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Alliance Activity on Patent Litigation : In the Case of Printed Electronics

        강민정,유재원,김원준,김남일,Kang, Minjeong,Yoo, Jaewon,Kim, Wonjoon,Kim, Namil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특허 소송은 혁신 혹은 지적 재산권의 보호 수단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 시장이 증대됨에 따라 경쟁사의 진입을 방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특허 소송의 활용 범위가 증대되었다. 특허 소송에 연루될 가능성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허의 양질이 증대할수록 높아진다고 밝혀져 왔다. 그러므로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특허 소송에 연루될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쇄 전자 산업 내 기업의 과거 제휴 활동이 특허품질과 특허 소송의 관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허 품질과 특허 소송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재 입증함과 더불어 피고인 관점의 특허 소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기업의 제휴 활동이 특허 소송을 낮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예컨대, 평균치의 특허를 지닌 기업에 대해 과거 제휴 활동의 유무가 연간 특허 소송률을 약 33% 낮추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연구가 특허 소송과 전략적 제휴에 관한 기존 문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과거 전략적 제휴가 평판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특허 소송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기존 전략적 제휴 관련 문헌에 기여한다. 또한, 특허 품질이 특허 소송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새로운 조절 변수를 밝혀냄으로써 기존 특허 소송 관련 문헌에 기여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특허 소송을 피고인 관점에서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Patent litig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tool to protect and facilitate innovation. Ironically, yet, the misguided uses of patent litigation as a strategic tool for vigilance against competitors are acting as a hindrance for innovation.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 better the quality of a patent, the higher the chance of the patent being litigated. 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innovating firms to take strategic precautions to minimize the risk of patent litig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firms' past alliance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quality and patent litig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defendant. A unique dataset on patents, infringement lawsuits, and firm performances in the printed electronics industry confirms that firms' previous alliance experiences mitigate the impact of patent quality on infringement litigation. For instance,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presence of past alliance experience reduces the litigation rate by 33% for firms with median-quality patents. This paper makes two major contributions. First,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alliance experience by confirming its role as a reputation in mitigating future litigations. Second,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atent litigation by identifying a unique moderator, i.e., alliance experience, on the linkage between patent quality and litigation. An innovating firm is likely to become an alleged infringer under a false accusati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firms that partake in infringement lawsuits unwillingly. Despite the importanc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patent litig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dants.

      • KCI등재
      • KCI등재

        시민들의 소통 플랫폼으로서 서울시 지하철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합한 콘텐츠 및 인터랙션 연구

        강민정(Minjeong Kang),윤주현(Juhyun Eun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인터랙션과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사이니지가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가 되면서 이러한 플랫폼에 적합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시민들의 소통에 적합한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기존에 공공장소에서 소통되는 콘텐츠 유형과 참여방식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서울시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 방향을 밝히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지하철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은 연령대 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20대는 주로 개인적인 글, 40대는 주로 공공의 주제, 그리고 30대는 앞의 두 연령대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들을 모두 소통하기 원하였다. 소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읽기/쓰기 모드에 따라 나눠서 질문한 결과 두 가지 모드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은 대체로 유사했지만 일상적인 글 또는 소원과 같은 개인 관련된 글은 읽기에서는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표현을 위한 인터랙션을 조사한 결과 시민들은 댓글 보다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표현 하고자 하였고 스마트폰 보다는 스크린에서 직접 터치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통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역, 나이, 주제에 따라 분석이 되어 시민들의 생각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As interactive digital signages with computer network have been increasingly popular in public space, the needs for studing 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the digital signages are emerging. In this study, we aim to find out what contents are preferred to share and how to interact in the digital signage installed in Seoul subway stations. We conduct a case study, a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In the case study, we collect content types which have been communicated in public space. Among these content types, we conduct a survey to find out the preferred contents of Seoul citizens. We observe that the preferred contents differ by the age of the citizens. Specifically, 20’s prefer the subjects about personal interests, 40’s choose public interests and 30’s prefer both types. In addition, we observe that the subjects about personal interest are relatively less preferred when people read, whereas the subjects are preferred when people write. Lastly, regarding interaction type, we find that Seoul citizens prefer touching the screen directly to using smart phone to express their empathy. The contents that people write and the number of like will be archi9ved as big data and analyzed so that Seoul city officers and citizens will know what people think based on age, location, and subjects.

      • KCI등재

        사용 목적에 따른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 연구

        강민정(Minjeo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메신저 창에서 제공되는 AI 챗봇의 경우 프로필 이미지가 챗봇과 소통하는 첫 단계가 된다. SNS에서 인상관리 수단으로 이용되는 프로필 이미지는 챗봇의 경우에도 서비스에 대한 인상을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맞는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목적과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와 표현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대화 자체가 중요시 되는 심심할 때와 심리상담을 목적으로 하는 인기 챗봇들의 사례를 분석 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추출한 결과 사람, 로봇, 동물, 추상적 이미지로 유형이 구분되었다. 이 기준에 따라 텍스트 버전과 이미지 버전으로 선택지를 만들어 설문한 결과 심심할 때 텍스트 버전에서는 남녀 모두 사람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이미지 선택지를 보고 고른 경우 남성은 여성과 로봇 이미지, 여성은 귀여운 의인화된 만화 캐릭터와 로봇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심리상담의 경우 남녀 모두 텍스트 버전에서는 사람을, 이미지 버전에서는 여성과 동물의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다. 종합해보면 심심할 때는 남녀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 반면 심리상담의 경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차이점은 사람 이미지를 제외하고 재미에서는 로봇, 심리 상담에서는 동물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표현 방식에 있어서 남녀 모두 실사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여성의 경우 2D 그래픽으로 단순화된 이미지와 추상화된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남성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챗봇 서비스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제공하는 프로필 이미지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In AI chatbot service via a messenger, a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is the first thing that users see to communicate with the chatbot. This profile image not only manages an impression about the profile owner in SNS on followers, but also makes an important impression about chatbot services on users. Thus motivated, this study investigates proper profile images tailored for the types of chatbot services and users. Specifically, I reviewed the preferred images and expressions of chatbots for each purpose of chatbot service. Then, in a case study,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presentative chatbot profile images for the purpose of fun and counseling. The profile images are categorized as robot, human, animal, and abstract images. Based on these categories, I surveyed the preferred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service in either the text type or image type alternatives. For the purpose of fun, in the text version, I found that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a human image to others. However, in the image version, men preferred woman and robot images while women preferred cute animation character and robot images. For counseling services,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woman and animal images most,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text version of questionnaires as well. While both genders consistently preferred real photo images, women tend to like abstract images more than men do.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develop the proper profile images of AI chatbot for each service purpose.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강민정(Minjeo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모바일 우선주의 시대에 수많은 모바일 앱이 쏟아지면서 사용자들이 보유하는 앱의 숫자도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의 숫자는 적고 많은 앱들이 언젠가 사용되기 위해 보관되고 있다. 이런 앱들을 사용자가 필요한 순간에 스마트폰에서 빠르게 찾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앱아이콘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서 앱아이콘 정리, 앱아이콘 인지 및 디자인의 변화에 대해서 고찰하고 5가지 정리 유형(사용빈도, 유사성, 사용성, 심미성, 외부영향)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30명의 아이폰 사용자들의 모바일 화면을 관찰 분석하여 유사성, 심미성, 외부의 영향을 3가지 주요 유형으로 확정하여 사용자 유형을 나누고,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폰에서 앱아이콘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여 사용자 유형별 아이콘 탐색 시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자주 사용하는 앱의 경우는 대부분의 피험자들이 2초 이하로 빨리 찾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의 경우에는 유사성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가 평균 6초로 가장 빨리 찾았고 심미성을 고려해서 정리한 사용자가 평균 19초로 가장 오래 걸렸다. 또한, 사용자 유형별 인터뷰 결과 유사성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 보다는 앱 이름의 기능 유추 여부가 중요하며, 심미성을 고려하여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의 칼라가 중요하고, 폴더 사용 없이 폰에서 제공하는 순서대로 앱을 배치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수많은 앱 아이콘들 사이에서 빠르게 시선을 잡아줄 수 있는 앱아이콘의 가시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고려하면서 앱 아이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mobile-first era, plenty of mobile apps have been created so that the number of apps owned in a smartphone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However, users spend most of time with only a few apps and the rest of apps are just kept in their smartphones for future usage. Thus, in order to help users find the apps quickly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users arrange apps in a mobile phone screen and find an app. In the literature, we extracted 5 user types to organize mobile apps. We further conducted user survey with 30 subjects and finalized major 3 user types categorized by relatedness(A), aesthetic(B), and external concepts(C). We found that most of subjects took less than 2 minutes when finding frequently-used-apps. However we identified difference in times taken to find a barely-used-apps across three user types; while A type users turns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finding barely-used-apps, the B type uses tend to be the least effective among three types. For the A type users, an app’s name is more important than an icon image because they tend to guess the functionality from the name of the app. The B type users use the color of app icon to find the app in the smartphone. For the C type users who tend to remain the original position of an app when first downloading it in the smartphone, the visibility of an app icon is important to catch users’ eyes while they scan a p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UX designers wh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 icon usage considering the user types.

      • KCI등재

        순자산가치를 고려한 농가의 빈곤탈출 요인 분석

        강민정(Minjeong Kang),안동환(Donghwan An) 한국농업경제학회 2017 農業經濟硏究 Vol.5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exit from poverty of farm household based on an income net worth approach by using a stratifie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called PWP-CP model. We found that exit from poverty is more difficult for the households who are young, female headed, and small scale. Our results also show that farm households with less land and transfer income including subsidies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long-term poverty. These results imply that with an expansion to subscribe Reverse Mortgage Products such as farmland pensions, income diversification policies such as the 6th-industrialization policies, and the expansion of a fundamental welfare policy should be also considered important in order to solve long-term poverty problems of the farm household.

      • KCI등재후보

        공감을 이끌어내는 SNS 디자인 프레임워크 제안

        강민정(Kang, Minjeong),윤주현(Eune, Ju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기술의 발달로 공감을 표현하는 매체들이 다양해지면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NS)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일례로 모바일 매체 전용의 카카오스토리는 최근 국내에서 범용 SNS인 페이스북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진정한 공감 경험을 가져오는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연구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공감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매체의 발전에 따른 공감 경험의 확장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그린스펀의 인간 의식발달 단계로부터 SNS의 공감적 자아 발달을 위한 5단계로 1) 서비스 파악, 2) 자아표현, 3) 인간관계, 4) 놀이, 5) 자아정체성을 도출하였고 각 단계별 관계를 밝혀 디자인 프레임 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정리된 5단계를 카카오스토리 사례에 적용하여 보았다. 사례분석 결과 카카오스토리의 사용자는 1)모바일에 최적화된 기능을 통해 빠르게 서비스를 파악할 수 있고, 2)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을 통해 자아표현 욕구를 자극받아 카카오스토리에 자아표현을 할 수 있으며, 3)공감의 정도를 단계별로 표현할 수 있는 피드백 장치를 통해 관계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고, 4)순수한 놀이의 성격을 통해 인간적 자아가 드러남으로써 공감적 반응을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5)단계의 다중적 자아 정체성을 드러내는 장치는 부재하여 심층 연기를 통해 상대방의 처지를 이해하는 공감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enables the use of various media, which changes social network service (SNS). For example, Kakaostory, a mobile-media based SNS, now have a higher number of users than that of a worldwide SNS, facebook in Korea. Motivated by this, I aim to provide a design framework for SNS that induces empathy. I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derived five stages from Greenspan’s cognitive-intellectual development theory. They are 1)service perception, 2)self expression 3)development of relationship 4)play 5)self-identity. Also, I conducted a case study of Kakaostory with the suggested design frameworks. I found that four stages of design frameworks work well in Kakaostory while service design for 5) still lacks. The service is optimized for the mobile platform so that a first user can feel positive with it. Naturally the user can have a desire to express more self-images in kakao story by being stimulated from the kakaotalk profile. The Relationship formed from the Kakaotalk list can be maintained or developed through the appropriate feedback functions to express degree of empathy. Because it has no practical purpose, people can play and show their all too human self. However Kakastory doesn’t provide any feature to show multiple identity of users so that it is hard to imagine the other’s position.

      • KCI등재

        The Effect of Alliance Activity on Patent Litigation

        Minjeong Kang(강민정),Jaewon Yoo(유재원),Wonjoon Kim(김원준),Namil Kim(김남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특허 소송은 혁신 혹은 지적 재산권의 보호 수단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 시장이 증대됨에 따라 경쟁사의 진입을 방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특허 소송의 활용 범위가 증대되었다. 특허 소송에 연루될 가능성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허의 양질이 증대할수록 높아진다고 밝혀져 왔다. 그러므로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특허 소송에 연루될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쇄 전자 산업 내 기업의 과거 제휴 활동이 특허품질과 특허 소송의 관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허 품질과 특허 소송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재 입증함과 더불어 피고인 관점의 특허 소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기업의 제휴 활동이 특허 소송을 낮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예컨대, 평균치의 특허를 지닌 기업에 대해 과거 제휴 활동의 유무가 연간 특허 소송률을 약 33% 낮추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연구가 특허 소송과 전략적 제휴에 관한 기존 문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과거 전략적 제휴가 평판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특허 소송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기존 전략적 제휴 관련 문헌에 기여한다. 또한, 특허 품질이 특허 소송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새로운 조절 변수를 밝혀냄으로써 기존 특허 소송 관련 문헌에 기여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특허 소송을 피고인 관점에서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Patent litig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tool to protect and facilitate innovation. Ironically, yet, the misguided uses of patent litigation as a strategic tool for vigilance against competitors are acting as a hindrance for innovation.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 better the quality of a patent, the higher the chance of the patent being litigated. 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innovating firms to take strategic precautions to minimize the risk of patent litig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firms’ past alliance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quality and patent litig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defendant. A unique dataset on patents, infringement lawsuits, and firm performances in the printed electronics industry confirms that firms’ previous alliance experiences mitigate the impact of patent quality on infringement litigation. For instance,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presence of past alliance experience reduces the litigation rate by 33% for firms with median-quality patents. This paper makes two major contributions. First,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alliance experience by confirming its role as a reputation in mitigating future litigations. Second,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atent litigation by identifying a unique moderator, i.e., alliance experience, on the linkage between patent quality and litigation. An innovating firm is likely to become an alleged infringer under a false accusati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firms that partake in infringement lawsuits unwillingly. Despite the importanc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patent litig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dants.

      • KCI등재

        사용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한 연구

        강민정(Minjeo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챗봇 서비스가 단순 테스크 기능을 벗어나 심리상담, 친구 역할과 같이 사람과 같은 수준의 지능을 가진 강인공지능으로 진화하기 위해 기술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챗봇을 사람으로 인지하기 위해서 일관된 성격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그에 관한 기준이 부재하고 연구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챗봇의 사용 목적과 사용자 유형에 따라 선호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사용 목적은 심심할 때, 심리상담, 테스크(task)로 구분하였고 성격은 DISC이론의 주도형(D), 사교형(I), 신중형(C), 안정형(S)으로 4가지로 구분하였다.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사용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나이, 성별, 성격과 심심할 때 챗봇에게 기대하는 콘텐츠 및 말투에 대해서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한 결과 심심할 때는 주로 사람중심의 성격인 I, S, 테스크 목적일 때는 일 중심 성격인 D,C, 심리상담일 때는 느린 성격인 C,S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심리상담을 제외하고 중성을 선호했고 남성은 목적에 상관없이 여성을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연령대는 심심할 때는 또래이거나 어린 나이, 심리상담의 경우 또래이거나 다소 연상, 테스크 목적일 때는 주로 30대가 선호되었다. 심심할 때 기대하는 바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령대가 정보를 선호하였지만 20대는 재미가 앞섰고 50-70대는 공감 및 정서적 안정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투에 있어서 20대와 6-70대는 존댓말에 대한 선호가 적지만 3-50대는 존댓말을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심심할 때는 자신보다 낮은 존재, 테스크 목적일 때는 효율성, 심리상담의 경우에는 신중하게 듣는 태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챗봇의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적합한 정체성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strong AI chatbot, the role of chatbot has been extended from conducting simple tasks to being a friend or counsellor. For this newly emerging purpose of chatbot, endowment of personality is important to make the chatbot regarded as a human being. Nevertheless I found that there are few guides about it. Thus,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per personality of chatbo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services and user types. The purposes of chatbot service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leisure-time, counselling, and task. The DISC theory is used for categorizing personality, which consists of 4 types such as dominance(D), inducement(I), submission(S), and compliance(C). An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personality of chatbot and contents for leisure-time. As results, people tend to prefer people-oriented types such as I, S for their leisure time, task-oriented types such as D,C for their task, and slow types such as C,S for counselling. Women prone to prefer neutral gender except for counselling and men tend to prefer female in all chatbot services. Preferred chatbot age is either same or younger age for leisure-time, same or older for counselling, and 30’s for tasks. Preferred contents for leisure-time are mostly recent information but many 20’s want fun contents and 50-70’s want emphatic conversation. 30-50’s want honorific but 20’s and 60-70’s don’t care. The research results useful guide on proper personality of AI chatbot for each purpose of its servi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환경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 ( Kang Minjeong ),류재명 ( Jae Myong Ryu ),김종균 ( Jong Kyu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이제, 환경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의 환경교육은 ‘정서(emotion)’의 개념이 중요하다. 환경교육이 교수학습방법으로 뉴스, 신문, 광고 등의 환경커뮤니케이션을 자주 활용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은 정서를 수단으로 하여 공감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다. 이에 환경교육의 목표인 환경책임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적절한 정서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릇된 정서로 인해 자극적이고 편향된 시각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책임행동을 이끌 수 있는 환경정서를 발견하고자 실험연구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의 5, 6학년을 대상으로 환경문제와 관련된 정서를 설문하고 문헌연구를 더하여, 환경정서인 경외, 동정, 공포, 죄책감을 대표적 정서로 선정하였다. 실험연구 대상으로 서울시 송파구 3개 초등학교의 399명에게 사전 환경책임행동을 설문하고, 개발된 정서별 텍스트를 읽도록 한 후 사후 설문을 하여, 정서가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환경관련 정서를 대표적으로 경외, 동정, 공포, 죄책감으로 분류하였을 때, 환경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다. 정서를 활용한 환경교육은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하위범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보다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 변화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환경정서와 환경책임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밝혀 환경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정서선택을 돕고자하였다. 특히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커뮤니케이션에서, 정서를 효과적인 설득기제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환경정서와 환경책임행동의 하위범주별 영향관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As the world faces today a set of serious environmental issue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an option, it is rather a required education course. Currently, a concept of ‘emotion’ is the most crucial factor in recent environmental education attributed to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news, newspaper, advertisement, etc. that are often used in training. A diverse communication uses emotion to draw sympathy.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find appropriate emotion to draw a goal of provocative and biased perspective. Therefore,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emotion that can lead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hus, the emotional reactions toward the environmental issues were investigated among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5th or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o literature study. A sense of reverence, sympathy, fear and sense of guilt were selected as a typical emotion. Then, 399 students attending in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ongpa-gu, Seoul-si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in the experimental study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in th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motion on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were shown to be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emotional education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impact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upon the lower category. Second, the positive emotion was shown to positively effect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the negative emo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emotion and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o help choosing an appropriate emotion in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