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이오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용 엔진 개발

        김영민,이장희,주성호,Kim, Yeong-Min,Lee, Jang-Hui,Ju, Seong-Ho 한국기계연구원 2000 硏究論文集 Vol.30 No.-

        We must stabilize quickly increasing waste matters in urban life and livestock industry. Biogas including landfill gas and digester gas is byproduct of anaerobic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matter and contains 40%-70% methane, which can be used for energy purposes. Utilization of biogas reduce the emission of methane into the atmosphere to minimize greenhouse effect and the carbon dioxide (CO2) emitted when biogas is converted to energy has been taken out of the atmosphere by growing plant. Recently, bioenergy is world-widely noticeable as all contributing to the greenhouse effect. This paper presents development process of a biogas engine for cogeneration system and results of application to digester gas and landfill gas in site. The biogas engine is a dual fuel engine operated on biogas with a diesel pilot. At present, the engine can substitute biogas for diesel fuel up to 85%. bu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김현정,이창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설문지는 권역별 기술교사들(2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1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기술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 술교육이 공학과 기술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타 교과에 비해 비형식 교육 프로그램이 적고,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기술교육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기술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비형식 기술교육 기관의 기술교사 연수 주제로는 ‘생활 속의 기술’과 ‘최신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 산업체 기술자, 연구원, 교수들의 인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6시간의 체험이나 캠 프 유형의 프로그램과 ‘생활 속 기술’, ‘최신 공학 기술’ 관련 주제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 램은 학생들에게 기술교과나 이공계 진로에 대해 흥미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gy teachers and 189 of them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chnolog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technology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education motivat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resen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ve less informal education program than other subjects do. Thus, they answer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 subject is very necessary. Third, technology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can solve some restrictions of current technology educations and variou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they perceived the high levels of needs for various teacher-training-program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Fourth,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at teacher, engineer, researcher and professor should be utilized for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lso, when conducting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some kind of informal programs including camps and subject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At the end, they perceiv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s.

      • KCI등재

        다중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갖는 MANET의 부하 균등화 기법

        김영민,안상현,임유진,유현,이재훈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6

        A mobile ad hoc network (MANET) is an infrastructureless wireless network that supports multi-hop communication. For the MANET nodes wishing to communicate with nodes in the wired Internet, the global Internet connectivity is required and this functionality can be achieved with the help of the Internet gateway. For the support of reliability and flexibility, multiple Internet gateways can be provisioned for a MANET. In this case, load-balancing become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since the network performance such as the network throughput can be improved if the loads of the gateways are well-balanced. In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load-balancing mechanisms and propose a new metric for load-balancing.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chanism using the hop distance and the number of routing table entries as a load-balancing metric enhances the overall network throughput.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obile Ad Hoc Network; MANET)는 유선 인프라 없이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로 멀티 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넷 노드와 통신하고자 하는 MANET 노드에게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요구되며 인터넷 연결은 인터넷과 MANET을 중계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지원된다. 신뢰성과 통신의 유연성을 지원하기 위해 다중 인터넷 게이트웨이들을 MANET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들 간의 부하를 잘 분배한다면 네트워크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MANET 내에 여러 개의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존재할 경우 이들 간의 부하 균등화는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 균등화 기법을 제어 메시지의 플러딩 방법과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주체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며, 부하 균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메트릭(metric)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홉 수와 라우팅 엔트리의 수를 메트릭으로 이용하는 새로운 기법의 성능이 기존 기법에 비하여 향상되었음을 보인다.

      • KCI등재
      • 상온 재활용 개질 유화아스팔트의 물성 성능 평가

        김영민,김제원,유주열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비가열식 상온 도로포장 재활용 공법인 상온 현장 재활용 공법(CIR), 상온 플랜트 재활용 공법(CCPR), 상온 전체 포장층 재활용 공법(FDR)들은 경제적으로 시공 비용이 저렴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환경오염 영향을 적게 미치는 장점이 있다. 상온 재활용 공법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바인더는 크게 유화아스팔트(emulsified asphalt)와 폼드 아스팔트(foamed asphalt)가 적용되며, 이들은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재생첨가제 또는 안정제로서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유화아스팔트는 물속에 아스팔트 바인더 입자(1-3μm)가 계면활성제(surfactant)에 의해 상분리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분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액체 상태의 아스팔트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별도의 가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온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대한 공학적 구조 해석을 위한 정량적 데이터가 부족하여 공학적 공용성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해 널리 활성화 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상온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개질 유화아스팔트의 개발을 목적으로 개질재(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에 의한 유화아스팔트 바인더의 정량적 물성 성능 평가를 위하여 기초적 실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아스팔트 바인더(AP-3)를 개질 첨가제인 천연고무, 합성고무 A와 B를 각각 3% 첨가하여 개질시키고 유화 과정을 시켜 개질 유화아스팔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개질 유화아스팔트의 증발잔류물(평균 61%)에 대해 침입도와 연화점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천연고무와 합성고무 B로 개질 유화아스팔트의 연화점이 66℃과 67℃로 합성고무 A(51℃)보다 높게 나타났고, 침입도는 천연고무로 개질된 유화아스팔트가 49로 합성고무(A) 66와 합성고무(B) 74로 측정되었다. 천연고무로 개질된 유화아스팔트의 물성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혼합성 및 저장안전성도 양호하였다. 천연고무, 합성고무 A와 B를 적용한 개질 유화아스팔트의 물성 성능평가를 통해 기초적 자료를 확보하였고, 향후 상온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공용성능 평가를 통해 공학적 공용성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