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한·중 복식문양에 대한 조형적 연구 -길상 문자 문양을 중심으로-

        상철위 ( Chang Zhe-wei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전통 문양은 한국과 중국의 중요한 문화 자원 중 하나로 양국의 문화 전승과 각자 민족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즉 기능적, 상징적 및 미적인 측면에서 문양은 한·중의 전통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전통 문양 중에서도 글자와 디자인이 결합된 '길상 문자 문양'은 한자 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전통 문양의 조형 등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대중들은 자국의 전통 문양을 구별하지 못하거나 전통 문양을 문화 상품을 개발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두 나라의 길상 문자 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양국의 길상 문자 문양의 조형적 차이를 도출하고 양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문헌 연구를 활용하여 복식 속 길상 문자 문양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진행한다. 이후 한국과 중국의 길상 문자 문양에 대해 조사하여 길상 문자 문양자체, 길상 문자 문양 와 조합문양의 관계, 길상 문자 문양 와 전체 복식의 관계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어떤 특성이 있으며 각 나라의 문화에서 어떤 미적 취향이 반영되었는지를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조선 시대 한국과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두 나라의 대표적인 길상 문자 문양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에서는 조선 시대 한국과 중국의 길상 문자 문양의 방향성, 조합 문양관계, 배색 등의 측면에서의 차이와 특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는 한·중 두 나라의 전통 문화 이해와 개발을 이끌고 두 나라의 전통 문화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의 관련 문화 상품 개발에도 참고할 가치가 있다. Traditional patterns are one of th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of both Korea and China, and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cultural transmission of both countries 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identities. From a functional, symbolic, and aesthetic point of view, pattern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Han Chinese. Among these traditional patterns, auspicious character patterns, which combine letters and designs, have special significance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s of Korea and China.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ormulation of traditional patterns, the public is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own traditional patterns or effectively utilize them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uspicious glyphs of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draw out the form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auspicious glyphs of the two countries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of auspicious character patterns in doubles is first conducted by utilizing the literature review. Then, we investigate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s in Korea and China to study their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preferences in each country's culture from three dimensions: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 it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 and the combination patter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spicious character pattern and the overall dress. Finally,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from Korea and China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selected and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representative auspicious symbols are draw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de that there ar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orientation of auspicious characters in Korean and Chinese auspicious charact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lationship of combination characters, and the color scheme. This has positive implications for guiding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and promoting the exchange of traditional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cultural products of the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