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에서 Bird ‘s-Eye View 서비스

        김주환,남두희,백성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3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2

        Bird-Eye View 서비스는 특정 도로구간에서 안개, 폭우, 폭설 등으로 운전자의 시계가 매우 불량할 때 주변 UVS 차량 위치정보 및 주행속도 기반의 안전거리 경보를 제공하여 안전주행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규정할 수 있다. 시계 확보 불가능 시 V2V 통신을 통해 주변 UVS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대거리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추돌 및 충돌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한편, 차량 간 상대속도를 기반으로 안전거리를 산정하고 안전거리가 미 확보될 때에 는 경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유도한다. 이를 기존의 장소중심 교통정보수집방식에서 이제는 각 개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즉, 센서네트워크 기반에서 능동적,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교통서비스 인프라를 구축 정보수집, 가공, 제공의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현하였다. A bird's-eye view is an elevated view of an object from above, with a perspective as though the observer were a bird, often used in the making of blueprints, floor plans and maps. It can be used under severe weather conditions when visibility is poor. Under low visibility environments, drivers can communicate each other using V2V communication to get each vehicle’s status to prevent collision and other accidents. 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s(u-TSN) and its application are emerging rapidly as an exciting new paradigm to provide reliable and comfortable transportatione services. The ever-growing u-TSN and its application will provide an intelligent and ubiquitous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for traffic safety area.

      • KCI등재

        선박작업 안전을 위한 수신호 통일지침 마련에 관한 연구(1) - 선박의 수신호 체계 표준화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김주환,조민철,김용남,최충정,김화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수신호 통일지침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 선박작업시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수신호 체계의 활용가능성과 표준화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실증연구에 앞서 선박안전관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신호 활용가능성이 있는 선박작업활동을 분류하고, 이러한 작업활동 하에 작업자의 수신호 활용의사와 제도적 표준화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t-검정, 상관관계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근무형태(선원/육상선박 안전관리감독)와 근무환경(갑판부/기관부)에 관계없이 수신호 소통이 가능한 작업활동에서는 표준화된 수신호 체계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적극 수용할 의사가 있었다. 또한, 주어진 선박작업활동 종류에 따라 응답자의 수신호 활용빈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표준화 선호도와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 응답자의 수신호 활용빈도가 높은 크레인 운용, 윈드라스 윈치 운용, 삭류 이동/전달, 화물창 운용 등 항만내 작업활동들을 우선순위로 수신호 통일지침을 설계한다면 선박작업자간 의사소통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As preliminary 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a harmonized ship hand signal standard, this paper explores the availability of hand signals as a means of shipboard work communication and considers the validity of standardization. Prior to the feasibility study, shipboard work activities that use hand signals were classified based only on ship safety managers’ arbitrary decisions.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measure shipboard work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hand signals and their preferences regarding the institutional standardization of a hand signal framework if they engage in activities classified as relevant.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espondents are willing to accept harmonized hand signals regardless of both their work type (crew/safety supervisors) and work department (deck/engine room) under working situations where hand signals are an available means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shipboard workers' frequency of hand signal usages between each type of work activity, indicating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usage and preference for standardization.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shipboard work communication would be effectively improved if a follow-up study is carried out to establish prioritized harmonized hand signal standards for port-related work activities, such as crane operation, windlass/winch operation, line movement/delivery and cargo hold oper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숙명적 비극의 시대, 자유를 향한 싸움의 실용적 기술로서 고전 활용 -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사례로

        김주환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2

        이 글은 사회 물화로 인해 청년들이 느끼는 삶의 고통과 어려움이 커져가고 있 는 오늘날 과연 고전 교육이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모습을 취해 야 할지에 대해 고민해본다. 오늘날 청년들은 자신들이 결정하지 않은 외적인 힘에 의해 일방적으로 자신들의 삶이 결정되고 있다고 느끼는 무기력감 속에서 자유상 실과 의미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가르치는 고 전 교육은 의도하지 않게 옳음을 실현할 힘과 조건을 가지지 않은 청년들에게 옳 음을 실천하라는 강제된 요구의 폭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렇게 될 경우 고전은 소음이 되고 자신들의 삶과 아무런 연관도 없는 고답적인 가르침이 될 수 있다. 따 라서 이 글은 고전 교육은 청년들이 자신들이 왜 고통스러운지를 힘의 배치라는 관점에서 냉정히 살피고 그 힘의 배치를 바꿀 수 있는 실용적인 실천의 기술이 되어 그들에게 유용성과 효능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한 예로 이 글은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 대한 고전 교육이 이루어 질 때 어떤 지점들에 주목해보면 좋을지 하나의 사례를 제시한다. This paper explores how education of classics should be done today, when the young experience difficulties and pain in their lives more than ever. Today the young feel that they are determined unilaterally by the outer forces that they do not determined. They experience the sense of the loss of freedom and meaning in a lethargy. In this situation, they may experience the education of classics as a forced claim to live righteously that they cannot practice because they don’t have any practical powers and resources to conduct the righteousness. The education of classics can be unintentionally simply a noise for them. Thus, I suggest that the education of classics should be a useful techniques to solve problems making them painful. Particularly, it needs to be practical for them to analyze the disposition of for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ain, and to rearrange the disposition of forces. This paper shows, as an example, how Max Weber’s famous work, Protestant Ethics and the Spriti of Capitalism, can be taught for the young to find practical techniques to solve problems making them painfu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입법절차상 하자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김주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江原法學 Vol.39 No.-

        입법절차, 즉 법률제정절차에 헌법이나 법률에 명백히 위배되는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가 가능하다. 헌법재판소는 권한쟁의심판, 위헌법률심판, 규범통제형 헌법소원심판,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 등을 통해서 입법 절차상 하자를 통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입법절차상 하자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강도이다. 헌법재판소는 권한쟁의심판에서 국회의장의 법률안 가결선포행위 및 그에 이르는 제반 행위가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어 국회의원들의 법률안 심의ㆍ표결권을 침해하였음을 확인하는 경우에도 국회의장의 법률안 가결선포행위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무효확인 청구는 기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국회의장의 법률안 가결선포행위에 입법절차에 관한 헌법의 규정을 명백히 위반한 흠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무효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생각건대, 입법절차에 관한 헌법규정은 ‘강행적 (본질적) 절차규정’과 ‘단순한 절차규정’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전자에 ‘명백히’ 위배되는 하자는 법률의 무효사유가 된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입법절차상 하자가 전자에 해당하지 않는 한, 헌법재판소는 국회의장의 법률안 가결선포행위가 국회의원들의 법률안 심의ㆍ표결권을 침해하였는지 여부만을 확인하고, 권한 침해로 인해 야기된 위헌ㆍ위법상태의 시정은 국회의장의 정치적 형성권과 국회의 자율적 의사결정에 맡겨 두어야 한다. 이에 반해, 본질적이고 명백한 입법절차상 하자가 있는 법률에 대해서는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해야 한다. 더 나아가, 권한규범이나 입법절차규정과 같은 객관적 헌법규범에 위배되기 때문에 무효인 법률은, 개별적 기본권이든 일반적 기본권이든 상관없이, 기본권 제한의 근거가 될 수 없다. 따라서 헌법재판소는 심판대상 법률에 무효 사유, 즉 본질적이고 명백한 입법절차상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헌법소원을 인용하는 결정을 하면서 그 법률이 위헌임을 선고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 교과서에서의 국가수호가치 훼손 사례분석: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6·25 전쟁을 중심으로

        김주환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2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if main ev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are described i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for highschool students to respect the contribution and sacrifice for the value of protecting homeland, one of the 3 values in the ideology of reward for patriots and veterans, to find the problems, and to find a way to solve them. The events i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to analyze in this article are the establishment of ROK and the 6·25 War which almost destructed the ROK, which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value of protecting homeland in the ideology of reward for patriots and veterans. Material for research is the 8 kinds of textbook of Korean history which passed the review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in 2013 and is being used in high schools from Spring Semester, 2014. The foundation of the legitimacy of ROK Government and the reason to protect ROK in the 6·25 War converge on the issue of democracy and the theoretical reference to analyze 2 cases is the people's sovereignty and 4 principles of democratic election which is defined as the minimum democracy by Sartori, Beetham and Boyle. The 8 textbooks shows that the reason 5·10 General Election led to a separate one only for South Korea is because USSR refused the entrance of UN Temporary Commission to North Korea but they missed the main reason of separate election was because North Korean leadership and USSR worried about the democratic election which wouldn't guarantee the victory of communist party. The 8 textbooks didn't also compare the 5·10 General Election with the Election for North Korean Supreme Council and reveal the undemocratic nature of North Korean election, and failed to show the legitimacy of ROK Government. The analysis of 8 textbooks shows that they failed to explain the character of the 6·25 War, what the 6·25 War was to Korean Veterans and Korea peop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ection of 6·25 War. The problems with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should be solved soon to reflect the value of protecting homeland and respect the contribution and sacrifice of Korean War veterans. 본 연구는 2013년 검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의 국가수호가치 훼손 사례를 분석하고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가수호 가치의 핵심영역인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국가존립을 위협했던 ‘6·25전쟁’을 사례로 선정했다. 대한민국정부의 정통성 근거와 6·25 전쟁에서 대한민국을 수호해야 할 이유는 민주주의 문제로 수렴하는 바, 두 가지 사례분석을 위한 준거틀로 사르토리(Sartori)와 비담과 보일(Beetham and Boyle)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주권재민의 원리와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민주선거의 4대원칙에 두었다. 분석결과, ①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대해 8종의 교과서들은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선거가 5·10 총선거라는 단독선거로 귀결된 이유에 대해 소련의 유엔임시위원단 입북거부라는 피상적 사실만 제시했다. 반면에 선거를 민주선거로 할 것인가 아니면 통제된 조작선거로 할 것인가라는 근본적 쟁점에 대한 논쟁을 누락시켰다. ② 민주주의에 대한 최소한의 정의를 충족시킨 5·10총선거와 민주주의에 대한 총체적 부정이었던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대비시키지 않음으로써 북한 선거의 비민주성과 대한민국정부의 정통성을 확연히 부각시키지 못했다. ③ 6·25전쟁에 대한 서술에서는 교학사를 포함한 7종이 6·25전쟁이 대한민국 수호 전쟁이자 민주주의 수호 전쟁이라는 성격을 생략했으며, 교학사를 제외한 7종이 전쟁 초기 북한이 남한점령지역에서 실시한 인민위원회 선거가 비민주적인 조작선거임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고등학교 교과서들은 물론 교학사 교과서도 대한민국정부의 탄생 및 6·25전쟁과 관련된 핵심적 내용을 시급히 수정·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보훈이념의 국가수호 가치가 제대로 반영되어야 참전 국가유공자들의 공헌과 희생이 선양되고 기억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