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유럽의 프로축구클럽 BI(Brand Identity) 디자인 비교분석

        구자준(Ja Joon K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3

        2014년 월드컵의 실패 이후 관련 전문가들은 한국축구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과 선결과제로 국내프로축구 클럽들의 자체 브랜드 가치제고와 그를 위한에 BI(Brand Identity) 구축 및 개선을 꼽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한국 프로축구클럽 BI의 현주소를 되돌아보고 선진화된 외국의 사례들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디자인적, 마케팅적으로 바람직한 BI 디자인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여러 BI 요소들 중브랜드 네임과 엠블럼에 초점을 맞춰, 한국 프로축구K리그 12개 클럽과 유럽 10개국 191개 클럽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프로축구클럽 BI 디자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기업 또는 후원단체의 이름에서 차용하지 않고 연고지명이나 고유 명칭과 관련된 독립적인 클럽 브랜드 네임을 가져야 한다. 둘째, 엠블럼 등 클럽의 BI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모기업의 CI요소를 배제해야 한다. 셋째, BI를 제작하기에 앞서 가장 효과적으로 팬들에게 어필하고 클럽의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컨셉과 형태에 대한심도 있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외국의 사례를 무조건 모방하기 보다는 BI 소재와 형태의 다양화를 시도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에도 외면 받아온 한국적인 소재와 형태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해야한다. After the failure of Korean national football in 2014World Cup, many related experts argue that thefundamental solution to develop the overall level ofKorean football should be to enhance brand value ofKorean professional football clubs, and establish orrenew brand identities of the clubs. Therefore, this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ofbrand identity(BI) of Korean pro-football clubs andpropose proper directions for effective BI design bycomparing it with cases of pro-football clubs in foreigncountries. Focusing on, in particular, brand names andemblems among various BI elements, the studyconducted a comparison analysis of those between 12clubs in Korean pro-football league(K League) and 191clubs in 10 European countries. As a result of theanalysis, this study generated meaningful solutions thatcould improve BI design of Korean pro-football clubs.The finding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lubsmust have their own brand names independently whichare related to regional names or native titles withoutadopting names of initiative corporations ororganizations. Second, BI of football clubs should beindependently made without the corporate identityelements of initiative corporation. Third, BI ought to becreated after a long-term and considerate research onconcepts and forms that can most effectively conveyclub images as well as appeal to their fans. Fourth, BImaterials and forms should be more diversified, insteadof imitating other countries’ examples. Fifth, Koreanmaterials and forms have ignored in spite that theyinclude effective and useful elements, so that they needbe actively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situations.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사용자 중심 리서치가 공감에 끼치는 영향 - 관찰, 인터뷰, 체험을 중심으로 -

        구자준 ( Koo Ja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4

        디자인 씽킹의 프로세스 중 공감의 단계는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진짜 문제를 발견하는 핵심 단계이며, 이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 리서치 기법들이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씽킹에서 활용되는 3가지 주요 사용자 중심 리서치 기법인 관찰, 인터뷰, 체험 등이 실제로 사용자를 공감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4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째로 공감과 사용자 중심 리서치에 대한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둘째로 문헌고찰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로 디자인 씽킹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사용자 중심 리서치 중 관찰과 체험이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체험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디자인 씽킹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진정한 필요와 욕구를 공감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나가 직접 체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Empathy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of design thinking to find real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and methods of user centered research are used to effectively discover th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3 methods, such as observation, interview, and experience, affect empathizing with users. This study followed four step.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variables such as empathy and user centered research. Second,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3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r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selecting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project related to design thinking as samples.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observation and experienc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mpathy, and experience shows the strongest influ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useful implication that field experience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empathize earnest needs of users.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창의성 기법이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끼치는 영향

        구자준(Koo, Ja-j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3

        디자인 씽킹의 프로세스는 크게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 도출, 프로토타이핑, 테스트의 5단계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아이디어 도출의 단계에서는 실질적인 문제의 해결안이 될 수 있는 창의 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하여 소위 창의성 기법으로 불리는 방법들이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씽킹을 위한 3가지 주요 창의성 기법인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스케치가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가장 영향력이 큰 기법은 무엇인지를 규명하여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4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째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과 창의성 기법들에 대한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둘째로 문헌고찰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총 161부의 응답을 얻었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 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주요 3기법들 모두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보다 더 중요한 결과는 3가지 기법들 중 스케치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는 것이었다. 이는 디자인 씽킹이 기존의 방법론들과는 달리 시각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아이디어 도출 단계에서 시각화 기법인 스케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Nowadays, not only every company but also every organization including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struggling to produce more creative products or services than their competitors. In this circumstance, design thinking(DT) has emerged as the most popular thinking method that helps all the organizations become creative and innovative. DT is actually originated from human-centered design and user-centered design research. It also has a very unique process. Its process can be divided into 5 stages such as empathy, defining problem, ideation, prototyping, and test. In the ideation stage, creativity techniques are used for generating creative ideas in order to solve a real problem. The main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how the 3 techniques, such as brainstorming, mindmap, and sketch, affect creative idea generation, to verify which one is the most influential, and to offer an insight into maximizing efficiency of DT. This study followed four step.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variables such as creative idea generation and the creative techniques. Second,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3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r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selecting 161 university students as samples.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8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3 creative techniqu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idea generation, and sketch showed a stronger influence than the others. It is a proof that design thinking,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methods of thinking such as logical thinking, system thinking and so on, is originally based on a visual thinking.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useful implication that we will successfully generate creative and innovative ideas if we effectively apply sketch to the ideation stage in the process of DT.

      • KCI등재

        조선시대 한·중 복식문양에 대한 조형적 연구 -길상 문자 문양을 중심으로-

        상철위 ( Chang Zhe-wei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전통 문양은 한국과 중국의 중요한 문화 자원 중 하나로 양국의 문화 전승과 각자 민족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즉 기능적, 상징적 및 미적인 측면에서 문양은 한·중의 전통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전통 문양 중에서도 글자와 디자인이 결합된 '길상 문자 문양'은 한자 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전통 문양의 조형 등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대중들은 자국의 전통 문양을 구별하지 못하거나 전통 문양을 문화 상품을 개발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두 나라의 길상 문자 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양국의 길상 문자 문양의 조형적 차이를 도출하고 양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문헌 연구를 활용하여 복식 속 길상 문자 문양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진행한다. 이후 한국과 중국의 길상 문자 문양에 대해 조사하여 길상 문자 문양자체, 길상 문자 문양 와 조합문양의 관계, 길상 문자 문양 와 전체 복식의 관계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어떤 특성이 있으며 각 나라의 문화에서 어떤 미적 취향이 반영되었는지를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조선 시대 한국과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두 나라의 대표적인 길상 문자 문양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에서는 조선 시대 한국과 중국의 길상 문자 문양의 방향성, 조합 문양관계, 배색 등의 측면에서의 차이와 특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는 한·중 두 나라의 전통 문화 이해와 개발을 이끌고 두 나라의 전통 문화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의 관련 문화 상품 개발에도 참고할 가치가 있다. Traditional patterns are one of th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of both Korea and China, and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cultural transmission of both countries 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identities. From a functional, symbolic, and aesthetic point of view, pattern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Han Chinese. Among these traditional patterns, auspicious character patterns, which combine letters and designs, have special significance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s of Korea and China.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ormulation of traditional patterns, the public is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own traditional patterns or effectively utilize them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uspicious glyphs of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draw out the form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auspicious glyphs of the two countries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of auspicious character patterns in doubles is first conducted by utilizing the literature review. Then, we investigate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s in Korea and China to study their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preferences in each country's culture from three dimensions: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 it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 and the combination patter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 and the overall dress. Finally,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from Korea and China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selected and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representative auspicious symbols are draw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de that there ar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orientation of auspicious characters in Korean and Chinese auspicious charact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lationship of combination characters, and the color scheme. This has positive implications for guiding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and promoting the exchange of traditional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cultural product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한·중 전통 문양 비교 연구

        서신(Chen Xu),구자준(Ja Joon K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4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Eastern culture, traditional patterns from the East are increasingly featured in international brands. South Korea and China, key Asian economies, are rich in traditional culture, and their chest and back patterns are quintessential Asian designs. Originating from the Ming Dynasty, these patterns, blending unique cultural elements, exemplify harmony and unity in artistic expression. Current research primarily focuses on their historical development and artistic forms, with less exploration of their stylistic rules and content.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stylistic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official patterns, looking at theme selection, composition, characteristic elements, and cultural connotations. This study offers a comparative analysis, understand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atterns and their origins. The findings not only fill gaps in existing research but also help international fashion brands understand and respect Eastern culture, providing a reference for selecting Asian patterns. 동양 문화의 영향력 증가로 글로벌 의류 브랜드 상품에 동양 문양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한국과 중국은각자 독특한 전통 문화를 보유한 나라로,특히 양국의 흉배 문양은 전통적인 동양 문양의 정수로 손꼽힌다.흉배 문양은 명나라 시기부터 각국의 고유한 문화적 특징이 반영되어 발전했다.또한 예술적 표현에 있어서 흉배 문양은 조화와 통일을보여준다.흉배에 관한 연구는 현재 흉배의 역사 또는 예술 형식상의 단일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반면 조형 규칙과 함축된 의미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이에 본 연구는 흉배 문양의 주제 선택,구도분포,구성 요소와 문화적 함의 등의 측면에서 한·중 문관 흉배 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양국의 문화와 역사를 정확히 반영해 문양 도안의 조형 법칙을 파악하려 한다.또한 본 연구는 흉배의 구성 요소와 구도 두 가지 차원에서 문화적 함의를 결합해 심층적인 탐구를 진행하고,귀인 분석을 통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여,양국문양 사이의 공통점과차이점 그리고 출현 원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 한다.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글로벌 의류 브랜드의 동양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그리고 문양 선택 시 동양 문양에 대한 유의미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 KCI등재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임소희 ( Lim So-hee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최근 식품업계는 품질이 평준화되면서 브랜드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 속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의 활용이다. 기업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를 활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 유도이지만, 실제적으로는 그 캐릭터를 자사 브랜드의 제품 또는 서비스와 함께 노출시킴으로써 우선 브랜드의 인지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콜라보레이션 캐릭터가 어떤 디자인적 특성을 지니는가 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편 브랜드 인지도는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결국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브랜드 인지도-구매 의도 간의 연관관계에 대한 가설적 추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 브랜드에서 활용되는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친밀감, 독창성)과 구매 의도 간 관계에서 브랜드 인지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주요 요인들의 개념과 특성들을 확인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의 2가지 요인(친밀감, 독창성)들 모두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독창성은 브랜드 인지도를 중간 매개로 거쳐야만 구매 의도로 연결되어 브랜드 인지도가 독창성과 구매 의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밀감은 직접적으로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브랜드 인지도를 중간 매개로 영향을 주기도 하여 브랜드 인지도가 친밀감과 구매의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식품 브랜드들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친밀감과 독창성을 지닌 캐릭터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As the quality differences among products in the food industry level out, the competition between brands is becoming fiercer than ever. In such a market situation, various strategies are being examined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 edges over competitors. One of the representative approaches of such is the sue of collaboration characters. The ultimate purpose for a company to usecollaboration characters is to entice the customers to buy their products. However, in practice, it is designed to enhance the brand awareness by exposing the characters along with the products or services of their brands. Therefore, it is a critical factor on which the brand awareness hinges on i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characters. In the meantime, brand awareness is being recognized as a factor that stimulates the purchase intent of the customers for the applicable brand. In the end, it is possible to make a hypothetical estimation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brand awareness-purchase intent. For this, the author of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characteristics used in food brands (friendliness, uniqueness) and purchase intent.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ey factors. Then, with a case study,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factors was carried out. Lastly, a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gathered through a survey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factors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s, that is, friendliness and uniqueness, all resulted in purchase intend only when they were mediated through brand awareness, indicating that brand awareness fully mediated uniqueness and purchase intent. Also, friendliness affected the intent of purchase directly and positively. But, the influence was also exerted through the mediation by brand awareness, confirming that brand awareness partially mediated friendliness and purchase intent. Therefore, if the food brands are to stimulate purchase intent of the consumers in an effective manner, it would be desirable to engage in and use collaboration with characters actively to maximize brand awareness.

      • KCI등재

        다감각 서비스의 특성이 박물관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리멍신 ( Li¸ Meng Xin ),구자준 ( Koo¸ Ja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1

        4차 산업 시대에는 박물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기능이 매우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박물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다감각 서비스의 특성이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가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한 박물관, 다감각 서비스, 관람만족도 등의 개념을 파악하였다. 특히 다감각 서비스의 특성과 그 하위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박물관에서 다감각 서비스를 활용한 실례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박물관에서 다감각 서비스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증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다감각 서비스의 특성인 융복합성, 자극성, 특히 가상성이 박물관의 관람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박물관은 관람객의 관람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박물관 전시에 다감각 서비스를 활용하며 다양한 기술과 전시 요소들을 결합하여 신체적 자극과 감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여야 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ypes and functions of services provided by museums have become very diversifi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ervices at museum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It has divided into 3 stages. First, through a literature overview, mastering the concepts of multi-sensory services and visitors' satisfaction,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ervices and its subfactors. Secondly, analyzing the actual cases of multi-sensory services. Thirdly, an empirical analysis after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prov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ervice, melting complex, irritating, especially illus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visitors' satisfac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at exhibition space, the interaction of physical stimulation and sensory can trigger various emotions, which can provide new experiences and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데이터 시각화 특성이 짧은 영상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틱톡 FeiGua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중심으로-

        조세웅 ( Cao¸ Shi Xiong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본 연구는 데이터의 시각화 특성이 짧은 영상 플랫폼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의 정의, 구성요소, 특성(직관성, 효율성, 심미성),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관한 개념과 특성을 확인했다. 또한 사례연구를 진행하며 짧은 영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 주로 구분되는 3가지, 즉 라이브 실시간 모니터링 페이지, 팬 분석 페이지, 영상 데이터 페이지 등을 검토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짧은 영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사용하는 채널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연구의 방법은 데이터 시각화의 특성인 직관성, 효율성, 심미성을 원인변수로, 지속적인 사용 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양자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고자 했다. 설문조사는 플랫폼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4개 변수와 인구통계학 조사로 구성해 2021년 4월 1일부터 1주일 동안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다. 설문에 참여한 인원은 총 432명이고, 조사에 응답한 설문지 중에서 총 265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해 SPSS 26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데이터 시각화의 직관성, 효율성, 심미성은 플랫폼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실무적인 시사점이 도출 가능하다. 향후 해당 기업에서 짧은 영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제작에 있어 플랫폼 채널 운영자가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페이지 정보의 레이아웃, 글자 크기, 색채의 배합 등을 고려한다면 극대화된 심미성을 향상으로 성공적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This work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of data on the continuous usage intent of short video platform channel operator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impact on image data analysis platforms with quick intuition, efficienc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ta visualization.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continuing use intentions of data visualiz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lso, this research reviewed three types that mainly distinguish short video data analysis platforms: live real-time monitoring pages, fan analysis pages, and video data pages. After establishing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channel operators using short video data analysis platforms. Intuition, efficiency, and aesthetics, the characteristics of data visualization, were established as causality variables; and continuing use intentions became outcome variables, following the demonst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one week from April 1, 2021, consisting of four variables and demographic surveys that affect platform channel operators' intention to use them continuously. A total of 432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total of 265 questionnaires was used as research data to condu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identified that the three causality variables, intuition, efficiency, and aesthetics of data visualization, positively influence platform channel operators' intention of its continuing us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derived: when considering the simple layout of page information, suitable letter size, and tidy color combination, more successful platform construction will be possible as it helps platform channel operators quick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data analysis in the platform.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 전통 디자인 인식에 관한 연구

        노현지 ( No Hyun-jee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오늘날의 디자인은 한 나라의 문화 콘텐츠가 그만의 독창성과 차별성을 확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그동안 학계에서는 우리의 정체성을 담은 한국의 디자인을 융성하기 위해 학자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개념들을 제시해 왔으며, 이와 더불어 오늘날 현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한국 전통 디자인에 대한 보편적 정체성과 그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새로운 시대의 철학, 기술, 감성과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문화 콘텐츠를 창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 대중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한국 디자인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한국 전통 디자인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에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오픈소스 프로그램 UCINET을 사용하여 2018년 7월 24일~2019년 7월 24일 사이의 주요 포털사이트에서“한국 전통 디자인”에 대한 원문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추출된 총 46939개의 키워드 중 불필요한 단어는 제외하고 문서 중 출현빈도 상위 39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여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성 분석, TF-IDF, CONCOR, NETWORK 분석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해 주제에 대해 다각도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한국’,‘연구’,‘전통’,‘문화’의 키워드 들이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중들이 한국 전통 디자인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방증하고 한국 전통 디자인과 관련하여 문화적 측면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한국의 디자인에 대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day's design plays a key role in ensuring that a country's cultural content has its own uniqueness and differentiation. In the meantime, the academic community has presented the concepts based on the opinions of scholars in order to foster the Korean design that contains our ident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innovative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fusion of philosophy, technology and emotion of the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dentity of Korean design that exists in the minds of the Korean public today and how Korean traditional design is recognized, and analyze it using big data text mining, one of the key technologies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us, using the open source program UCINET,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original text data on "traditional Korean design" was collected from major portal sites between July 24, 2018 and July 24, 1919. Out of the total 46939 keywords extracted, unnecessary words were excluded and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op 39 keywords in the document. A variety of techniques were used, such as centrality analysis, TF-IDF, CONCOR, and NETWORK analysis, to try to analyze the subject from various angles. As a result, keywords for 'Korea,' 'Study,' 'traditional' and 'Culture' were analyzed as major keyword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ublic is curious about Korean traditional design and that it needs to be studied accordingly, and recognize cultural aspects as important in relation to Korean traditional design. In addi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objective basic data on Korea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