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강정화,한숙정,Kang, Jeong Hwa,Han, Suk J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d how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Methods: From November 2009 through February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nurses working at the ICU of 10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67 questions under four categories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Results: Participants scored 4.27 points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4.43 on death anxiety, 4.12 on death concern and 4.18 on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posi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nega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ath concern and nega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concer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ect for life. Conclusion: Compared with nurses who served at ICU for a long time, nurses with less ICU experience scored lower on the meaning of death and respect for life, while they presented high anxiety and concern about death. A training course may help nurses develop their view on the meaning of death, which in turn would enhance their performance in caring dying patients.

      • KCI등재

        이태준의 미술비평문 연구

        강정화(Kang Jung Hw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5

        상허 이태준은 우리 문학사에 근대 최고의 문장가로 기록된다. 1930년대 대표 소설가로서 활발한 창작 활동을 이어가고, 잡지 『문장』을 창간하여 수많은 문인을 배출하는 등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회화성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소설 세계를 완성하며 문학과 미술의 상관성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그가 작성한 미술비평문은 다른 작품에 비해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1930년대 우리 화단은 우리의 정체성을 찾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서양화의 도입 이후 조선의 예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이어갔기 때문이다. 문학의 회화성에 관심을 두었던 이태준은 화단의 논쟁과 비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의 예술 의식을 드러냈다. 창작자이자 이론가로 문학이 갖는 속성을 고민했던 그는, 문학과 미술이라는 장르를 비교하며 문학 속에 드러나는 회화성에 대한 고민을 이어간다. 동시에 당시 화단이 나아갈 지향점을 밝히며 조선의 예술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노력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런 고민은 그의 예술세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태준이 남긴 6편의 미술비평문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 의식을 확인하고, 그가 지향하고자 했던 예술세계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Lee Tae-jun is known to be the best writer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leading novelist in the 1930s, he pursued his creative activities and published the magazine “Sentence” that discovered many writers. In particular, he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art and literature by achieving his own personal style of novels based on pictorialness. Nevertheless, there has little research on his art criticism. In the 1930s, Korean artists sought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Korean identity.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painting, artists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Joseon"s art and find how to express it. As he was interested in the pictural style of literature, Lee Tae-jun actively participated in debates and critical activities led by artists, thereby expressing his artistic awareness. He reflected on the right direction of the Joseon"s art, seeking to define Joseon"s art. As a result, he was able to form his own art world.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is artistic awareness based on six art critiques Lee Tae-jun left us and look into the art world that he wanted to pursue.

      • KCI등재

        대학 교양에서 미술작품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연구 - 근대 조선 시기 미술작품을 중심으로 -

        강정화 ( Kang Jung-hwa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roper method of developing creativity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the modern Joseon art works. The importance of “writing,” the basic expression ability of communication,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has also been recognizing this importance. Therefore, interpretation of creative competence became diversifying for writing method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rather than formalized writing. In this study, creative writing tasks using artworks were carried out in communication skills classes for freshmen. It is a task to create front and back stories focusing on the characters in the artworks with the visual images to help writing. In particular, it was aimed to allow them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modern Korean art,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at the same time. In this process, students organized creative contents through “open questions” and were able to submit writing tasks combined with the times as the results. Creativity, regardless of genre, has become an important ability to show individual competence. Various writing classes using art are currently being studi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 hope that the process of asking and responding to questions and creating new stories centered on our art will help us develop creative capabilities.

      • KCI등재

        화가 길진섭의 문필활동 연구

        강정화 ( Kang Jung-hwa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9 No.-

        길진섭은 1930년대 우리 근대 문예사의 화가이자 문필가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하지만 그의 예술세계에 관한 단독의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전람회에 창작 작품을 출품하고, 문예지인 『문장』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음에도 그의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가 없음은 우리 문예사의 한 부분을 잃어버린 것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길진섭이 남긴 다수의 시평과 『문장』지에 실린 그의 글을 토대로 그의 예술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근대 미술이 갖는 ‘공간’과, 신문이나 잡지를 통해 발표되는 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작가들의 창작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화실의 필요성과 더불어 감상자의 중요성을 인지한 ‘전시장’의 마련과 ‘매체’의 관심을 촉구하며 근대 미술의 틀을 이루고자 했다. 또한, 그는 글을 통해 고향에 대한 의식을 드러내는데, 이는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며 고향을 떠난 지식인들의 공통된 고민이기도 했다. 고향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과 조선의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문장』지 동인 활동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화단에서 우리 미술에 대한 고민을 드러냈던 화가 길진섭의 문필활동을 통해 우리 근대 문예사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Gil Jin-seop was a painter and writer of modern literary history in the 1930s. Even though he submitted his creative works to the exhibition and took the initiative in the literary magazine “Moon-jang,” no research focusing on him has been done. This is like losing a part of our literary history. This study looked into his artistic activities with a number of poems and his writings left in the magazine “Moon-jang”. He emphasized that “space” and “media” mus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osun's literature. In addition, he urged on the need for galleries to encourage artists' creative activities, the museums sought to form a framework for modern art, and calling for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halls” tha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viewer and the interest of the “media.” He also reveals his sense of hometown in his writings, which was a common concern for intellectuals who left their hometowns while living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ambivalent feelings about his hometown and his worries about what Chosun’s art were also manifested in his writings. This study includes the hope that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artist Gil Jin-seop, who revealed his concerns about Korean literature would expand the scope of our modern literary history.

      • RFID 기반 개체식별장치의 정보보호를 위한 프로토콜 모델에 대한 연구

        강정화 ( Jung-hwa Kang ),김재중 ( Jae-jung Kim ),곽계달 ( Kae-dal Kwack ),신승중 ( Seung-jung S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최근 들어 유전자원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무선 인식기술로 RFID 가 주목 받고 있다. 기존의 바코드 기술에 비해 RFID 시스템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칩이 내장된 태그의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원거리에서도 인식할 수 있으며 대량의 태그 인식 및 판독, 정보의 수정도 가능하여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논문은 축산, 유통 및 동물과 관련된 IT 산업에서 신속 정확한 정보 획득 및 정보 보호의 방안으로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태그의 구조를 제안하고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ID 의 불법적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KCI등재

        1930년대 문인들의 미술비평문 연구-김기림의 미술비평문을 중심으로-

        강정화 ( Kang Jung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0

        시인 김기림은 시론과 시 창작을 통해 1930년대 문단의 모더니즘을 이끌어 우리 문학사에 중요하게 기록된다. 하지만 그에 비해 1933년에 작성한 미술비평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물론 그의 미술비평문은 단 한 편에 그쳐 김기림의 작품 세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1930년대 문인들이 미술비평에 가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당대 서화협회전과 조선미술전람회가 개최되던 상황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 그리고 김기림 본인의 예술의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미술비평문은 우리 문예사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텍스트이다. 전문적인 미술비평가가 출현하는 1950년대 이전에는 문인과 화가들에 의해 미술비평 활동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화가들은 비(非)전문가인 문인들의 감상기에 가까운 미술비평문에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문인들이 끊임없이 미술비평문을 남길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김기림의 비평에서와 같이 당대 조선미술전람회를 제외한 여타의 전람회와 작품에 대한 글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실을 통해 당시 화단에서 조선미술전람회와 서화협회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김기림이 시론에서도 중요하게 여겼던 리얼리즘의 방향성과 인텔리겐챠의 역할도 언급하고 있어 그의 예술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미술작품이라는 시각적인 매체를 통해 그의 예술 의식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기림의 미술비평문 연구를 통해 미술을 바라보는 그의 예술 의식을 포함하여 문인들의 미술비평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해본다. Poet Kim Ki-rim led the modernism of literature in the 1930s and is important in Korean literary history. However, there is no independent study of his art critique written in 1933. This critique is not representative of Kim Ki-rim's works because it is one and only critique of his. However, it is a must-see text in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at it shows why writers were forced to participate in art criticism in the 1930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and the Joseon Art Exhibition were held. Before the 1950s, when professional art critics emerged, art criticis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writers and painters. The painters complained about the art criticisms written by writers who were not professional in painting which were rather closer to reports than critiques. Nevertheless,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art criticisms because of the lack of writings on other exhibitions and works except for the Joseon Art Exhibition, as Kim Ki-rim criticized. Through this fact, we can also see what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meant at the time. In particular, Kim Ki-rim also mentions the direction of “realism” and the role of “Inteligentia,” which he considered important in his theory, providing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his view of art. We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visual media called artwork. Through Kim Ki-rim's research on art criticism, I hope that literature's research on art criticism becomes more active, including his artistic sense of understanding art.

      • KCI등재

        이광수의 미술비평문 연구

        강정화(Kang, Jung-Hw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이 글은 이광수가 남긴 세 편의 미술비평문을 분석하여, 이광수의 예술의식을 들여다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광수는 근대 문학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의 글은 다양한 시각과 각도로 연구되었다. 그럼에도 유독 그의 ‘미술비평문’은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는데, 이는 문인들이 작성한 미술비평문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광수는 최초의 현장비평문을 작성해 근대적인 의미의 미술비평의 문을 열었으며, 전람회라는 문물을 조선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무엇보다 이광수의 미술비평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그의 미술비평문에서 그가 가진 예술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미술감상안을 문명인이 되는 일대요건으로 꼽았던 이광수는 새로운 문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예술의 필요성을 역설했기에, 그의 미술비평문을 독해하는 일은 그가 이룩하고자 했던 근대의 세계와 문명인의 요건을 확인하는 일이 된다. 미술비평문에는 그가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예술의 구체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광수의 주목받지 못했던 미술비평문을 예술과 관련된 글들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의 예술 의식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그의 예술세계의 외연을 넓힐 수 있을 것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study explores the three art reviews left by Lee Kwang-soo and looks into Lee Kwang-soo"s artistic consciousness. Lee Kwang-s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his writings have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ngles. Nevertheless, his "art criticism" has not been particularly subject to research, which can be caused by distrust in art criticism written by writers. Lee Kwang-soo wrote the first on-site criticism, opening the door to modern art criticism, and introducing the culture of exhibition to Joseon. Above all, the reason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Lee Kwang-soo"s art criticism is that you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in his art criticism. Lee Kwang-soo, who claimed that art appreciation was a requirement to become a civilized person, emphasized the need for art to move toward a new civilization. Studying his art criticism, thus,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modern world and the requirements of civilized people he wanted to achieve.

      • KCI등재

        토수 황술조의 예술세계 연구 -1930년대 매체 비평문을 중심으로-

        강정화 ( Kang Jung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2

        1930년대 근대 화단의 서양화가였던 황술조는 당시 활발하게 활동하며 미술사에 이름을 남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활동 기간이 채 10년이 안 되어 작품이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황술조는 당시 우리 화단에서 자신만의 화풍을 형성하고, 조선의 예술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던 화가로 1930년대 우리 문예사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작가이다.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한 황술조는 당시 화단의 주류를 이루었던 조선미술전람회에 출전하는 대신 서화협회와 동미회, 목일회 등 소규모 단체에서만 활동하며 기록을 남긴다. 이런 그의 활동은 그의 작풍과도 연결되는데, 당시 화단에 유행하던 사조보다는 자신의 주관을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을 택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황술조는 조선의 예술인 동양화적인 표현으로 자신의 예술을 드러내고자 했다. 미완성인 상태로 끝난 작품이 많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그의 예술 의식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서양화가이지만 동양화도 그렸던 황술조는 작품을 통해 동양화적인 선과 붓의 필치를 드러낸다. 우리 전통의 예술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다. 남아있는 작품과 그에 대한 비평문이 부족하고, 작가 스스로 남긴 글이 남아있지 않기에 그의 예술 의식을 살펴보는 일은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화풍으로 우리 화단의 중견 화가로 활동했던 그의 작품을 만나는 일은 우리 문예사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는 일이 될 것이다. 앞으로 황술조에 대한 연구가 풍부해지길 기대한다. Hwang Sul-jo, a Western painter in the 1930s, was active at the time and left his name in the history of art. However, research on him has been insignificant. This is because there are few works left in less than 10 years of his activity. However, Hwang Sul-jo was a painter who thought deeply about how to express Joseon’s art and form his own style in Korean paintings at that time, and must be studied to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and art history in the 1930s. Ater graduation from Tokyo Art School, He left works for small organizations such as the Calligraphy Association, Dongmi Association, and Mokilhoe instead of participating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as the mainstream of the art troupe at the time. His activities were also linked to his style, which could be seen as a way of expressing his own subject rather than the popular stream at the time. Hwang Sul-jo also wanted to reveal his art in an orientalistic expression. Even though there are many unfinished works, this paradoxically has the effect of highlighting his artistic consciousness. Hwang Sul-jo, a Western painter, but also an oriental painter, revealed oriental painting lines and brush strokes through his works. The works reflect the concerns about how to express our traditional art. There is a limit to looking at his artistic consciousness because of a lack of criticism of the remaining works and his own writings. Nevertheless, meeting his works, which served as a veteran painter of our art troupe with his own style, will be a cross-section of our literary and artistic history. We look forward to abundant research on his art consciousness in the future.

      • KCI등재

        심훈의 미술비평문 연구

        강정화 ( Kang Jung Hwa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19 No.-

        심훈은 짧은 시간 동안 활발한 활동을 펼친 작가로 기억된다. 문학은 물론이고 영화와 시조, 비평 등 다양한 곳에서 활동을 이어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미술비평문에 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문인들의 미술비평활동이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기도 하지만, 그의 미술비평문이 ‘심훈’이 아닌 ‘심묵’, 혹은 ‘침묵’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최근에서야 심훈의 비평문으로 인정받은 이 글에는 그의 예술 의식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심훈의 예술 세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심훈은 작품을 감상하고 그 이야기를 자신의 것으로 확장시킨다. 때문에 그의 비평문에는 그의 예술 의식이드러나 있다. 전람회장의 생생한 분위기를 전달하고자 했던 화가들과 달리 심훈은 자신만의 감상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고는 심훈의 미술비평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예술 의식을 좇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심훈은 꾸미지 않은 순수한 자연이야말로 예술의 존귀함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는 비평에 있어 ‘진’이라는 개념을 활용하는데 원시적이고 무의식적이며 꾸밈없는 자연 그대로의 세계를 최고의 아름다움을 평가한다. 또한 그는 니체를 언급하며 ‘스스로 나아가는 자’가 되어 현실을 타개하는 실천을 이루고자 했다. 이는니힐리즘을극복하고자했던 위버멘쉬의자세와도 연결되는데, 그가 식민지라는 어두운 현실 속에서 현실을 타개하고자 했던 그의 예술의식이 드러나 있는 것이다. 이런 의식은 그의 소설이나 영화에서도 드러나는 관점이다. 심훈의 미술비평문은 단 한 편에 불과하지만, 심훈의 작품 세계를 가로지르는 예술 의식이 드러나 있었다. 이 글을 통해 앞으로 심훈의 작품 세계를 심도 있게 마주할 수 있기를 바란다. ShimHoon is remembered as a writer who had been active for a short time, because he performed his activities in various places, includingmovies, poetry, and criticism, as well as literature.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his art criticism.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artists' art criticismwas not well-received, but also his art criticism wasmiswritten as "ShimMook" or "ChimMook" rather than "ShimHoon.". The article that recognized just recently as ShimHoon's critique, helps us understand his world of art in that we can find his artistic consciousness. Shim Hoon appreciated works and expanded the story to his own. Therefore, his critique contains his artistic sens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of following the artistic consciousness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Shim Hoon's art review. Shim Hoon believed that pure unadorned nature could reveal the nobility of art. He assesses the best beauty in a primitive, unconscious and unadorned natural world in utilizing the concept of 'Jin' in criticism. He also wanted to become 'a man on his own' to achieve a reality-breaking practice. It also connects to Übermensch's attitude to overcome nihilism. In other words, he revealed his artistic sense of trying to overcome reality in the dark reality of colonialism. This consciousness is a view that is also revealed in his novels andmovies. It is only a short piece of writing, but I hope that this article, which reveals an artistic consciousness that crosses the world of Shim Hoon's work, will allow us to face the world of ShimHoon's work inmore dept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