買主のXが建物の重大な瑕疵を理由として売主のY1及び工事施工者Y2等に対し、不法行為責任に基づいて建替費用相当額の損害賠償を請求できるとの原判決を前提とした上で、この場合賠償義務者Yらは賠償額から買主の居住利益等を損益相殺等の対象として控除することはできないと判断したことに意義がある。さらに、本判決は、従来日本の下級審で争われていた控除の可否につき、最高裁が初めて判断したということにもその重要性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

      • KCI등재
      • KCI등재

        집단상담 윤리 요소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권경,조수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is study aims to derive ethical elements that need to be recognized as group counseling ethic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general survey was conducted on group counseling related researches and documents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se included the Institute Code of Ethics established in Korea and orientation materials used in group therapy scenes. Under the direction of three group counseling professionals, a draft of Group Counseling Ethics Delphi questionnaire was made. In order to derive ethical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the consensus process on the validity of each element should be derived. With this purpose the Delphi method was repeated three times, confirming the agreement of 29 group counseling experts.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was employed as a data processing method. As a way of measur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content validity of each element,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was calculated for each item by applying the internal validity calculation formula developed by Lawshe. As a result of the study, 143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ethics consisting of 11 categories and 41 areas were drawn. The 11 categories of group counseling ethics include, ‘confidentiality’,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unseling’, ‘counseling relationship’, ‘ethical problem solving’, ‘responsibility of the group counselor’, ‘supervision training and education’, ‘pushing the values of the counselor’, ‘expertise in group counseling’, ‘composition of group counseling’, ‘orientation’, and ‘termination of group counseling’. Among these, 6 categories including ‘confidentiality’, ‘counseling relationship’, ‘expertise in group counseling’, ‘supervision training and education’, ‘responsibility of the group counselor’, ‘ethical problem solving’ were derived as the essential categories of group counseling eth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the ethical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and the specification of essential ethical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본 연구는 집단상담 윤리로 인식되어야 할 집단상담 윤리 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판된 집단상담 윤리 연구 및 관련 자료, 국내외 학회 윤리 강령, 집단상담 장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오리엔테이션 자료들을 중심으로 집단상담 윤리 개관을 하여 집단상담 윤리 요소를 추출하고, 3명의 집단상담 전문가의 감수를 통해 집단상담 윤리 델파이 설문 초안을 작성하였다. 집단상담 윤리 요소 도출을 위하여 요소별 내용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 과정을 도출하기 위해 29명의 집단상담 전문가에게 3차에 걸쳐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소별 중요도와 내용 타당도를 Lawshe가 개발한 내적 타당도 산출 공식을 적용하여 항목별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총 11개 범주, 41개 영역, 143요소로 구성된 집단상담 윤리 요소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집단상담 윤리 요소 범주는 ‘비밀유지’, ‘집단상담 참여’, ‘상담관계’, ‘윤리적 문제 해결’, ‘집단상담자 책임’, ‘수퍼비전 훈련․교육’, ‘상담자 가치관 주입’, ‘집단상담 전문성’, ‘집단상담 구성’, ‘오리엔테이션’, ‘집단종결’로 확인되었다. 그중 ‘비밀보장’, ‘상담관계’, ‘집단상담 전문성’, ‘수퍼비전 훈련․교육’, ‘집단상담자 책임’, ‘윤리적 문제 해결’의 6개 범주는 집단상담 윤리의 핵심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 윤리 요소를 전체적으로 종합하고, 중요한 집단상담 핵심 윤리 요소를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권경인(Kwon Kyung In),김지연(Kim Ji Yeon),계은경(Gye Eun G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대학원 학위 과정에 개설된 집단상담 수업에 참여한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긍정적인 수업의 내용 요소와 방법 요소, 그리고 성과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10여개 대학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상담 및 상담 관련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9월의 기간 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QR-M의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2016년 10월∼2017년 1월에 걸쳐 최종적으로 10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수업의 내용 요소 중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내용은 집단상담 관련 지식, 집단 운영 기술, 집단상담자 자질 및 윤리의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상담 수업의 형식 요소 중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수업 방법은 집단상담 이론 학습방법, 간접실습방법, 직접실습방법, 그리고 수퍼비전의 4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수업의 성과는 개인내적변화, 집단에 대한 신뢰 형성 및 심화, 전문성 함양이라는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육의 수요자가 되는 학습자들의 인식을 통해 상담자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elements, method elements, and outcomes of positive instruction that learners perceive of 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cla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graduate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s in 10 universities nationwide from June to September 2016, and the data of 106 students were analyzed by the CQR-M method from Octorber 2016 to January 201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contents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class, positively perceived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group counseling knowledge, group operation skill, group counselor qualification and ethics. Second, among the form factors of group counseling class, the lessons that the learners perceive positively appeared as the four categories of group counseling theory learning method, indirect practice method, direct practice method, and supervision. Third, the outcomes of the lessons recognized by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dividual internal change, trust formation and deepening of group, and professional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hat they provided specific implication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counselors through the perception of learners who are the consumers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의 외상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증상의 매개 효과

        권경은 ( Kyoung Eun Kwon ),정희 ( Hee Jung ),한우리 ( Woo Ri Han ),김장래 ( Jang Rae Kim ),이소희 ( So Hee Lee )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2020 精神病理學 Vol.24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uma on depression manifesting a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TSS) among adolescents. Methods : Participants included 113 adolescent students living in Korea. For evaluation of psychiatric symptom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s; including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the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and Lifetime Incidence of Traumatic Events-Child (LITE-C). Self-reports were completed twice including a baseline questionnaire (T1) and again six months later (T2). Results : The direct effect of trauma on T2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B = 0.028, p = 0.903). The indirect effect of trauma on T2 depression was mediated by T2 PTSS [B = 0.414, CI = [0.019, 0.956]); (LITE-C(T1)→CROPS(T1): B = 0.794, p<0.05, LITE-C(T1)→CROPS(T2): B = 0.649, p<0.05, CROPS(T1)→CROPS(T2): B = 679, p<0.001, CROPS(T2) →CDI(T2): B = 0.638, p<0.001].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intervention to lower prolonged PTSS is required to prevent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문학 텍스트의 머신러닝 활용방안 연구 - 화자 지시어 분석을 위한 규칙 선별을 중심으로 -

        권경,고일주,이인성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가상 캐릭터(virtual character) 구현을 위해 텍스트 내의 화자 지시어가 지시하는 화자를 판별할 수 있는 규칙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한다. 선행 연구에서, 본 연구자는 문학 텍스트 를 기계 학습에 적용할 때, 별칭, 별명, 대명사와 같은 화자 지시어들이 특정한 분석 규칙 없이는 기계가 화자를 제대 로 파악하지 못하여 학습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화자 지 시어(대명사 포함)가 지시하는 화자를 찾는 9가지 규칙'을 소개한다: 위치, 거리, 대명사, 가주어/진주어, 인용문, 화자 수, 등장인물 외 지시, 복합 단어 지시, 화자명 분산이 그것이다. 문학 텍스트 내의 등장인물을 가상 캐릭터로 활용하 기 위해서는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학습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한 화 자 찾기 규칙이 문학 텍스트를 머신러닝에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원활한 학습을 수행하게 하 여 질적으로 우수한 학습 결과를 산출할 수 있게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ules that can identify the speaker referred by the speaker directive in the text for the realization of a machine learning-based virtual character using a literary text. Through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when applying literary texts to machine learning, the machine did not properly discriminate the speaker without any specific rules for the analysis of speaker directives such as other names, nicknames, pronouns, and so on.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nine rules for finding a speaker indicated by speaker directives (including pronouns)’: location, distance, pronouns, preparatory subject/preparatory object, quotations, number of speakers, non-characters directives, word compound form, dispersion of speaker names. In order to utilize characters within a literary text as virtual ones, the learning text must be presented in a machine-comprehensible way. We expect that the rule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reduce trial and error that may occur when using literary texts for machine learning, and enable smooth learning to produce qualitatively excellent learning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