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도 물영아리오름과 곶자왈의 버섯종 다양성

        고평열,이강효,김민자,조한교,이승학,김민준,김용균 한국버섯학회 2016 버섯 Vol.20 No.2

        제주도는 기후, 식생, 토양 등 자연환경이 독특해서 버섯의 종다양성은 내륙지역과는 크게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 물영아리오름과 곶자왈에코랜드에서 개최된 한국버섯학회 주관 2016년도 버섯생태조 사에서 51속 66종의 버섯이 관찰되었다. 구름송편버섯(Trametes versicolor) 등 5종은 물영아리오름과 곶 자왈에서 모두 발견되었으며, 물영아리오름에서는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 등 34속 36종이 발견되 었으며, 곶자왈(에코랜드)에서는 잔나비불로초(G. applanatum) 등 23속 29종이 발견되었다. 독특한 생태 환경을 보이는 제주도에서 발생되는 야생버섯자원은 새로운 소득품목개발과 신품종을 육성하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생태조사를 통해 제주도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기후변화를 예측하 고 대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영아리오름은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하며, 상록낙엽수(예 덕나무, 참식나무, 때죽나무 등), 큰천남성, 섬새우란, 금새우난, 사철난, 찔레나무 울타리, 습지식물인 고마리, 물고추나물, 보풀, 세모고냉이 등 식생이 다양하며, 국내 5번째로 람사조약습지로 지정되어 있 다. 곶자왈은 제주와 같이 용암분출로 형성된 지역에 잘 발달할 수 있으며, 난대림과 온대림을 중심으 로 광범위하게 숲을 형성하고 있으며, 식물종 다양성도 비교적 높다. 곶자왈지역에는 600여종 이상의 관속식물이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개가시나무, 으름난초, 수채, 제주물부터 등은 멸종위기식물이다. 섬 휘파람새, 직박구리 등 제주텃새와 긴꼬리딱새나 팔색조 등 희귀철새가 번식한다. *본 초록의 저자는 2016년 한국버섯학회 생태조사 및 분류워크숍에 참여한 분류전문가(고평열), 행사진 행 담당자(버섯과, 충남도원), 생태조사 수상자(학술상:충북도원 김민자, 실용상;용인초당고 김민준, 촬영 상;조선대 조한교, 골든벨상;제주대 이승학)을 대표저자로 선정하였습니다. 생태조사에 참여한 회원 60 명 모든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 KCI등재

        월출산국립공원의 자생버섯 분포상

        고평열,이승학,김태헌,최석영,홍기성,전용철,Ko, Pyung-Yeol,Lee, Seung-Hak,Kim, Tae-Heon,Choe, Suck-Young,Hong, Ki-Sung,Jeun, Yong-Chull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3

        월출산국립공원 내 버섯류 자원의 서식지별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생물다양성, 생태계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천황사지구, 경포대지구, 도갑사지구 등 26개 격자를 중심으로 29일에 걸쳐 임도, 계곡, 등산로, 자연관찰로 등을 대상으로 버섯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조사된 버섯은 2문, 9강, 24목, 71과 177속, 407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9월에 19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분류군별로 보면 주름버섯목이 187분류군으로 45.9%의 분포를 보였으며, 그물버섯목, 구멍장이버섯목이 뒤를 이어 다수 발생하는 종으로 확인되었다. 해발고도 100~200 m 사이에서 489점의 좌표가 확보되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 중 경포대지구의 격자5, 격자15번지역, 천황사지구인 격자 7지역에서 가장 많은 버섯 종류가 조사되었다. 기후변화지표종 7종 중 큰갓버섯, 마귀광대버섯, 황소비단그물버섯 3종이 출현하였고, 기후변화지표종 후보종인 노란다발, 배젖버섯 2종이 출현하였다. 현재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476종이 지정되어 있는데, 본 조사 시 164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형태적 분석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표본 WC18158이 Craterellus parvogriseus 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다(*Appendix 홈페이지에 업로드). Mushrooms growing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were surveyed from April to October 2018. As a result of this survey, 2 divisions, 9 classes, 24 orders, 71 families, 177 genera, and 407 species were found. Among them, 3 classes, 16 orders, 55 families, 150 genera, and 370 species belonged to Basidiomycota, while 6 classes, 8 orders, 16 families, 27 genera, and 37 species belonged to Ascomycota. The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at the altitudes between ~100 and 200 m. Among the investigated sites, the most diverse species occurred in the Gyeongpodae area. In this survey we found, Macrolepiota procera, Suillus bovinus, and Amanita pantherina, all of which have been known as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CBIS). Based on the DNA sequence analyses, Craterellus parvogriseus was confirmed as a new record for Korea.

      • KCI등재

        내장산국립공원의 자생버섯 분포상

        고평열,박혜성,이승학,전용철 한국버섯학회 2022 한국버섯학회지 Vol.20 No.4

        Mushroom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between May and September of 2021 have been surveyed. In this period, a total of 4 divisions, 9 classes, 25 orders, 72 families, 171 genera, and 381 species, including 3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were found. The order in which the most diverse array of species was observed is Agaricales, which includes 24 families, 64 genera, and 170 species. Among these, the genus Russula was dominant, with 30 species, followed by the genus Amanita with 27 species. Among the 12 grids we investigated, species diversity was greatest in grid F5, in which 56 species of mushrooms were found. 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including Russula spp. and Lactarius spp. were recognized. We presume that the gentle slopes and the low occurrence of Sasa borealis in this area may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wild mushrooms. In corroboration, some grids (e.g. F6, F8, and F10) covering steep slopes and harboring large numbers of Sasa borealis contained only 19 species. Based on DNA sequence analysis, the NJ21064 was identified as Chlorophyllum hortense, which is newly recorded in Korea.

      • KCI등재후보

        제주도 자생버섯의 종다양성

        고평열,석순자,이향범,고효순,전용철 한국균학회 2014 韓國菌學會誌 Vol.4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ushrooms growing spontaneously on JejuIsland in the last eight years. Approximately 2,000 specimens of mushrooms were collected in Gotjawal, Hallasan Natural Park,and Oreum, the habitats where a rich diversity of mushrooms was expected, from 2006 to 2013. They were identified as 74families, 213 genera and 511 species. Thus, including 69 families, 99 genera and 561 species from the previous study conductedin 2005, a total of 83 families, 257 genera and 740 species of wild mushrooms have been recorded. This study would supportnew information for fungal flora in Korea and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studies on mushroom diversity 본 연구에서는 지난 8년 동안 제주도에 자생하는 버섯류의 다양성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버섯은 2006년부터 2013 년까지 버섯류의 풍부한 다양성이 기대되는 곶자왈, 한라산국립공원, 오름에서 약 2,000여 점의 표본을 채집하였다. 조사된 버섯은 총 74과 213속 5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국내 미기록종은 6과 6속의 6분류군, 제주 미기록종은55과 101속 137분류군이었다. 과거 2005년에 조사된 결과인 69과, 99속, 561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제주도에서 총83과 257속 740종의 야생버섯을 기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버섯종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미래 버섯연구에 기초 자료로 이용되리라 본다.

      • 제주도 및 추자도 인근 무인도서의 식물상 및 분포조사

        고평열,이가은,좌종헌,송국만,송관필,전용철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2013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지 Vol.29 No.1

        식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제 주도와 추자도 내에 속하는 55개의 무인도서에서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 조 사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은 91과의 316분류 군으로 나타났고, 이중 새섬이 112분류군으로 가 장 많은 종 수가 출현하였다. 추자군도의 무인도 에서만 관찰된 식물종은 눈향나무, 꿩의비름 등 41분류군이었고, 제주도 인근 무인도에서만 관찰 되는 식물종은 반쪽고사리, 층층고랭이 등 125분 류군이었다. 섬의 규모가 작아서 식물상이 전무한 곳이 납덕이 등 6개 섬이었으며, 검둥여, 절명이 등 7곳의 섬에서는 5종 미만으로 매우 빈약한 식 물상을 보였다.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목본식물의 경우 교목으로는 곰솔이, 관목은 사철나무, 우묵 사스래피나무, 돈나무 등의 차례로 가장 넓은 분 포를 보였다. 초본식물로는 밀사초, 참억새, 갯강 아지풀, 계요등, 갯까치수영 등의 순이었으며, 관 찰빈도가 가장 많은 식물은 다년생 초본식물인 밀사초와 참억새로 확인된다. 가장 많은 출현빈도 를 보인 분류군은 국화과로 34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벼과, 콩과, 백합과 순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preserve the data of plants, tracheophytes were surveyed on 55 uninhabited islets surrounding Jeju and Chuja Island. A total number of 316 species in 91 families of tracheophytes were found in this study. Among these islets, the mo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in the Saeseom in which 112 species were detected. Total 41 species including Juniperus chinensis and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were observed only in the islets near Chujado whereas total 125 species including Pteris dispar and Cladium chinensis were observed only on the islets near Jejudo. There were no flora in the 6 islets including Napdeogi due to its small size and less than 5 species were found in the 7 islets including Geomdungyeo and Jeolmyeongi. Pinus thunbergii had the widest distribution in xylophyte followed by Euonymus japonica, Eurya emarginata and Pittosporum tobira in shrub. For herb, Carex boottiana, Miscanthus sinensis, Setaria viridis, Paederia scandens and Lysimachia mauritiana were dominant species in order of number. Carex boottiana and Miscanthus sinensis which are perennial herbs were the most observed species from among them.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Asteraceae containing 34 species followed by Poaceae, Leguminosae and Liliacea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