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독립운동가 백민 황상규의 생애와 초상

        김영범 부경역사연구소 2017 지역과 역사 Vol.- No.40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biographical study of all the life course and unique portrait of Hwang Sang-Gyu, a nationalist independence fighter born in 1890 from a poor peasant in Milyang of southern Korea. The summary is as follows. Hwang embarked on his own social career by participating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for national salvation, as a teacher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t the time of ending 1900s before the imminent national ruin. During the 1910s by the age of 30, he stepped on the militant road of resisting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acting in some domestic secret societies, which resulted in fleeing to Zirin of Manchuria followed by participation in establishing the abroad organizations for armed struggle. Succeedingly in 1919, he took the lead of founding the Eui’yeoldan as a bombing actional organization, and went ahead to take part voluntarily in executing the first-time enterprise of attacking the Japanese organs in Seoul as the advisor of that organization. However, the enterprise ended in failure and brought to him six years of imprisonment. Immediately after release in 1926, he returned to Milyang, and began to endeavor on hometown social movements. His new activities begun with young men’s association movement was extended to embracing the nationalist cultural movement, and succeed to devotion to the Shin’ganhoe movement on both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After all, the activities together composed his undergoing on uncompromising road of national movement until his death of a chronic disease in 1931. In conclusion, he made up his own portrait of a brave-and-virtuous General gradually throughout the two types of road-taking. In addition, we can say that not only was he a dauntless fighter loved by and respected from many a man of those days, but also he was enough to become a model of the trustworthy leader who really shows a consistency of act with words. 이 글은 비판적 자료독해와 再構的 종합에 기대어 독립운동가 황상규의 일생을 추적하고 그만의 특징적 초상을 그려내며 그 의미도 추출해보는 전기적 논구이다. 1890년 경남 밀양의 빈농가에서 태어난 황상규는 독학과 초ㆍ중등 과정의 속성수학 후 사립학교 교사가 되어 국망 전의 마지막 구국계몽운동 대열에 몸을 담았다. 1913년 이후로 향리에서 일합사를 결성하고 풍기광복단과 광복회에 연이어 가입하여 독립운동의 장래를 도모하였다. 1918년 만주 길림으로 망명하여 이듬해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고, 조선독립군정사와 대한군정부ㆍ대한군정서 성립에 일익을 담당하여 무장독립운동의 길을 닦아가면서 회계ㆍ재무 책임자로 활동하였다.그와 더불어 작탄투쟁의 청년결사대 조직도 기획하여 의열단 창립의 주역이 되었고, 창단 후의 첫 폭탄거사추진 대오에 동참하여 입경 잠복해 있던 중 밀고로 피체되었다. 출옥 후 1927년부터 재향 사회운동에 뛰어들어, 청년회운동ㆍ주민권익보호운동ㆍ교육현안해결운동ㆍ협동조합운동 등에 진력하였으며, 민족언론운동에도 힘을 보탰다. 또한 신간회 지회 창립을 주도하고 회장이 되어 밀양의 민족운동 및 사회운동의 내실을 다졌다. 1929년의 복대표대회에서 신간회 중앙집행위원회 서기장으로 피선되고 본부 서무부장을 겸직하며 5개월간 헌신하였다. 광주학생운동 진상조사 활동 후 악화된 병세로 귀향하여 병석에 누웠다가 1931년 세상을 떠나니 수많은 사람들이 애도하였다. 10대 말에서 40세까지 직면하는 매 상황에서의 자기 처지와 객관적 형세에 적합한 선택으로 줄기차게 이어간 독립운동과 사회운동 행로 속에서 선비형 용장의 모습을 견지해보인 그는 후배 운동자들에게 크나큰 영감과 용기를 주는 정신적 지주였고, 개척자적 창발성과 굳센 의지력과 성심어린 헌신의 삼위일체로 분투했던 그의 일생은 불굴의 독립운동가 이상으로 진정한 리더의 상도 체현해보인 것이었다.

      • KCI등재

        조선의용대의 항일전투(참가) 실적과 화북진출 문제 再論

        김영범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7

        The Korean Volunteer Corps(hereafter ‘KVC’) founded in 1938 as the first Korean military organization within mainland China is known to have been largely a political propaganda battalion in line with the assigned principal mission, rather than to be a counterforce combatant. However, this article proves on the ground of many report materials that the members of KVC performed the role of combat agents voluntarily by gaining maximum opportunities in four warfare districts of Middle and South China during the two years of helping Chinese troops from early 1939 to the former half of 1940. The paper then reconsiders the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reasons of KVC’s advance to Huabei and about the circumstances of her entry into the anti-Japanese strategic base of the Eighth Route Army at Taihang Mountains, to reveal new facts entangled with those problems. Some of related ambiguous parts are also reexamined in various angles to be comprehensively clarified through new materials and inferences.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adjusted change in the midst of KVC’s planned final direction which had been approved by the Chinese Military Commission and the path to it was due neither to political intention of nor to order from General Commander, Kim Won-bong. Rather, that change was caused by new demands and logics rais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CCP) line of radial leftist members in Luoyang, a mid-term stop. Counter-enemy activities of ‘The Huabei Detachment’ of KVC in Taihang Mountains were concentrated not on the direct combats but on the armed propaganda operations. And the originally aspired, promised and planned advance to the Northeast became to be continuously suspended because of CCP’s political considerations added to worsening of northeastern situation. At last, the meaning of KVC’s advance to Huabei was reduced and altered to close ties and joints with the CCP’s Eighth Route Army in parallel with the detachment’s development to ‘Army,’ while the main body in Chongqing had to become extinct. It may be said that those all happenings and currents belonged to really a historical irony. 중국관내 최초의 한인 군사조직으로 1938년에 창설된 조선의용대는 대적전투가 아닌 정치선전 공작을 주 임무로 부여받고 대적선전대 역할에 치중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차 자료들을 다시 검토해보면, 조선의용대는 1939년 초부터 1940년 상반기까지 화중·화남의 4개 전구에서 중국군을 도와 선전공작을 수행하는 중에도 전투참가 기회를 최대한 얻어내며 전투요원 역할을 자진 수행하고 있었다. 1939년 가을부터 조선의용대 내부에서는 자체무장에 의한 전투부대화와 적후공작이 향후의 발전방향으로 제시되기 시작했고, 이듬해 봄에 일부 병력을 뤄양으로 보내 화북에서의 대적공작 가능성을 탐색토록 하였다. 이와 같이 추진되어간 화북행 기획은 1940년 11월 확대간부회의에서의 공식 결의로 추인되고, 1941년 상반기에 3개 지대 전체의 뤄양 집결과 황하 도하로써 실행되었다. 화북으로 건너간 의용대 병력은 중국군사위에 보고되고 승인받았던 예정진로와 다르게 태항산의 팔로군 항일기지로 들어갔다. 교차검증의 방법으로 여러 자료를 대조하며 검토해보면, 그것은 총대장 김원봉의 정치적 의사나 지령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북상 의용대의 중간 기착지 뤄양에서 중공계-급진좌파 대원들이 새로 제기하는 요구와 논리에 따라 행로조정이 기해진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그로부터 일부 통설의 오류와 좌·우 편향을 교정할 필요가 같이 제기된다. 태항산으로 들어간 ‘화북지대’의 대적활동은 직접전투가 아닌 무장선전 공작으로 집중되었고, 본래의 포부이고 약속이며 예정진로이던 동북진출은 계속 유예되었다. 중국공산당의 정치적 고려와 동북지역의 항일정세 악화가 같이 작용한 때문이었다. 그 결과, 조선의용대의 화북진출은 팔로군과의 밀착 및 합작으로 그 의미가 축소·변질됨과 아울러 충칭 잔류 본대의 소멸이라는 재앙적 결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진정 하나의 역사적 아이러니였다.

      • KCI등재
      • KCI등재

        Mesh Networks을 위한 다중채널 다중인터페이스 MAC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김영범,Kim, Young-Beom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논문에서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복수개 채널을 이용한 효율적인 매체접속제어 프로토콜로써 DM-MMAC (Doze Mode Multi-Chanel MAC)을 제안한다. 기존의 IEEE 802.11 프로토콜의 경우 물리계층에서 복수개의 가용 채널이 주어지나 MAC 계층에서는 오직 고정된 단일채널을 통한 접속만이 가능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여러 가지 멀티채널 MAC 프로토콜이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채널수가 적고 호스트의 수가 많아지면 전송 처리율(throughput)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MMAC 프로토콜의 채널 할당 및 채널점유 과정을 단순화하고 호스트 간 충돌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절전효과와 함께 전송률 향상을 도모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AC protocol, namely DM-MMAC (Doze Mode Multi-Channel MAC) for ad hoe wireless networks which can utilize multiple channels effectively, thereby enhancing the network throughput considerably. Basically, the IEEE 802.11 specification allows for the use of multiple channels available at the physical layer, but its MAC protocol is designed only for a single channel with the fatal drawback, so called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in multi-channel environments. In this vein, several multi-channel MAC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but most of them demonstrate the performance problem that its throughput drastically decreases as the number of mobile hosts residing in a given network increases with small number of available channels. In this work, we tr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ulti-channel MAC protocols in terms of network throughput as well as power saving effects by simplifying the channel assignment and channel capturing procedures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s between mobile h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