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치매지원센터 인지프로그램 참여기간과 참여횟수에

        황옥희,강혜영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2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17 No.1

        Purpose: To compare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according to the period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cognitive program at a dementia center in S c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38 dementia elderly who were joined cognitive program during 37 months since September 2007. Study instruments were K-MMSE in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nterview data (October 1st - 31th 2010) and DB from the cent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Kolmogorov-Smirnov Test, paired t-test, two-way ANOVA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Win 17.0+. Results: Overall cognitive program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 = -3.231, p = .003), but not significantly to the frequency of it relatively. In combined programs as art, music, gardening and reminiscence therap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ere not significant relatively only but in some part of period, frequencies and kinds of program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gnitive programs were effective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only in some period or frequency of program regardless the kinds of program. Further cognitive program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level of dementia condition of elderly but also the content, duration and frequency of cognitive promo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차세대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유스케이스 개발 : 업무흐름 분석과 전문가 델파이 기법 적용

        조인숙,최완희,현미숙,박연옥,이유나,이수연,황옥희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가 간호기록을 효율적으로, 오류 없이,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성이 향상된 전자간호기록(ENR) 시스템 개발과 관련한 사용자 요구사항 규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혼합연구 설계로 간호업무 내용과 업무흐름 패턴 분석, 시스템 사용성과 ENR에 대한 문헌고찰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기초로 추상적 단계의 유스케이스 도출과 타당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업무내용과 업무흐름 패턴 분석은 6개 종합병원에서 타임모션 방법으로 내외과, 중환자실에서 무작위 층화표출 한 간호활동 로그 샘플 중 무작위 추출된 21회 근무조 데이터였다. 문헌고찰은 간호계, 의료정보학 분야 학회와 협회, 국립표준원에서 개발한 원칙, 지침, 권고사항, 가이드라인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유스케이스 타당도는 8명의 실무 전문가 패널과 2명의 학계 전문가 패널이 참여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유스케이스별, 상세 항목별 중요도(5점 Liker scale)와 수렴도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업무분석과 문헌고찰로부터 최종 9개 유스케이스와 상세 내용이 도출되었으며, 4회 데파이 조사 과정을 유스케이스와 항목 내용이 정련되었다. 최종 확정된 유스케이스와 항목에 대해 중요도는 4점 이상이었으며, 수렴도는50 ~ 70%이상을 보였다. 결론: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요구사항으로 도출된 9개 유스케이스는 사용성 향상을 위해 기존 시스템 개선과 차세대 시스템 개발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내용이다 Purpose: To identify user requirements for electronic nursing record (ENR) systems so as to ensure system usability. Methods: A mixed methods approach were applied in three steps : (i) task and workflow analysis with literature review of nursing documentation, (ii) literature reviews of system usability, and (iii) Use Case idenfication and consensus-based validation. We analyzed the nursing activity logs collected from a time-motion investigation of six hospitals. The Use Cases were validated by eight clinical experts from different hospitals and two experts from academia in a sequential Delphi survey. Consensus was achieved for the significance score and agreement among the panel. Results: Eight task groups and patterns of task flow were observed, which were translated into nine Use Cases. The specification of Use Cases was derived from principle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on nursing documentation and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which was organized into three requirements of each Use Case: functionality, informa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Each Use Case achieved an agreement of 50~70%, and significance scores of 4 or 5 on a 5-point Likert scale. Conclusion: The nine Use Case identified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adequate in terms of both clinical and informatics contexts.

      • KCI등재후보

        폐암환자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예비 조사

        성지현(Sung, Ji Hyun),김민영(Kim, Min Young),황옥희(Hwang, Ok Hee),유한진(Yoo, Han Jin),이은자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telecommunication guideline that was possible to make the immediate,logical decisions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by verifying it from the specialists’ group. Methods: Telecommunication guideline was designed with selected six symptoms which were pain, dyspnea, nausea/vomiting, diarrhea,fever, and cough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understood well abou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examination, and education. Also, 85% of them fulfilled the guidelines of the adjustment and more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shown to all of them compared to the previous telecommunication. And 95%of them replied that the information from the telecommunication was more useful than any other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cancer and self management that were used previously. Conclusion: The telecommunication was considered to complement the weakness during the time the cancer patients spent at home after the treatments. Also,it was expected to be a role as an immediate and comprehensive method of decision making and a passage for information supply which was considered the specialty of individual patient related to an inquiry of the self management. 본 연구는 폐암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 중 전화 상담 문의가많은 증상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즉각적, 논리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증상관리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예비 조사연구다. 예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그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호흡곤란, 오심/구토, 설사, 발열, 기침의 5가지 증상을 추출하여 이에 대하여 예비 폐암환자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고, 이후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여, 3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간 환자에게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1)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는 폐암환자의 전화 다문의 증상은 통증(83.3%), 발열(75.0%), 호흡곤란(70.8%), 오심/구토(70.8%), 설사(62.5%), 기침(50.0%) 순이었다. 2) 다문의 증상 중 관리지침이 개발되어 있는 통증을 제외한5개 증상에 대하여 Telephone Nursing Practice and Symptom Management Guidelines6) 및 Telephone Triage6)를 기초로 예비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고, 이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각 증상별로 정의, 사정(일반적 정보, 증상정보), 지침적용(A: 즉시 응급실 방문, B: 빠른 외래 방문, C: 예정일 방문), 교육내용으로 분류하여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은 호흡곤란은 사정 11항목, 지침적용 6항목, 교육내용 11항목으로 하였으며, 오심/구토는 사정13항목, 지침적용 11항목, 교육내용 8항목으로 하였고, 설사는사정 16항목, 지침적용 12항목, 교육내용 9항목으로 하였고, 발열은 사정 12항목, 지침적용 9항목, 교육내용 7항목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침은 사정 10항목, 지침적용 9항목, 교육내용4항목으로 구성하였다. 3)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평가는 6개 항목, 즉 이해정도, 원하는 정보 획득 여부, 제공된 정보의 정확도/신뢰도, 전반적 만족정도, 재이용 의사, 기존 정보와 비교 시 전화상담의 도움 정도로 분석하였으며 평가 항목 중 가장 높은 평균 평점을 보인 항목은‘전반적 만족정도’와‘재이용 의사’로 각 평점 평균은 4.80±.40이었다. 4) 전화 상담 가이드라인 적용 대상자는 20명이었고, 증상별로 보면 오심/구토 7명, 발열 6명, 호흡곤란 4명, 기침 3명, 설사 0명이었다. 권고를 받은 지침에서‘원하는 정보획득 여부’에 따라 이행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t=4.400, p<.001), 또한‘제공된 정보의 정확도/신뢰도’에 따라 이행정도(t=-2.400,p<.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전화 상담결과‘즉시 응급실 방문’이 요구되었던 대상자는 4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권고를 받은 지침을 이행하여 응급실을 방문하였고, 이 중 3명은 입원 지시되었으며, 1명은 특수 영상검사가 필요하여 이를 시행하고 관련 약제 처방 후 귀가조치 되었다. 결론적으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은 암환자가 치료 후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 동안의 취약함을 보완해 줄 뿐 아니라 증상관리 문의와 관련하여 개별 환자의 특수성이 고려된 즉각적이고이해하기 쉬운 의사결정도구와 정보제공 통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종양전문간호사 역할에 대한 암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

        김수현(Kim, Soo Hyun),함윤희(Ham, Yun Hee),김정혜(Kim, Jeong Hye),김혜경(Kim, Hye Kyung),황옥희(Hwang, Ok Hee),김민영(Kim Min Young),이인숙(Lee, Insook),이지연(Lee, Jiyeon),김선희(Kim, Sun-Hee),성지현(Sung, Ji Hyun),태영숙(Tae, 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14 Asian Oncology Nursing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ole of Korean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KOAPNs) among cancer patients, physicians, and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76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KOPANs’ care more than three times, as well as 82 physicians and 190 nurses who have worked with KOAPNs at four hospitals in Kore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Overall satisfaction in the patient group was high (3.61) and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attentiveness’ domain; 2) Overall satisfaction in the physician group was also high (3.61), however, that in the nurse group was relatively low (3.28); ‘coordination & cooper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satisfaction in both groups, while ‘research’ domain showed the lowest score; 3) Cancer type in patients, working department in physicians or nurses, and duration working with KOAPNs in nurse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atisfaction; and 4) The ratio of KOAPNs-to-patient, time since introduction of the KOAPNs policy, and incentive system were institutional factors showing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ident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roles of KOAPNs, as well as promotion of awareness of KOAPNs’ care.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