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강정화,한숙정,Kang, Jeong Hwa,Han, Suk J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d how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Methods: From November 2009 through February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nurses working at the ICU of 10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67 questions under four categories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Results: Participants scored 4.27 points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4.43 on death anxiety, 4.12 on death concern and 4.18 on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posi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nega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ath concern and nega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concer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ect for life. Conclusion: Compared with nurses who served at ICU for a long time, nurses with less ICU experience scored lower on the meaning of death and respect for life, while they presented high anxiety and concern about death. A training course may help nurses develop their view on the meaning of death, which in turn would enhance their performance in caring dying patients.

      • KCI등재

        典庵 姜鼎煥의 시 세계 고찰

        강정화(Kang, Jeong-hw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典庵 姜鼎煥(1741~1816)은 현 경상남도 함안군 漆原 舞沂里에서 태어나 만년에 거창으로 옮겨가 살았던 강우지식인이다. 주지하듯 인조반정으로 세력을 상실한 강우지역의 남명학파 문중은 18세기에 들어와 문중적 전향이 이루어지는데, 전암의 가문은 洛學 계열의 老論을 지지하였다. 그의 스승은 당시 朝野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던 渼湖 金元行(1702~1772)이다. 그 때문인지 典庵集에는 강우지역과 연계시킬 만한 기록이 많지 않다. 합천 함벽루나 진주 촉석루를 비롯해 만년의 거주지 거창 일대를 읊은 한시가 더러 보이는 정도이다. 8권 4책의 분량임에도 江右學者의 이름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전암은 스승이 내려준 ‘옳음 찾고[尋是] 실질에 힘쓰는[務實]’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는 일상에서 한순간도 소홀히 하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敬으로써 마음을 붙드는 것을 일컫는다. 天理는 高遠한 데에 있지 않고 일상생활의 자잘한 것에 모두 깃들어 있으니, 공부하는 士는 일상의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이 ‘옳음’을 찾고 이의 실천에 힘써야 한다는 간명한 이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과 인식은 그의 작품에 그대로 드러났는데, 대표적인 것이 한시이다. 전암의 한시는 내용면에서나 형식면에서 풍부한 다양성을 지니고 있었다. 내용면에서는 재야지식인으로서의 士意識이 깊게 스며 있었고, 중국과 자국의 역사에도 관심이 많아 역사 속 인물 및 사건을 매개로 한 懷古詩가 많았다. 형식면에서도 首尾吟詩나 擬作詩 등 다양한 표현기법을 활용해 상상력을 발휘하였다. 특히 병자호란을 전후한 역사적 상황과 이를 기록한 여러 저술을 접하면서 현세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을 표출하였다. 이는 평생 강우지역에 살았던 전암이 서울과 경기지역의 스승 및 동문과의 교유를 통해 습득된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강우지역 여느 재야 지식인과 차별되는 전암의 성향이라 하겠다. Joenam Kang Jeong-hwan(1741~1816) was a Gangwoo intellectual that was born in current Mugi-ri, Chilwon, Haman-kun, Gyeongsangnam-do and moved to Geochang in his latter days. As everyone knows, the clan of Nammyeong School in the Gangwoo area underwent clan-wide conversion in the 18th century after losing their power following King Injo s enthronement. Jeonam s family supported the Noron in the Nakhak line. His teacher was Miho Kim Won-haeng(1702~1772) that had enormous influence o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those days, which maybe explains the lack of records in his Jeonamjip to connect him with the Gangwoo area. It only contains some Chinese poems he wrote to depict the Geochang area where he moved in his latter days including Hambyeokru of Hapcheon and Chokseokru of Jinju. Even though the collection consists of eight books and four volumes, it mentions no names of Gangwoo scholars. Jeonam made constant efforts to lead a life of finding rightness and devoting to practice according to instructions of his teacher. This life attitude meant that he kept his mind in the right state based on respect so that he would not neglect or go easy on any moment in daily life. The logic behind it is simple and clear; the natural law is not far and high away but dwells in trivial things of daily life, asking any learning scholars to find this rightness in very small things of daily life and devote themselves to its practice. This tendency and awareness was revealed in Jeonam s works. Good examples are found in his Chinese poems. Jeonam s Chinese poems boast rich diversity both in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many of his Chinese poems are reminiscent poems involving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as he had the consciousness of a classical scholar deep inside him as an intellectual out of office and showed much interest in the history of China and Joseon. In terms of form, he made use of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including Sumieum and Uijak to exert his imagination. Learning about the historical situations before and after Byeongjahoran and reading many different books about them, in particular, he exercised his profound insight into this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his social intercourse with his teachers and alumni in Seoul and Gyeonggi from his lifelong residence in Gangwoo. This is his tendency differentiating him from any other intellectuals out of office in the Gangwoo region.

      • KCI등재

        지리산(智異山) 유람록(遊覽錄)으로 본 최치원(崔致遠)

        강정화 ( Jeong Hwa Kang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5 No.-

        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 유람록은 현재 100여 편 이상 발굴되었고, 작품 속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단연 최치원이다. 작품 속 최치원 관련 유적은 주로 하동 쌍계사와 三神洞 방면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중 최치원의 글씨로 알려진 ``雙磎石門`` 石刻, 眞鑑禪師大功塔碑에 가장 많은 기록이 나타난다.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조선조 士들의 최치원에 대한 인식은 4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조선초기 士人에게서 보이는 최치원의 불우한 삶에 대한 연민이 그 첫 번째 인식이고, 임진란을 전후한 시기에 그의 서체에 대한 칭송과, 하동 청학동에 형성된 최치원 관련 신선 의식이 그 두 번째와 세 번째이고, 마지막으로 조선 말기에 이르면 그의 불가 및 仙趣 성향에 대한 혹독한 비판의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네 가지는 강약의 차이가 있으나, 조선시대 전 시기 동안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인식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기에 시대적 조류나 집단성에 의해 어떤 성향이 보다 장시간 그리고 더 강하게 나타나는 성향을 중심으로 분류해 보면, 시대성을 반영한 의식들이 은연 중 드러나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는 지리산 유람록 속 인식들이 인식 대상인 ``최치원``이란 인물 자체보다는 조선조 士人의 시각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일컫는다. 곧 최치원에 대한 인식을 그 시대 그의 입장에서 바라본 것이 아니라, 모두 조선시대 士人의 관점에서 가늠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최치원은 천 여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회자되는 인물 중 한 사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ere are over 100 travel journals left by Joseon scholars that took a trip to Mt. Jiri, and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figure in those travel journals is undoubtedly Choi Chi-won. In those travel journals, the relics related to Choi are concentrated in Ssanggye Buddhist Temple of Hadong and Samshindong. The Bijingamseonsadaegongtapbi with "Ssanggyeseokmun" stone carved by Choi holds the most records.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Joseon scholars` perceptions of Choi based on his records in the travel journals of Mt. Jiri. The perceptions of Choi found in the travel journals of Mt. Jiri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first category presents the scholars` compassion for the miserable life of Choi reflected in their own lives in early Joseon; the second one concerns their praises for Choi`s handwriting around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third one is related to the Taoist hermit consciousness concerning him formed in Cheonghak-dong of Hadong; and the final one is their fierce criticism of his tendencies regarding Buddhist community and Seonchui in late Joseon. Those four categories of perceptions of Choi appeared in various combinations with differences in intensity throughout Joseon.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those perceptions subtly reflect the perceptions of the times as they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certain inclinations that were manifested in stronger and longer ways by the trends or collectivity of certain periods. It is thus understood that the scholars` perceptions in their travel journals after a trip to Mt. Jiri focus on the views of Joseon scholars rather than the object of their perceptions, namely "Choi Chi-won." In other words, they viewed him in the perspective of Joseon scholars instead of his perspective in his days. Thus Choi remains as one of the figures that are frequently talked about among people even after a thousand years.

      • KCI등재

        1930년대 문인들의 미술비평문 연구-김기림의 미술비평문을 중심으로-

        강정화 ( Kang Jung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0

        Poet Kim Ki-rim led the modernism of literature in the 1930s and is important in Korean literary history. However, there is no independent study of his art critique written in 1933. This critique is not representative of Kim Ki-rim's works because it is one and only critique of his. However, it is a must-see text in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at it shows why writers were forced to participate in art criticism in the 1930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and the Joseon Art Exhibition were held. Before the 1950s, when professional art critics emerged, art criticis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writers and painters. The painters complained about the art criticisms written by writers who were not professional in painting which were rather closer to reports than critiques. Nevertheless,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art criticisms because of the lack of writings on other exhibitions and works except for the Joseon Art Exhibition, as Kim Ki-rim criticized. Through this fact, we can also see what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meant at the time. In particular, Kim Ki-rim also mentions the direction of “realism” and the role of “Inteligentia,” which he considered important in his theory, providing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his view of art. We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visual media called artwork. Through Kim Ki-rim's research on art criticism, I hope that literature's research on art criticism becomes more active, including his artistic sense of understanding art.

      • KCI등재

        정현웅의 예술의식 연구-『삼사문학』 동인 활동과 미술비평문을 중심으로-

        강정화 ( Kang Jung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정현웅은 1930년대 화가이자 문인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총독부 주관의 조선미술 전람회를 통해 화가로 데뷔, 이후 삽화와 표지화 등을 그리며 삽화가로 활동하는 동시에 다수의 글을 발표하기도 한다. 하지만 문인으로의 활동은 많이 알려지지 않아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수의 글을 발표한 만큼 정현웅의 시, 수필, 비평 등을 분석하는 것은 그의 예술의식은 물론이고 1930년대 문예계의 단면을 살펴보는 일이 된다. 정현웅은 예술 창작 활동에 있어서 늘 새로운 변화를 추구했다. 당대 비평가들의 글을 통해 정현웅의 이러한 예술세계를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이런 미의식은 이후 초현실주의를 기반한 글쓰기 활동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현웅의 글을 통해 그의 예술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글에는 자신의 예술의식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초현실주의를 중심으로 쌓아간 그의 예술의식은 시와 비평에도 반영된다. 그리고 이러한 예술에 대한 인식은 동시대 화가들을 비평한 비평문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화가로 기억되는 정현웅의 문학 활동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당대 문예계를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Jung Hyun-woong actively performed as a painter and writer in the 1930s. He made his debut as an artist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in the Japanese Goverment-General of Korea, and later worked as an illustrator, painting illustrations and covers. At the same time, he publishes several articles, but his work as a writer is not very well known, and research has not been done properly. Jung Hyun-woong left many writings in various areas, including poetry, essays and criticism, and we can see his consciousness of art through those writings. In this study, we explore his art consciousness through Jung Hyun-woong’s writings. A writing reveals the writer’s own art consciousness, and we can clearly see his art consciousness based on surrealism in his poetry and criticism. Jung Hyun-woong had always pursued new changes in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writings of critics of the time, we can guess his artistic world and his sense of beauty is also revealed in subsequent writing activities based on surrealism. Therefore, this study takes a look at his artistic sense through the writings of Jeong Hyun-woong. The writings reveal his artistic consciousness. His artistic consciousness built around surrealism is also evident in poetry and criticism. Furthermore, his perception of art is also revealed in critical writings criticizing contemporary artists. We expect further understanding in the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literary activity of Jung Hyun-woong who was rather known as a painter.

      • KCI등재

        화가 길진섭의 문필활동 연구

        강정화 ( Kang Jung-hwa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9 No.-

        길진섭은 1930년대 우리 근대 문예사의 화가이자 문필가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하지만 그의 예술세계에 관한 단독의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전람회에 창작 작품을 출품하고, 문예지인 『문장』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음에도 그의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가 없음은 우리 문예사의 한 부분을 잃어버린 것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길진섭이 남긴 다수의 시평과 『문장』지에 실린 그의 글을 토대로 그의 예술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근대 미술이 갖는 ‘공간’과, 신문이나 잡지를 통해 발표되는 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작가들의 창작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화실의 필요성과 더불어 감상자의 중요성을 인지한 ‘전시장’의 마련과 ‘매체’의 관심을 촉구하며 근대 미술의 틀을 이루고자 했다. 또한, 그는 글을 통해 고향에 대한 의식을 드러내는데, 이는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며 고향을 떠난 지식인들의 공통된 고민이기도 했다. 고향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과 조선의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문장』지 동인 활동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화단에서 우리 미술에 대한 고민을 드러냈던 화가 길진섭의 문필활동을 통해 우리 근대 문예사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Gil Jin-seop was a painter and writer of modern literary history in the 1930s. Even though he submitted his creative works to the exhibition and took the initiative in the literary magazine “Moon-jang,” no research focusing on him has been done. This is like losing a part of our literary history. This study looked into his artistic activities with a number of poems and his writings left in the magazine “Moon-jang”. He emphasized that “space” and “media” mus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osun's literature. In addition, he urged on the need for galleries to encourage artists' creative activities, the museums sought to form a framework for modern art, and calling for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halls” tha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viewer and the interest of the “media.” He also reveals his sense of hometown in his writings, which was a common concern for intellectuals who left their hometowns while living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ambivalent feelings about his hometown and his worries about what Chosun’s art were also manifested in his writings. This study includes the hope that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artist Gil Jin-seop, who revealed his concerns about Korean literature would expand the scope of our moder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지리산(智異山) 유산시(遊山詩)에 나타난 명승(名勝)의 문학적(文學的) 형상화(形象化)

        강정화 ( Jeong Hwa Kang ) 동방한문학회 2009 東方漢文學 Vol.0 No.41

        유산시는 유람 과정에서 접하는 해당 명승 및 그 경물 등에 작자의 감회를 표출한 것으로, 해당 명승의 장소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고는 조선시대 士들이 지리산 유람을 통해 그들의 감회를 술회한 유산시 가운데에서, 몇몇 명승을 선별하여 그 명승에 투영된 그들의 공통된 정서 및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표현 등을 살펴 본 것이다. 조선시대 士들의 지리산 유람은 특정 명승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천왕봉을 오르는 이들은 천왕봉 日月臺, 帝釋堂의 聖母, 德山의 南冥 曺植 유적지 등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靑鶴洞을 목적지로 삼은 경우는 雙溪寺·佛日庵·神興洞계곡·七佛寺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명승은 빼어난 경관으로 인해 그 장소가 명성을 얻은 경우인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빼어난 경관이 아니어도 거기에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명승으로 이름난 경우까지 포함한다. 지리산 유산시에 나타난 명승 또한 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그 傳承에 있어서는 다음 4가지 유형을 보인다. ① 그 장소와 그 곳을 읊은 글이 함께 現傳하여 지금까지도 이름난 경우, ② 그 장소의 경물은 없어지고 글만 전해지는 경우, ③ 그 장소의 경물과 글이 현전하나 이름나지 않은 경우, ④ 빼어난 경관은 아니나 名人이 있어 이름난 경우이다. 각 유형에 해당하는 명승을 선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유산시의 문학적 형상화를 살피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①과 ④의 경우 명승으로 이름나 있더라도 선현들의 글을 통해 명승으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기회가 되고, 장소와 글이 함께 현존하나 이름나지 않은 ③은 그곳의 장소적 이미지를 확립시킴으로써 명승으로 거듭날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② 또한 실물이 존재하지 않으나 그 현장만으로도 장소적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나아가 이를 계기로 명승으로 확립할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ountain outing poems called "Yusansi" are the manifestations of authors` reminiscence of relevant scenic spots and the scenery of the season, which are encountered during the sightseeing trip. These poems connote the essential meaning in establishing local identity and the image reconsideration of those scenic spo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lect the scenic spots of MT. Jiri, among outing poems that were referred to by literati-scholars of Joseon dynasty through MT. Jiri tour, and to inquire into their common sentiments and figurative expressions which are projected in the literary poems of scenic places. Sightseeing tour of literati-scholars to MT. Jiri in the Joseon dynasty is made centering in particular scenic spots. For example, people who climbed Cheonwangbong went around Ilweoldae of Cheonwangbong, a holy mother of Jeseokdang, and historic site of Nammyeong Josik of Deoksan. In case destination is Cheonghakdong, it encompasses around Ssanggyesa, Bulilsam, Shinheungdong valley, and Chilbulsa. Because of splendid scenery, scenic spots gained the fame. The focus of this thesis includes the places which are not well-known as scenic spots, by appointing historic and cultural values to the spots apart from splendid scenery. The scenic spots that appear in MT. Jiri outing poems also imply historic and cultural meaning. Inheritance of these places is classified into 4 types as follows: ① Places and recited poems are handed down and attain prominence until the present ② Natural features disappeared, and only associated writings are handed down ③ Natural features and writings of places are present until now, but their names are not noted ④ Stunning scenery is not found but attains the prominence because of a noted person. The selection of the scenic spots corresponding to each type, and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ry manifestation of outing poems in this study can expect the efficacy as follows: Even though the cases of ① and ④ are already renowned beauty spots, their identity as scenic spots can be solidified. The locations and writings of ③ have not attained the prominence of their name, even though they are present until now. In this point, opportunity to be reborn as scenic spots can be provided by establishing the local image of those places. In addition, in case of ②, the real shape does not exist but only with the scene, local image can be reproduced and furthermore, with it as momentum, the basis to be established as scenic spots can be provided.

      • KCI등재

        노백헌(老柏軒) 정재규(鄭載圭)의 「두류록(頭流錄)」에 나타난 일생의 한 국면

        강정화 ( Kang Jeong-hwa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1

        이 글은 19세기 江右地域에서 활동했던 蘆沙學派의 首長인 老柏軒 鄭載圭가 1887년 8월의 지리산행에서 남긴 「두류록」을 통해 그의 ‘일생’에서 이 유람이 갖는 의의를 살폈다. 당시 강우지역은 노사학파 외에도 性齋學派와 寒洲學派가 활발하게 활동하였고, 강우학자의 지리산 유람은 이들 학파 간 교유의 場이었다. 그러나 노사학파는 두 학파에 비해 출발이 늦었고, 문인의 숫자도 월등히 적었다. 따라서 정재규는 강우지역에 노사학파를 확산시키는 것이 일생의 과업이었다. 1887년의 지리산 유람은 그의 학문적 여정에서 분명한 分岐가 될 만큼 다분히 의도된 것이었다. 정재규는 기정진의 문하에 든 지 10년 만에 노사학의 핵심을 전수받았다. 스승이 세상을 떠난 후에는 문집 간행과 문인 간의 강학을 통해 강우지역 내 노사학의 심화와 확산에 전력하였다. 특히 지리산행이 있기 1년 전에 강우지역을 풍미했던 두 학파의 首長이 세상을 떠나면서, 그들 학파 내에서도 스승의 문집을 간행하고 강학을 통해 학문을 확산하는 등의 활동이 성대히 전개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정재규는 강우지역 노사학파를 아우르는 지리산행을 감행하였다. 그의 지리산행은 동시대 여타산행과 달리 오로지 노사학파 인물만으로 이루어졌고, 코스를 에둘러서라도 동문이나 문인의 집을 방문해 우의를 다지는 행보를 보였다. 그의 지리산행은 처음부터 끝까지 ‘스승 기정진’으로 이루어졌다. 「두류록」은 1887년 봄 꿈에서 ‘孔子가 泰山에 오르지 않았다면 후학들은 어찌 했을까?’라며 자신을 꾸짖는 스승의 질문에서 시작하고, 하산 후 그 답을 얻는 것으로 끝맺는다. 강우지역에서 노사학파를 결속시키고 학문적 심화를 위한 산행이었으므로 스승을 중심에 둘 수밖에 없었다. 또한 당시 강우지역은 서세동점의 급박한 정세 속에서 지역의 師表로서 南冥 曺植의 학문과 정신을 추숭하는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지리산 유람에서 남명의 유적지 덕산을 필수 코스로 넣어 진행한 것이 이에 해당하며, 남명 관련 기행시가 쏟아져 나오는 현상도 이러한 흐름을 방증하였다. 정재규 일행은 유람 내내 남명을 스승보다 더 많이 언급하고, 일화나 작품 등을 인용하여 관련 유적에서 남명을 회고하였다. 이는 노사학파가 강우지역 내의 이러한 변화를 적극 수용함으로써 지역 내에서 학파의 위상을 강화하는 한 방법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cursion in the life of Nobaekheon Jeong Jae-gyu, who was the head of the Nosa Gi Jeong-jin school that was active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19th century, by looking into Duryurok that he wrote after his trip to Mt. Jiri in August, 1887. Those days, the Seongjae and Hanju schools were active in the Gangwoo region along with the Nosa school. Gangwoo scholars' excursion to Mt. Jiri provided a venue of social intercourse among these schools, but the Nosa school made a late start compared with the other schools and had much fewer literary figures as its members than the others. Jeong Jae-gyu found his lifetime task in the spread of the Nosa school across the Gangwoo region. His full intention was reflected in his excursion to Mt. Jiri in 1887 as it became a clear source of divergence in his academic life. It took only ten years for him to inherit the core of Nosahak once he started study under Gi Jeong-jin. After the death of his teacher, he devoted himself to the intensification and spread of Nosahak within the Gangwoo region by publishing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nd promoting the pursuit of study among literary figures. The heads of two schools that dominated the Gangwoo region passed away one year before his trip to Mt. Jiri, and the schools engaged in grand activities to publish the collections of their teachers' literary works and intensify their learning through pursuit of study. In this atmosphere, Jeong decided to take a trip to Mt. Jiri encompassing the entire Nosa school within the region, which was why only the members of the Nosa school accompanied him on the trip unlike other trips those days. Those who were not able to accompany him on the trip went around the excursion course and made a visit to their alumni and literary peers to solidify their friendship. His excursion to Mt. Jiri happened on August 18~28, 1887, starting in Samga, Hapcheon and returning home after Danseong, Sancheong, Daewonsa, Cheonwangbong, Deoksan, and Sinan. One theme that penetrated his trip to Mt. Jiri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as "his teacher Gi Jeong-jin." His Duryurok was conceived in his dream that he dreamt in Spring of 1887. In the dream, his teacher scolded him, asking "What would the pupils of Confucius have done if he had not climb the Great Mountain?" Believing that his teacher appeared in his dream to make him realize that he had not been working hard on his study, he climbed Mt. Jiri in August of the same year. Even standing on the highest peak Cheonwangbong, however, he was not able to find an answer to his teacher's question. Only after climbing down the mountain did he find an answer through twists and turns. The answer he found was that "a progressive process of study through excursion to mountains and its benefits." It was his personal opinion of study and also his perception of the Nosa school's situation in the Gangwoo region those days. It also represented the lesson that his teacher tried to make him realize even by scolding him in his dream and the realization that he had through the process of excursion to the moun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