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크아트와 들뢰즈의 생성이론에 관한 연구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김진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3

        In conte m porary art, creation isdone from the perspective of reinterpretation as well as novelty This study is about ‘productive thinking and practice’, which reveals ‘waste is reborn as art material’, a characteristic of junk art. Explored in connection with Deleuze’s theory of the creation of ‘being different’. First, I look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eatures of junk art and I consider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by Rauschenberg and Calder as the leading artists. It was used effectively. The researcher noted that junk art can go beyond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and bring the creation of life to a new and more reproductive life by recreating garbage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Based 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production process of junk art. we could confirm the meaning and value of Deleuze’s practice of generative life, and in the expression of art, beyond the limited use of art materials, the necessity and infinite possibilities of using a wide range of materials were explor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xperience the opportunity of accidentally to change of matter because it was able to play an effective role as abandoned wastes or natural discharges that were originally fully filled and played a role. It is hoped that these thoughts and practices can help us to grow as human beings of various possible subjects with potential and can be utilized educationally enough to nature the generative human beings required by this prototype. 현대미술에서 창작은 새로움은 물론 재해석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크아트의 중심어 특징인, ‘폐기물이 미술재료로 재탄생’하며 드러나는 ‘생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해, 들뢰즈의 ‘다른정크아트 것 되기’의 생성이론과 연결하여 탐색하였다. 먼저, 정크아트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았고, 선행 작가로는 라우센버그와 칼더의 작품경향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두 정크아트 작가는 주로 폐기물의 산업쓰레기들을 미술재료로 재탄생시켜 작품화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정크아트가 환경의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쓰레기들을 다른 물성으로 새롭게 재탄생시킴으로써 더욱더 생성적인 삶에 다가갈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의 정크아트 작품제작과정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제작 과정을 분석 및 해석하는과정에서 들뢰즈가 말한 생성적 삶의 실천의 의미와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고, 미술 표현에 있어서 한정된 미술재료 사용을 벗어난 폭넓은 재료 활용의 필요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아울러, 원래 정해진 역할을 다하고 버려진 폐품이나 자연 배출물들이 또 다른 가능체로 태어나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에 물질에 대한 사고전환의 기회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고와 실천이 우리를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진 다양한 가능체의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이 시대가 요구하는생성적 인간을 육성하는 데 교육적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단심가>와 <하여가>의 형성 시기 - 역사화를 통한 시조 대중화의 한 부면 -

        김진희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49 No.-

        이 글에서는 <단심가>와 <하여가> 관련 문헌들의 상한 연대를 검토하고, 두 작품이 당대의 역사적 배경과 가악 문화, 그리고 시가 작품들의 영향 속에서 형성된 과정을 살펴본다. <단심가>와 <하여가> 및 그 배경설화를 실은 가장 오래된 문헌은 17세기 전반 심광세가 지은 해동악부 이며, 믿을 만한 <단심가>의 수용 기록 또한 16세기 후반 이후가 되어서야 나타난다. 또 <단심가>의 국문 형태는 <중대엽>의 가사로 문헌에 처음 나타나며, <중대엽> 악곡이 성립된 시점 또한 16세기 중반 무렵이다. 작자 기록 없이 最古의 <중대엽> 가사로 전하는 <단심가>는 <중대엽> 악곡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형성된 작품으로 짐작되며, 선초 악장인 <감군은> 및 고려가요 <정과정> 등의 영향 속에서 만들어진것으로 파악된다. <하여가> 역시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16세기 중반 작품인 <도산십이곡> 의 직접적인 영향을 보여주며, 해동악부 소재 <하여가> 이본의 ‘성황당’ 관련 어구는 동시기 있었던 개성 신당 방화 사건과 연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단심가>와 <하여가>의 형성 시점은 그것의 수용기록이나 영향을 받은 작품들, 그리고 특정 표현에 관련한 역사적 맥락 등을 종합해 볼 때, 대체로 16세기 중후반으로집중된다. 그런데 이때는 정몽주가 문묘에 종사된 이후 그를 기리는 세 군데의 사액서원이건립되어 정몽주의 숭배과정이 완성된 시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적 일치상은 <단심가>와 <하여가> 이야기가 선죽교 전설과 마찬가지로, 정점에 오른 정몽주의 숭배화 작업을 대중적으로 더욱 확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산물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형상의 <次農謳> 연작에 대하여

        김진희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7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onggu series in Jiryoungrok volume 6 by Lee Hyoungsang. The Chanonggu series borrowed Kang Heemaeng's Nonggu, which was one of the most popular poems in Lee Hyoungsang's time. However, the Chanonggu series did not only imitate an existing famous work but also contained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classical work. In this series, Lee Hyoungsang reorganized the chapters of the original text and created a different structure from it. He also modified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intensifying didactic parts and diversifying literary features. Such modifications enabled the Chanonggu series to reflect the author's social circumstances, when the edification of people was more urgent in the deteriorating situation of rural areas. With thes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the Chanonggu series could also make an influence on Nonggawollyoungga, an important poetic work of the late Joseon era. In conclusion, the Chanonggu series was not a mere imitation of a classical poem but a meaningful work that contained timeliness as well as literary value, achieving a certain status in Korean literary history. 본고에서는 李衡祥의 『芝嶺錄』 제6책에 나란히 실려 있는 차운시가인 <次農謳>와 <後農謳>를 살펴 병와 악부의 단적 면모를 고찰하였다. 이 두 작품은 병와 당대에 가장 성창되던 작품들 중 하나였던 姜希孟의 <農謳>에 차운한 것으로서, 고전시가의 수용 및 변용과 관련한 병와의 실천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 할 수 있다. 이형상의 <차농구> 연작은 첫째, <농구>라는 조선시가의 고전을 수용한 결과물이되, 고전의 단순 모방에 그치지 않고 형식과 구조의 개성적 변용을 보여준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여음이나 민요적 리듬 등 국문시가적 특성을 포착하였으며, 구조적 측면에서는 원시가의 순서를 나름의 원리에 의해 재편하기도 하고, 원시가와 상이한 시간적 구조를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둘째, <차농구> 연작은 내용면에 있어서도 원시가와 변별되는 면모를 보여준다. 그것은 교훈성의 강화와 장르성의 다양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정리된다. 이 중 교훈성의 강화는 17세기 농촌경제의 피폐화라는 사회적 요인과, 향촌 우거라는 작가의 전기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보이는 바, 나름의 시의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장르성의 다양화는 문학성과 관련된다. 특히 <후농구>에서는 사실의 교술적 서술 및 정서의 서정적 서술이 복합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다양한 장르성은 교훈적 주제를 보다 다채롭게 형상화하는 데 이바지함으로써 작품의 문학성을 강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차농구> 연작은 형식과 내용의 양면에서 고전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농가월령가>와 같은 후대 국문시가와도 연계된다는 점에서 더욱 문학사적 가치를 지닌다. 이렇듯 이형상의 <차농구> 연작은 기존 한시의 단순한 아류작이 아니라, 시의성과 문학성을 지닌 당대적인 작품이자 고전시가사에서 또한 일정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이라 평가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Single-dose Oral Toxicity of Super Key in Sprague-Dawley Rats

        김진희,이종철,김성철 대한약침학회 2015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18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ingle-dose oral toxicity of the super key (processed sulfur).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Medvill, an institution authorized to perform non-clinical studies, under the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regul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al toxicity of super key. We administered it orally to Sprague-Dawley (SD) rats. The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male and five female animals per group: group 1 being the control group and groups 2, 3, and 4 being the experimental groups. Doses of super key 500 mg/kg, 1,000 mg/kg and 2,000 mg/kg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a dose of normal saline solution, 10 mL/kg,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We examined the survival rates, weights, clinical signs, gross findings and necropsy find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Animal Ethics Committee. (Approval number: A01-14018). Results: No deaths or abnormalities occurred in any of the four groups. Although slight decreases in the weights of some female rats were noted, no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s or differences in the gross finding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observed.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organs, we used microscopy to examine representative histological sections of each specified orga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orga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500 ─ 2,000 mg/kg of super key did not cause any changes in the weights or in the results of necropsy examinations. Neither did it result in any mortaliti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super key is relatively safe.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are need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

      • KCI등재

        신중년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셀프 연구

        김진희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6

        Purpose This paper is a self-research that explores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aged. I described the phenomenon, participation process, relationship, and contex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s a researcher and participant for six months, focusing on ‘I’. The study period was about 6 months 2021. Methods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journal, activity plan, activity report, photo, document, and conversation data and data analysis consisted of a story through content and category analysis. Result First, the story of the applic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in the orientation according to process of my experience of taking steps against transition learning in middle age. Second, it is the story of the person concerned about the transitional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y life chang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scape the shock caused by the big difference between planning and operation, I interpreted the contents of the self-discovery of open up and connect with others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elf-meditation and speaking in silence. Finally, life transi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valuable when it is an education that continues to meet. Conclusion A new middle age is possible when I want to turn my life into an automatism.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중년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탐구한 셀프연구이다. 이를 위해 나는 연구자이자 참여자로서 6개월간 한 개인이 경험한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의 현상, 참여과정, 관계 및 맥락을 ‘나’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기간은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간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작성한 일지, 활동 계획서, 활동보고서, 사진, 문서, 대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분석과 범주분석을 하여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신중년 전환학습에 반 발 내딛은 나의 경험을 시간적 과정에 따라 지원 시기, 예비학교 참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둘째, 나의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환적 경험에 대한 당사자 이야기이다. 계획과 실행의 큰 차이로 인한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기 명상, 침묵하며 말하기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신중년의 자기 발견의 내용을 마음열기, 연결하기로 해석하였다. 결론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은 만남을 이어가는 교육일 때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 향유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려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신중년은 자신의 삶을 자동사로 전환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

      • KCI등재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와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의 송도적(頌禱的) 서정성에 대하여 (Ⅰ) - 시간성과 관련하여

        김진희 국문학회 2009 국문학연구 Vol.0 No.20

        Hyangga(鄕歌), a literary genre of Shilla(新羅) dynasty, is generally perceived as religious as well as lyrical. However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the hyangga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Most of the studies focused on one side, that is religiosity or lyricism. This thesis aimed at studying these two features at the same time and shedding a light on the genre characteristic of the hyangga. <Changiparangga(讚耆婆郞歌)> and <Mojukgirangga(慕竹旨郞歌)> were selected as the typical examples that embody both religiosity and lyricism. They contain religious characteristics as a kind of hymn, but at the same time they possess lyrical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hymn. This thesis named this genre feature as hymnal lyricism and studied it with relation to time. Time in <Changiparangga> and <Mojukgirangga> i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hymn. In other hymnal genres, poetic situations are constructed following linear time, whereas in <Changiparangga> and <Mojukgirangga>, linear time appears as problematic and is metamorphosed and reconstructed into psychological time through recollection, expectation, and symboliz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ime are related to genre features. In harmony with linear time, other hymnal genres involve narrative or didactic genre features. In contrast, <Changiparangga> and <Mojukgirangga>, which metamorphose linear time into psychological time, embody lyrical genre features. Hyangga(鄕歌), a literary genre of Shilla(新羅) dynasty, is generally perceived as religious as well as lyrical. However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the hyangga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Most of the studies focused on one side, that is religiosity or lyricism. This thesis aimed at studying these two features at the same time and shedding a light on the genre characteristic of the hyangga. <Changiparangga(讚耆婆郞歌)> and <Mojukgirangga(慕竹旨郞歌)> were selected as the typical examples that embody both religiosity and lyricism. They contain religious characteristics as a kind of hymn, but at the same time they possess lyrical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hymn. This thesis named this genre feature as hymnal lyricism and studied it with relation to time. Time in <Changiparangga> and <Mojukgirangga> i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hymn. In other hymnal genres, poetic situations are constructed following linear time, whereas in <Changiparangga> and <Mojukgirangga>, linear time appears as problematic and is metamorphosed and reconstructed into psychological time through recollection, expectation, and symboliz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ime are related to genre features. In harmony with linear time, other hymnal genres involve narrative or didactic genre features. In contrast, <Changiparangga> and <Mojukgirangga>, which metamorphose linear time into psychological time, embody lyrical genre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