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70년대 신문연재소설의 여성 인물과 ‘연애’양상 연구 : 별들의 고향, 겨울여자를 중심으로

        곽승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6 여성학논집 Vol.23 No.2

        본 연구는 1970년대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분석을 바탕으로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과 조해일의 '겨울여자'에서 연애가 어떠한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별들의 고향'에서 경아는 사물화 된 여성으로, '겨울여자'에서 이화는 육체화 된 여성으로 형상화된다. '별들의 고향'에서 연애는 남성 인물의 도취적 연애로, '겨울여자'에서의 연애는 사제관계적 연애로 드러난다. 이러한 연애 구조에서 관계를 이끌어가는 것은 철저히 남성 인물에 의해 이루어지며 주체로서의 여성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기형적 연애관계 속에서 주인공이 되지 못한 여성 인물들은 이후 전개되는 연애소설에서도 반복되어 재현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female characters and their love affairs in TheHomeland of Stars and The Winter Woman,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serial form in Korean newspapers in the 1970s. In The Homeland of Starswritten by In-Ho Choi, Kung-A, the heroine, is represented as an object orthing to be exchanged among male characters rather than as a human being. InThe Winter Woman by Hae-Il Cho, Ewha is represented as a body, just a fleshpossessed by male characters. The love affairs in The Homeland of Stars arenarcissistic ones by males. Those in The Winter Woman are mentor-pupilrelationships. While male characters lead the love affairs as subjects, femalecharacters are just objects of male desire. These kinds of images of women andaspects of love affairs have been repeated in many of the novel serialspublished in the newspapers ever since.

      • KCI등재

        방인근의 탐정소설 연구

        곽승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world of the novelist Bang In-geun's detective novel. Out of a total of 90 books he authored, Bang In-geun translated 16 detective novels and wrote 12 of his own, amounting to 28 works of detective novel. Bang In-geun developed his own detective novel while translating works in the genre by Maurice Leblanc, Emile Gaboriau and Robert Louis Stevenson. He created the fictional detective Jang Bi-ho, whose remarkable adventures played a key role in attracting readers to Bang In-geun’s novels. Works featuring Jang Bi-ho are interwoven in terms of plot and setting, and thi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mulate Maurice Leblanc’s Lupin series. Some of Bang In-geun’s detective novels do not exhibit the typ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especially in terms of their omission of the investigative process. In place of typical elements such as inference based on clues, action and thrills, his detective novel is character-driven, with a focus on the passions of love and lust. This focus is not only related to the themes prevalent in popular novels which Bang In-geun assimilated in his later works, but was also influenced by his popular novels of the 1960s, in which the role of the detective disappears and only a world of lust and love remains. 이 글은 방인근의 탐정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작가의 작품 세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인근은 해방 이후 1960년대까지 ‘탐정소설’이라는 표제어가 붙은 단행본을 출간하였는데, 이 작품들은 거듭하여 재출간되었다. 재출간의 배경에 독자들의 호응이 있었음을 감안한다면, 방인근 소설의 ‘대중성’에 대해 ‘탐정소설’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방인근의 이름으로 출간된 단행본(중복되는 단행본 제외)은 90여 권에 이른다. 이중 탐정소설은 번역소설 16편 창작소설 12편을 합친 28편으로 확인되었고, 이 글에서는 탐정소설의 서지사항을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방인근은 모리스 르블랑, 에밀 가보리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등 당대 사회에서 인기를 끌었던 작가들의 추리소설을 번역하면서 장비호 탐정이 등장하는 자신의 창작소설을 발표하였다. 방인근은 탐정소설을 번역하는 일부터 시작하였으나 첫 번째 번역본인 『813의 비밀』 이후 탐정소설의 번역과 창작을 동시에 진행한 것이다. 방인근은 자신의 탐정소설에서 장비호 탐정을 탄생시켰다. 다양한 공간을 넘나들며 괴이한 사건을 해결하는 장비호의 활약, 장비호가 맺는 복잡한 연애 관계는 당대 독자들이 장비호를 통해 방인근의 탐정소설에 몰입할 수 있는 요소가 되었다. 한편 장비호의 시선에 의해 전달되는 사회적 상황은 당대 사회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의식이 표출된 것이다. 장비호가 등장하는 각각의 소설들은 서로 유기적 관계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모리스 르블랑의 뤼팽처럼 방인근이 자신의 탐정소설을 일련의 시리즈로 기획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방인근의 창작 탐정소설 중 탐정에 의한 ‘조사의 이야기’가 생략되면서 추리소설의 구조 및 특성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소설에서는 탐정이 제외되고, 사건의 피해자가 직접 복수를 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탐정소설로서의 장르적 특성을 잃게 된다. 추리, 활약, 스릴 등 탐정소설의 특성이 사라진 자리를 대신하는 것은 ‘애욕’에 따라 움직이는 인물들의 통속적인 세계이다. 이러한 양상은 이후 방인근 소설이 유사한 스토리의 통속적인 소설을 반복하여 재생산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에 방인근이 창작한 장편소설의 통속화 과정에는 탐정이 사라지고 ‘애욕 세계’만 남게 된 ‘탐정소설’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애니 베어드 신소설 연구-「고영규젼」과 「부부의 모본」을 중심으로

        곽승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3 No.-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reappearance of ‘old-fashioned women’ in Korea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y focusing on Annie Baird’s Goyeonggyujeon andThe Example of a Married Couple. Annie Baird has published many books as an active female missionary and writerin Korea. Goyeonggyujeon and The Example of a Married Couple create a realisticportrayal of the individual lives of women. This fact shows that Baird regards Koreanwomen not as people ignorant of the Christian gospel, but as individual entitieslike daughters, housewives, and mothers who have endured suffering in a societydeeply rooted in Confucianism. The female characters in Baird’s stories usually occupya subaltern status. The author presents an objective view of the lives of old-fashionedwomen through the social oppression of daughters, wives, and mothers. Baird wasable to closely observe the women in those days because she was serving as amissionary. As a female missionary from the first world, the author attempts to reachout to subaltern women instead of simply regarding them as fictional subjects. Shereflects the experiences of the subaltern in her novels, and her works can be seenas an undistorted record of their actual lives. Gil Bobae in Goyeonggyujeon is a subaltern woman in a traditional household,while Yang Jinju and her mother-in-law play similar roles in a modern family inThe Example of a Married Couple. They are represented as flat characters such asgood wives, wise mothers, and diligent housewives. Baird does not merely reproducethe typical portrait of traditional women, but reveals how women were silenced bythe more driven male characters. The flat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stemsfrom the author’s realistic grasp of women in those days. From this perspective,Baird’s novels can be perceived as an official record of the lives of Korean womenand their silenc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이 논문은 애니 베어드의 신소설 「고영규전」과 「부부의 모본」을 대상으로 하여,개화기 한국사회에서 ‘구여성’이 재현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소설 관련 서사에서 ‘구여성’과 관련된 담론을 찾아 ‘구여성’의 구체적인 삶의조건을 검토하고, 그들이 어떻게 말하고자 하는지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애니 베어드는 한국에서 여성 선교사이자 작가로 활동하면서 여러 분야의 책을저술하고 발간하였다. 「고영규젼」과 「부부의 모본」에는 여성 개개인의 삶의 양상이 사실적으로 재현된다. 이는 애니 베어드가 한국의 여성들을 기독교의 복음을모르는 사람들로 일반화하지 않고 유교적인 질서가 팽배한 구조 속에서 고통을 감내하고 있는 딸, 가정부인, 어머니 등의 개별적인 존재로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애니 베어드의 소설 속에서 재현되는 여성 인물들은 ‘하위주체’로서의 성격을 보인다. 작가는 억압당하는 집단 속 개별 여성인 딸, 아내, 어머니의 생활에 주목하여 ‘구여성’의 일상생활을 객관적으로 묘사한다. 작가가 당시 여성에게 가까이접근하여 그들의 생활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선교사로 활동했기 때문이다. 제1세계 여성이자 선교사의 입장으로 한국의 여성을 대상화하지 않고 그들의 삶을 묘사하고 그들을 재현하는 애니 베어드의 창작 활동은 하위주체여성에게 말을 건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작가의 시선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하위주체 여성의 서사는 그들의 경험으로 소설 속에서 기록된다. 「고영규젼」의 길보배는 전통적 가정 안의 하위주체 여성으로, 「부부의 모본」의양진주와 시어머니는 근대적 가정 안의 하위주체 여성으로 재현된다. 이들은 현모양처, 가정부인과 같은 평면적 인물로 등장한다. 작가는 이들을 통하여 당시의 전통적인 여성상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주도하는 남성 인물 때문에 말하지 못하는 여성 인물의 상태를 그리고자 한다. 한편 남성 인물이 전통적 가치관에얽매이지 않았던 이유는 이들이 자유롭게 새로운 사상을 직접 접하고 배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서 여성들의 위치는 가정 안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여성인물이 평면적으로 재현된 것은 당시 여성의 현실적 모습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애니 베어드의 소설은 주변부에 위치하면서 침묵하는 당시한국 여성들의 삶을 기록한, 공식 기록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전후 귀향 모티프 소설 연구-‘가족 찾기로서의 귀향 모티프’소설을 중심으로-

        곽승숙 ( Kwak Seung-soo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7 No.-

        Among novels with the theme of homecoming after the branch of Korea, set in the 1960s to 1970s, this paper examines those whose heroes return to their hometown to find family members, naming those novels 'novels with the motif of homecoming to find family members'. Again those novels are classified into two: ‘homecoming as sufferer’ and 'homecoming as wrongdoer'. Novels to be reviewed include the royal azalea blossom's festival (1981) by Mun Sun-tae, Ahbe's Family (1979) by Jeon Sang-guk, Accompanying (1963) by Jeon Sang-guk and Walk in the Moonlight (1977) by Song Gi-won. Heroes in those novels go back to their hometown to find family members they have not seen after leaving there. The reason why those heroes lost some of their family members relates to the Korean War. The loss from the war appears as the form of family disorganization. The heroes left their family behind in hometown because they could not continue to live there due to the war or the scars of the war. Their family broken up by the war exists as scars to the heroes. Under the conditions, heroes' finding the family has some characteristics of reconciliation with hometown. Here exist the notion that the place where there is a family is home and the location where there is home is hometown. Establishment of hometown can be seen through concrete acts such as finding separate family members and raise tombs. Meanwhile wrongdoers who brought about carnage in their hometown also return to hometown to find their family. In the royal azalea blossom's festival, the return of 'I' is a journey to find Father's remains. For me to construct Father's tomb in hometown means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I' and hometown. In Ahbe's Family, Ahbe, who 'I' try to find, is the victim of history and means the wounded past. My finding Ahbe results from the notion that even if we abandon and turn away from the past injury, it still affects the present. Searching for deserted Ahbe expresses the will to take root in 'my' hometown by finding Ahbe as a family member. In Accompanying and Walk in the Moonlight, returning home is the journey to find family members by the heroes, an offender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The heroes can not return to their hometown after leaving hometown as if they had run away from there ignoring the death of family members or relatives. The reason is because they are wrongdoers destroying the hometown community. Against this backdrop, their homecoming is the trial to take root in their hometown by their death in there where the family members are living. In novels with the motif of homecoming to find family members, heroes can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ometown through the structure of opposition and divulgence. The hostile relation between the hero and the company loses wariness along the journey and their confrontation disappears.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means the recovery of the hero from past wounds. Novels with the motif of homecoming to find family members set in the 1960s to the 1970s display how to dealing with past wounds in the age when Korea is still divided into two. Those novels have the meaning of literary response of the times to the divided situation.

      • KCI등재

        1920년대 독본과 수필의 영역

        곽승숙(Kwak, Seung-Sook)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이 글은 1920년대 독본에 수록된 산문 중 기행, 편지, 일기를 살펴보았다. 1930년대에 논의되던 수필의 전사를 1920년대 독본에 수록된 산문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대상 텍스트는 1920년대에 간행된 국정 국어교과서인 『보통학교 조선어독본』(1923-1925), 『보통학교 고등과 조선어독본』(1924-1925), 『여자고등 조선어독본』(1923-1925)이다. 1920년대 독본에 수록된 비-허구 산문 중에서 ‘기행문’, ‘편지’, ‘일기’는 서술 주체로서 ‘자기’가 선명하게 드러난 유형의 글이다. 각 글의 서술자는 이동하는 주체, 말하는 주체로서 개인적 경험을 서술한다. 이러한 주체는 교과서의 이념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편찬자의 인식이 개입된 결과이다. 기행문, 편지, 일기의 ‘나’ 혹은 ‘우리’라는 주체는 학습자를 텍스트 속으로 호명하기 위한 의도에서 설정된 것이다. 그러나 기행문, 편지, 일기에 대해 편찬자는 장르의 분화를 뚜렷이 인식하지는 않았다. 각각의 글은 이념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는 편찬자의 인식이 해당 장르의 작법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편지와 일기에서 발견되는 사적 담론 속 개인적 주체는 이후 수필에서 ‘자기 생활을 표현’하는 주체와 연결되면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ravelogues, letters, and diaries in the prose contained in 1920s reader. It attempted to confirm the transcription of the essays discussed in the 1930s through prose recorded in reader of the 1920s. The target texts are the following national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the 1920s: Joseon Language Reader for Botong Schools (1923-1925), Advanced Joseon Language Reader for Botong Schools (1924-1925), and Joseon Language Reader for Girls High Schools (1923-1925). Among the non-fiction prose listed in the 1920s reader, the writers were clearly revealed as the subjects in the descriptions contained in their own travelogues, letters, and diaries. The descriptor of each article depicted personal experience as a moving and talking subject. This was because the compiler had a clear opinion on how to deliver the ideology of textbooks. The first-person usage of ‘I’ or ‘we’ in travelogues, letters, and diaries was adopted in order to attract learners to textbooks. However, the compiler did not clearly differentiate between the genres of travelogues, letters, and diaries. Each article was just a means to convey ideas more effectively.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compiler did not agonize over the writing technique of each article. However, the first-person subjects in the private discourses contained in the letters and the diaries gained significance by leading writers to describe their own lives in later essays.

      • KCI등재

        강신재 소설의 여성성 연구

        곽승숙 ( Seung Sook Kwak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강신재는 전통적인 여성인물과 새로운 유형의 여성인물을 함께 제시하여 단일한 여성상을 해체한다. 강신재 소설 속 전후 여성가장은 규범적 여성성을 거부하는 새로운 유형의 여성인물로 그려지면서 기존의 여성성에 균열을 일으킨다. 여성가장은 전쟁을 겪으면서 자신에게 부과되는 위치와 역할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들은 전후의 폐허를 복구할 수 있는 것으로 대두된 모성이데올로기를 거부한다. 여성가장은 가장-어머니가 되기 이전에 전쟁을 겪으며 변화된 삶의 조건 앞에서 ``해체``되는 아내-어머니로서의 순간을 경험하기에 담론 상의 모성이데올로기를 거부한다. 강신재는 가장이 부재하는 현실 속에서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여성가장을 ``완벽한 어머니``가 아니라 생존의 불안을 느끼는 현실적인 어머니로 그리면서 당대 여성의 현실을 환기시킨다. 한편 강신재의 소설 속에서 새로운 유형의 여성으로 등장하는 양공주는 당대의 전형적인 시선으로 그려지지 않는다. 강신재는 양공주와 전통적인 유형의 여성인물을 양립하여 그리면서 양공주의 상황과 삶을 활기차게 그리며 낯선 여성 존재로서의 그녀들을 소설 속에 등장시킨다. 이렇듯 다양한 여성들의 목소리를 통해서 규범적 여성성을 균열시키고자 하는 여성작가로서의 강신재의 욕망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aspect of femininity which is expressed in Kang shinjae`s novel. In the novels written by Kang shinjae, the aspect of femininity, are represented as a ``bad woman`` rather than as a ``good woman``. The reason which the female characters are depicted as a ``bad woman`` is that the heroine persue desire. But Kang shinjae insists an objective expression thereby reserving the judgement on them for its readers. It doesn`t follow in steps a social common notion. In the 1950s, most of the women writers described the female character as a perfect mother. But Kang shinjae depicted female character`s realities of life that the war drove them to despair. The figures of Matriarch, created by Kang shinjae in 1950s, after their husband died in Korean-War, they proved that they were isolated in patriarchal family. They are forced to reject the ideology of motherhood. Yang-gong-ju appeared as the strange woman in Kang shinjae`s novel. Kang shinjae through a variety of women`s voice crack makes normative femininity.

      • KCI등재후보

        근대의 사랑 - 이광수의 『무정』과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을 중심으로

        곽승숙 ( Kwak Seung-sook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7 No.-

        이 글은 이광수의 『무정』(1917)과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1914)에 나타난 `마음`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광수와 나쓰메 소세키는 한국과 일본의 근대 작가로 추앙된다. 이들은 근대 작가이자 지식인으로서 『무정』과 『마음』을 창작한다. 두 편의 소설은 근대 사회에서 개인의 `마음`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룬 작품이다. 두 소설에서 개인의 `마음`은 전근대적인 가치관과 혼재되어 있다. 특히 개인의 `마음`은 사랑으로 인한 번민과 함께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개인의 마음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사랑`은 양심, 죄책감과 혼합되어 사랑 아닌 사랑의 양상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두 소설의 주요한 모티프는 남녀 사이의 `사랑`이나 실제로 그 양상은 차이를 보인다. 『무정』과 『마음』의 사랑은 주인공의 사랑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이러한 차이는 `근대`에 대한 두 작가의 입장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spect of `mind` in Lee Kwang - soo`s 『Moo Jeong』 (1917) and Natsume Soseki`s 『Mind』 (1914). Lee Kwang Su and Natsume Soseki are regarded as modern writers of Korea and Japan. As a modern writer and intellectual, they create 『Moo Jeong』 and 『Mind』. The two novels deal with the “mind” of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in earnest. In modern society, individuals` minds are mixed with pre-modern values. Especially, the `mind` of the individual becomes more prominent with the agony caused by love. `Love`, which is formed by the action of the individual`s mind is manifested in the form of love, not love, mixed with conscience and guilt. The main motifs of the two novels are `love`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 aspects of love is different. Love begins with the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the main character`s love. This difference refl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riters` positions on `modernity`.

      • KCI등재후보

        강신재 초기 소설에 나타난 모성성 연구

        곽승숙 ( Seung Sook Kwak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0 漢城語文學 Vol.29 No.-

        강신재는 작품을 발표하던 당대에 ``여류 작가``로서 현실 인식에 한계가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강신재는 ``여성의 현실``을 재현하고, 그 안에서 여성을 억압하는 조건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작가는 여성에게 요구되는 억압적 조건을 ``어머니``로 보고, 다양한 모습의 ``어머니들``을 그리고 있다. 강신재 소설 속 어머니들은 당대의 규범적 여성성을 거부하는 새로운 유형의 여성 인물로 제시되면서 기존의 여성성에 균열을 일으킨다. 강신재 초기 단편 소설 속 가장으로서의 어머니들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강인한 어머니라는 이상적 어머니 상과 모성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그에 반발한다. 어머니의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생계가 해결될 수 없는 상황에서 가족 부양자로서의 어머니는 생존의 불안을 안고 있는 현실적 존재로 그려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머니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의해 덧씌워진 모성의 허위성을 자각하고 그것을 거부한다. 어머니라는 이름이 스스로에게 억압 기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 자리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헌신적인 어머니들과 대조되는 지점에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어머니들이 있다. 욕망을 추구하는 어머니는 자식과의 관계에 있어서 독립적인 성격을 보이며 선택적인 모성을 추구하는, 모성으로 인한 억압을 느끼지 않는, 개성적 인물로 제시된다.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어머니는 삼각연애 구도 속에서 사랑의 실현을 추구하는 ``위험한`` 어머니로 그려진다. 어머니가 애정이 결핍된 가정생활 안에서 사랑을 욕망하게 되면서 파국적인 결말이 초래된다. 어머니에게는 모성으로서의 여성성만이 허락되기 때문이다. 모성이 여성성의 전형인 것처럼 여겨지는 가정 내에서 모성과 여성성이 분리된 어머니는 악녀형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현모양처와 대조적인 이러한 어머니들은 공포의 존재로 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예상되는 파국적 결말 앞에서도 당당하게 제시된다. 악녀형 인물을 관찰하는 서술자의 태도는 객관적이거나 우호적이다. 서술자는 소설 속 어머니들에 대한 윤리적 판단을 내리지 않는데, 이는 가부장적 가정 내에서 들을 수 없었던 ``나쁜 어머니``의 여성적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aspect of maternity which is expressed in Kang Sin-jae`s early novels. In the novels written by Kang Sin-jae, the aspect of maternity, are represented as a ``bad mother`` rather than as a ``perfect mother``. The reason which the female characters are depicted as a bad mother is that the heroines persue love. But Kang Sin-jae insists an objective expression thereby reserving the judgement on them for its readers. It doesn`t follow in steps a social common notion. In the 1950s, the postwar society was in a time of transition that a value system was collapsed and fluctuated because of the war. In the 1950s, most of the women writers described the female character as a perfect mother. But Kang Sin-jae depicted female character`s realities of life that the war drove them to despai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