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탐색한 숲유치원 교사들의 괴로움과 보람에 대한 이야기

        구혜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problems and difficul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teachers working in forest kindergarten and to help the activation of forest kindergarten by finding meaning. For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study participants. All the statement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analyzed by Colaizzi 's phenomenological method to construct meaningful contents. As a result, 6 themes were extracted from 12 theme clusters and finally two categories were extracted. The categories of 'suffering' were extracted from the theme clusters of 'anxieties and trials about forest activities', 'burdens on work', 'lack of knowledge on forests' and 'anxiety about safety'. In the theme clusters of 'value and happiness in the forest' and 'teacher who grows with forest', the category of 'worth' was extracted. We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the forest activity that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Through this,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were burdened by difficulties in forest activities, but they were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answers to the problems that were constantly occurring. 본 연구는 숲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경험을 통해 실질적인 고충과 어려움을 살펴보고 의미를 찾아 숲유치원 운영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인 숲유치원 교사 6인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진술된 내용은 모두 녹음 되어 전사하였고, 의미 있는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인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개의 주제에서 6개의 주제군을 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 2개의 범주가 추출되었다. ‘숲활동에 대한 고민과 시련’, ‘업무에 대한 부담감’, ‘숲지식의 부족함’, ‘안전에 대한 불안감’의 주제군에서 ‘괴로움’의 범주가 추출되었고, ‘숲이 주는 가치와 행복감’, ‘숲과 함께 커가는 교사’의 주제군에서는 ‘보람’에 대한 범주가 추출되었다. 이는 숲유치원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숲활동에 대한 심리적 현상을 통해 교사들이 숲활동에 대한 고충과 어려움으로 부담스럽지만 끊임없이 발생하는 고민의 해답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었으며 그 속에서 보람을 찾는 교사의 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구혜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For this purpose, 12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t college were analyzed their autobiographical record of their experience in science from childhood to the pres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First, the perception of science in childhood is 'self-made science'. It was recognized science as a fun play where I experience myself directly in nature with 'together with plants and animals', 'playing with nature,' 'experiencing directly,' and 'fun to learn by oneself.' Second, the perception of science in school days is 'forced science'. It was recognized as a subject to be forcibly memorized for grades with 'fearful science time' and 'give up science', and eventually abandoned due to scary and hard science. Third, the perception of science as a pre-service teacher is 'spontaneous science'. Recognizing that it is a science that feels natural when you look back on your life as a preliminary teacher through 'restarting science' and 'efforts for future scientists'. And pre-service teachers had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that they experienced during their childhood and school days, so they took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es and showed confidence that they could easily reach science to children. It also showed effort and commitment as a teacher to teach children to lead future science together. 본 연구는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 유아과학교육 과목을 수강한 12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과학에 대한 경험을 기록한 자서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유년 시절의 과학에 대한 인식은 ‘스스로 과학’이다. ‘동식물과 함께하기’, ‘자연과 함께하는 놀이’, ‘직접 체험하기’, ‘스스로 알아가는 재미’로 스스로 자연에서 찾아 직접 체험하는 재미있는 놀이로 과학을 인식하였다. 둘째, 학창 시절의 과학에 대한 인식은 ‘억지로 과학’이다. ‘두려운 과학시간’, ‘과학 포기하기’로 성적을 위해 억지로 외우는 힘든 과학으로 인해 결국은 포기하게 되는 과목으로 과학을 인식하였다. 셋째, 예비교사 시절의 과학에 대한 인식은 ‘저절로 과학’이다. ‘과학 다시 시작하기’, ‘미래의 과학자를 위한 노력’으로 예비교사로서 생활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돌아보면 저절로 느껴지는 과학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에 겪었던 과학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인 경험들이 쌓여 유아과학교육이라는 강좌를 통해 유아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과학에 대한 자신감과 함께 미래의 과학을 이끌어나갈 유아를 가르칠 교사로서의 노력과 다짐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 KCI등재

        가브리엘 뱅상 그림책「un jour, un chien」의 유아교육적 함의

        구혜현,홍희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가브리엘 뱅상의 그림책에 대해 탐색해 보고 유아 교육적 의미를 찾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브리엘 뱅상의 글 없는 그림책「un jour, un chien」을 분석하였으며, 그 속에 담겨있는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의 구성에서의 의미를 살펴보면, 소묘의 표현으로 최소 한의 거친 선과 흑백의 명암만을 이용한 크로키 기법을 활용하였다. 힘 있는 터치감으로 낮부터 해가 지는 저녁, 밤까지 하루의 이야기를 글로는 표현할 수 없는 깊은 부분까지 그려내고 있었다. 둘째, 그림 속에 숨겨진 이야기에서의 의미를 살펴보면, 달리는 차 창밖으로 버려진 개의 절박했던 하루의 슬픔, 그리움, 다시 찾은 행복까지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담고 있다. 이는 등장인물의 심리나 분위기,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이 그림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글자에 익숙하지 않은 초기 문해자인 유아들에게 적합한 그림책이며 읽는 책이 아닌 보는 책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통하여 유아들은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며 시각적 문해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icture books of Gabriel Vincent and to find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Gabriel Vincent 's picture book "un jour, un chien" was analyz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contained in it i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 picture composition is the drawing and the croquis technique using only minimal coarse line and black and white contrast is utilized. With a strong sense of touch, from the day to the evening and the night, the story of the day was drawn up to a deep part that can not be expressed. Second, the meaning of the story hidden in the picture is the story of abandoned dog from car window that in contains various emotional changes ranging from sadness, longing, happiness that has come back.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psychology, the mood, and the situation that can occur realistically with the only picture. Therefore, it is meaningful as a book that is suitable for early literate children who are not accustomed to writing. It is a viewing book, not a reading book. This suggests that young children can develop their own stories and develop visual literacy.

      • KCI등재

        숲유치원과 일반유치원 만 3, 4, 5세 유아의 체격과 체력 비교 분석

        구혜현,이윤진,김인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3, 4 and 5 year old children’s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in a forest kindergarten and an ordinary kindergarten. We examined how different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s between the children who have done ecological activities and not ones. For this study,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physique(i.e., height, weight, BMI and fatness index) and the physical strength(i.e., sense of balance, flexibility, reflex abilities, endurance and agility) of 172 children in the forest kindergarten and 204 children in an ordinary kindergarte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among the 3 and 4 year olds in there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between the two kindergartens. However, for the 5 year old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ir physique(i.e., weight, BMI and fatness index) and physical strength(i.e., sense of balance, reflex abilities, endurance and agility). It can be observed that there are positive benefits derived from long-term ecological activities as evidenced in the children in the forest kindergarten as compared to the ordinary kindergarten. 본 연구는 숲유치원과 일반유치원 만 3, 4, 5세 유아들의 체격과 체력 비교를 목적으로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숲유치원 유아와 일반유치원 유아의 체격과 체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숲유치원 만 3, 4, 5세 유아 172명과 일반유치원 유아 204명의 체격(신장, 체중, BMI, 비만도)과 체력(평형성, 유연성, 순발력, 지구력, 민첩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만 3, 4세 유아의 체격과 체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만 5세 유아의 경우, 체격(체중, BMI, 비만도)과 체력(평형성, 순발력, 지구력,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숲유치원의 숲활동이나 텃밭활동이 단기적으로 전개했을 때보다 장기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유아의 체격과 체력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돈」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혜현,김숙자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돈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2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총 5주 동안 ‘돈’을 주제로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돈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적 접근 방법인 돈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oney projects effect the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s and purchasing behavior. For this, a project approach was taken with two groups of 20 to compare for 5 weeks in Daejeon D kindergarten.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ney based projects give a positive effect on a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s and purchasing behavior. We can know that money project activities which is integrated approach effected the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s and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숲에서 이루어진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가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구혜현(Hye-Hyun Ko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숲에서 이루어진 자유놀이가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48명의 유아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숲에서 자유놀이를 하는 유아 23명(남 10명, 여 13명)은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유치원 교실의 영역별로 구성된 환경에서 자유선택활동을 하는 유아 25명(남 14명, 여 11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 였다. 실험처치인 숲에서의 자유놀이는 9월 2주부터 11월 2주까지 매주 2회 10주간 실험집단의 유아 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검사 도구인 자연친화적 태도는 실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 아들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숲에서 자유놀이를 경험한 만 5세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 점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치원 실내 외의 인공적으로 구성된 환경에서 이루어진 자유선택 활동보다 자연과 함께 한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luence of free play in forest in childhood`s nature-friendly attitude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48 children under 5 years old. Of these, 23 children(10boys and 13girls) who were free play in the forest are experimental groups, and 25 children(14boys, 11girls) who perform free choice activities in a kindergarten classroom are control groups. Experimental treatment was to play freely in the fores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ice weekly for 10 weeks from September second week to November second week. The test tool was a nature - friendly attitude and conducted to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free play in the forest showed meaningful results in the score of nature - friendly attitude. This indicates that the free play in the fores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nature 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the free choice activities in the artificial environments of kindergarten indoor and outdoor.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유아 원예활동 프로그램 개발

        구혜현 ( Koo Hye Hyun ),김숙자 ( Kim Suk J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유아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론적 준거 추출을 위하여 선행연구의 문헌을 고찰 하였고, 실천적 준거 추출을 위하여 원장, 교사, 학부모의 설문과 면담을 통하여 요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를 전문가 협의를 거쳐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유아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안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치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20개의 활동을 적용하고 유아의 공존 소양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존소양에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유아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생활 속에서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자연과 친근하게 접하며,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horticultur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 literature of the previous research was analyz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e, the needs assessment of the director, preschool teachers, and parents were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to develop a pilot program.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experts, we developed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ith a program pupose, goals,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we used 20 activities to assess changes of the coexistence literacy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rticultural program made a positive impact coexistence literacy of young children. The horticultural program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ould make meaningful impli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it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live in, explore and interact with nature.

      • KCI등재

        숲에서 찾은 자연물을 활용한 수놀이가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구혜현(Hye-Hyun Ko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숲에서 유아들이 직접 찾은 자연물을 활용한 수놀이가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숲에서 스스로 채집한 자연물을 활용하여 수놀이로 전개하는 실험집단의 유아 20명(남 8명, 여 12명)과 전통적인 교육과정으로 수활동을 하는 통제집단의 유아 20명(남 7명, 여 13명)을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주 2회 총 10주간 20개의 수놀이를 하였으며, 문제해결력 검사 도구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들에게 사전과 사후에 활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숲에서 스스로 찾아낸 자연물을 활용하여 수놀이로 전개 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문제해결력의 유사점과 차이점 알아내기, 구분 짓기, 패턴 인식하기, 측정하기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숲에서 비구조화 된 매체인 자연물을 스스로 찾고 활용한 수놀이가 유아의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hematical play using the natural objects collected in the forests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40 children aged 5 years were experimented. They are 20 children (8 boys and 12 gir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lay mathematical play using natural objects collected by themselves in the forests and control group 20 children (7 boys, 13 girls). The experimental treatment consisted of 20 activiti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week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tool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subordinate contents of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istinguish, Pattern recognition and Measurement that`s all scores were meaningful. As a result,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ore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developed using the natural objects collected in the forest. This suggests that the mathematical play using natural objects positively affect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혜현 ( Hye Hyun Koo ),박현진 ( Hyun Jin Park ),김숙자 ( Suk Ja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만 5세 유아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으로 나누었다. 연구기간은 총 8주였으며, 이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들은 주 2-3회씩 총 20회에 걸쳐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을 경험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학 활동과 과학 활동 각각을 이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두 차례에 걸쳐 유아의 측정능력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능력은 ``직접 비교하여 측정하기``와 ``비표준 단위를 이용하여 측정하기``에서의 유아의 성공과 실패빈도를 산출하여 McNemar 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측정능력 중 ``직접 비교하여 측정하기``에서 무게 측정능력과 ``비표준 단위를 이용하여 측정하기``에서 길이·무게·넓이·부피 측정능력이 향상되었다. 즉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activities on measur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30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years-old children attending D kindergarten. 15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15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Data were analysed with McNemar test on the difference of frequency of success or failure from pre-and post-tests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measur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which show that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asuring ability,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activities improve measur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 계획과 역할놀이 실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 교육내용 분석

        김숙자,구혜현,홍희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 on coexist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daily activity plans for five-year-olds utilized during one year and the activity cases transcribing the activities video of role play area into a text.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 on coexist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bout each area's plans for free choice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 content about 'liberty' in the concept of ego category at areas related on building, role play, language, science, art, music. And the highest frequency the content about 'orderly' in the concept of others category related on math-operating area. Also, the domain in coexistence between man and man showed higher frequency compared to the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he environment.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 on coexist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wed in the practice case for role play area were analyzed were 'conscience' and 'courage' in the concept of ego category , 'responsibility' 'basic courtesy', 'cooperative', 'open decision making' in the concept of others category, and 'markets and prices' in the concept of economy category. In the practice case for role play area, the contents that were analyzed were 'conscience' and 'courage' in the concept of ego category and 'basic courtesy', 'consideration', 'trust' in the concept of others that were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showed low frequency in plan for free choice activity.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계획과 역할놀이 실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 교육내용 분석을 목적으로 1년 동안 활용한 만 5세 일일교육계획안과 역할놀이 영역을 촬영하여 전사한 활동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첫째, 자유선택활동 계획의 각 영역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 교육내용은 쌓기영역, 역할영역, 언어영역, 과학영역, 미술영역, 음률영역에서는 자아관 범주의 ‘자유’ 교육내용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고, 수조작영역에서는 타인관 범주의 ‘질서’ 교육내용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한번도 나타나지 않거나 낮은 빈도를 보인 교육내용은 자아관 범주의 ‘양심’, ‘용기’, 타인관 범주의 ‘기초예절’, ‘배려’, ‘신뢰’, 사회문화관 범주의 ‘세계평화’, ‘통일’ 교육내용이었으며, 인간과 인간의 공존 영역이 인간과 환경의 공존 영역보다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역할놀이 실천 사례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 교육내용은 자아관 범주의 ‘존엄’, ‘공감’, 타인관 범주의 ‘책임감’, ‘기초예절’, ‘협력’, ‘개방적 의사결정’, 경제관 범주의 ‘시장과 가격’ 교육내용이 나타났다. 역할놀이 실천 사례에서는 계획에서 낮은 빈도를 보인 자아관 범주의 ‘양심’, ‘용기’ 교육내용, 타인관 범주의 ‘기초예절’, ‘배려’, ‘신뢰’ 교육내용 등이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