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구논문 : 일지역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화병과 삶의 질

        구본진 ( Bon Jin Koo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성기능, 우울, 화병,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들간의 관계정도를 파악하여 중년 여성의 포괄적인 건강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시내 거주하고 있는 중년 여성 236명을 2011년 8월 16일부터 10월 24일까지 비확률 임의표출법을 사용하여 모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win 12.0 통계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갱년기증상, 우울, 화병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성기능, 삶의 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화병 및 우울, 성기능, 삶의 질간의 관련성이 밀접한 것으로 보여지므로, 추후 이들간의 관련성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제안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Sexual Function, Depression, Hwabyung,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Methods : Two hundred and thirty six middle-aged women were recruited from August to october, 2011. The instruments were Climacteric Symptoms measurement instrument(Neugarten & Kraines, 1965), Korean-version of Female Sexual Function Index(Kim et al, 2002),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Radloff, 1977), Hwabyung measurement instrument(Min, 2002) an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strument(No, 1988).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tatistic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pc-SPSS program.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sexual function, depression, Hwabyung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Middle-aged women with lower levels of climacteric symptoms, with higher levels of sexual function,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with lower levels of Hwabyung experienced higher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finding suggests that quality of life are related to climacteric symptoms, Hwabyung in middle-aged women. There is a need for a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o reduce climacteric symptoms and Hwabyung in middle-aged women.

      • KCI등재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의 효과

        구본진(Bon-Jin Ko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knowledge about menstruation, coping with menstruation, menstrual symptom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they received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B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est group of 31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33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knowledge about menstruation and coping with menstru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these finding,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such PMS Intervention Education is desirable in terms of health care.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실시하고, 월경지식, 월경대처, 월경증상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일 지역 2학년 여중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1명과 대조군 33명 총 64명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지식과 월경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월경증상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은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대다수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면서도 적절한 중재요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여중생을 위해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기반으로 한 중재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한 점은 보건의료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인드맵을 활용한 플립러닝 적용 원격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감,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능력, 학습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구본진(Koo, Bon-Ji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플립러닝 적용 원격수업을 간호대학생에게 수행하여 학습몰입감,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능력, 학습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C도 소재 K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의 자발적 참여를 동의한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8회차에 걸쳐 실험군에게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플립러닝 적용 원격수업을, 대조군에게는 전통적 강의형 원격수업을 제공하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의 학습몰입감과 자기주도성은 마인드맵을 활용한 플립러닝 적용 원격수업 수행 사후에 사전 점수보다 유의하게 상승하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마인드맵을 활용한 플립러닝 적용 원격수업은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감과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육과 연구의 근거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learning flow, self-direc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elf-efficacy by performing flipped learning-applied remote classes using mind maps to nursing students. This is a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conducted for third-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K University. An online self-report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for 82 students who agre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remote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using a mind map, and a traditional lecture-type remote class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was analyzed with. After performing the remote class applying flipped learning using the mind ma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nd self-dire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ance learning applied by flipped learning using the mind map improves the learning flow and self-direc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조립제조산업에서의 자재분류 요인분석에관한 사례연구

        구본진 ( Bon Jin Koo ),박민영 ( Min Young Park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4

        원자재 재고는 완제품과 달리 기업 내부의 생산 대응측면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해도 부각되지 않는 측면이 있으나, 원자재 재료비는 기업원가의 큰 부문을 차지하고 있어 재고관리 수준에 따른 손익 민감도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본 연구는 MRP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조립제조기업의 사례를 통해 원자재 특성에 따라 자재를 분류,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조립제조산업의 원자재 관리상 주요 이슈로는 첫째, 다수의 자재를 한정된 인력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업무효율이 저하되고, 둘째, 발주한 자재에 대한 공급업체 납기관리가 어려우며, 셋째, 이러한 결과로 원자재 재고는 증가하는 반면 생산현장에서 필요한 자재를 적기에 불출하지 못해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업에서 구매하고 있는 모든 자재 아이템들을 대상으로 재고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자재분류의 주요 공통요인을 도출하고, 사례기업의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재분류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된 자재분류 요인을 기준으로 자재아이템들을 유사 특성별로 분류하고 집계하는데 적용하고, 그 결과 취급 자재아이템별 관리대상의 감소에 따른 구매부문 업무량 감소 등과 같은 재고관리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실증 분석하였다. 아울러, 분류된 자재그룹을 기준으로 자재그룹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재고관리 방식을 제시하였다. Unlike inventory of finished products, less attention has not been paid to that of raw materials even if it is more important in terms of cos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assembly manufacturing industry. In general, the material cost has a strong influence on sensitivity analysis for profit and loss because it occupies most of total cost. This study presents a new method for the classifica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of raw materials with a case study in which the method is applied to a real world operation of an assembly manufacturing company. The method includes classification by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 of more suitable inventory management for the classified material groups. Significance between classification factors is evaluated based on a regression analysis and applicability of the method proposed in this research is proved with real data collected from the assembly manufacturing compan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manage inventory of raw materials by classifying its characteristics and to apply different inventory control methods for different material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정부 R&D 지원이 민간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 혁신성장동력 정책을 중심으로

        구본진(Bon-Jin Koo),이종선(Jong-Seon Lee)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2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erifying the policy effects by field of innovative growth engines,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corporate R&D activities (substitute/complementary goods), an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private R&D were carried ou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cademic/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corporate R&D activities were synthesized. Next, survey data were collected for companies engaged in the field of innovative growth engin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R&D activities in 13 major sectors. Findings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companies regardless of sector, government R&D subsidies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R&D activities of companies engaged in innovative growth engines, that i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Next, as a result of performing empirical analysis by dividing the 13 fields, it was found that 9 fields were complementary goods in which government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D activities of compani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maining four fields,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corporate R&D activiti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order to promote R&D activities of companies in the 9 fields where government support acts as a complementary produ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centered on direct government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seek indirect support rather than direct support in the 4 fields where government suppor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R&D activities.

      • KCI등재

        다문화지원기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구본진,이연옥,장덕현,Koo, Bon-Jin,Lee, Yeon-Ok,Chang, Durk-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4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SNA)을 사용하여 지역 내 다문화가족지원기관 간 협력네트워크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공공기관, 공공도서관, 사회복지관, 기타 민간 영역의 다문화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정보 및 자료교환, 인적, 물적 교류, 재정지원, 공동사업, 행사참여에 대한 관계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협력네트워크는 전반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일부 협력 유형의 경우 기능이나 성격, 역할이 유사한 기관들끼리만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당히 제한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관련 기관들 중 공공기관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주로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 기관은 다른 기관들과 상대적으로 골고루 연결되어 있는 반면, 도서관의 경우 도서관 간 협력만 이루어지거나, 협력활동이 아예 없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도서관을 통한 효과적인 다문화 서비스를 위해 다른 기관들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network among multicultural agencies in Busan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such agencies a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regional government offices, public libraries, social welfare centers, and other NGO-supported agencies,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operative networks are hardly in action except for the one among agencies which share their function, roles, and characteristics in common, that regional government offic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high density networks with other agencies and performed major roles. Public libraries, however, only collaborate with other libraries, or did not participated in the networks, which indicates that endeavors of public libraries to cooperate with other multicultural agencie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