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뇌손상환자의 정신장애 평가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 1. 장애판정의 현상 1. Present Status of Disability Evaluation

        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7 신경정신의학 Vol.26 No.2

        노동력 장애를 판정할 목적으로 법원으로 부터 의뢰된 두뇌 손상 환자 94례를 인구 통계학적 특성, 사고 및 두뇌 손상의 특성, 평가과정 및 판정결과, 정신병리. 판정결과 및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두뇌손상 환자는 남자에서 많고 사회적 활동기 연령층에 많으며 낮은 사회경제 계층에서 많았다. 2) 법원에서 의뢰되는 두뇌손상 환자는 교통사고 환자가 많았으며 두뇌손상의 증거가 명확하고 고도의 손상을 입은 환자가 많았다. 3) 판정시기는 대개가 손상후 1년이상 경과된 경우가 많았고, 판정기준으로는 McBrede의 기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판정결과는 매우 광범위했다. 4) 진단의 상세화없이 단순히 기질성 뇌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내린 경우가 28.7%였으며, 뇌좌상후 증후군의 진단 개념이 사용되는 경우가 의외로 적었고 상세화된 진단명 중에는 외상성 신경증이 가장 많았다. 5) 두뇌손상의 정도가 환자의 정신병리 및 판정결과에 가장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외의 요소들은 환자의 정신병리에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판정결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주관적인 신체증상의 호소는 신경증으로 진단되는 경향이 있었고 매우 불리한 판정을 받고 있었다. The author surveyed 94 cases of head injury referred from the court with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mental disability. Premorbi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s, information about assessments, psychopathology, factors affecting the psychopathology and result of assess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 and diagnosis were stud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head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 in male, socially-active age group, & lower socio-economic level. 2) The incidence of automobile accid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dustrial accidents and when comparing to another study the patients whose damages were evident and severe were more in number. 3) The time interval to assessing the disability was more than 1 year in almost all cases, and the disability evaluation criteria of McBride was used more commonly. And the results of assessment were of very wide distribution. 4) Organic brain syndrome was used as a diagnostic term without any specification in 28.7% of cases. In contrast, the concept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was used in very few cases, and the diagnosis of posttaumatic neurosis was the most in numbers among the specified one. 5) The severity and evidency of brain damag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others affecting the psychopathology and the result of assessment. 6) The subjective complatints of patients tend to be treated as having a neurosis, and had many disadvantages in disability evaluation.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신병적 증상과 위스콘신카드 분류검사와의 관계

        엄양기,김철권,조진석,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o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between schizophrenecs and normal controls, 2) and the change of performance while clinically improved. WCSTs were administered in 28 schizophrenics and 32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ed poorly on the WCST compared to normal controls. 2)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performance in WCST as clinical symptoms improved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age, sex, education level and volcabulary test in both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WCST mat be an indicator of vulnerability to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재활 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그리고 치료 경비에 미치는 효과 : 2년 추적조사 연구

        조진석,공지현,김진원,심경순,하준선,김철권,강동호,장정희,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목 적 : 사회기술훈련, 환자교육, 가족교육, 집단치료, 예술치료, 작업치료와 같은 포괄적인 정신재활 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약물치료만 시행할 때에 비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경비 등에 어떤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1993년 9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양산 신경정신병원의 폐쇄병동에서 퇴원한 20∼35세 사이의 정신분열병 환자 173명을 대상으로 46명에게는 6개월동안 정신재활 치료를 시행하였고 127명에게는 통상적인 외래치료만 시행한 후 연구시작 시점을 포함하여 2년동안 양군에 속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경비 등을 1년 단위로 추적 조사하였으며, 연구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전과 후의 매년 평균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경비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정신재활 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약물치료만 시행할 때에 비해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비용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리고 정신재활 치료를 받은 군에서는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비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통상적인 외래치료만 받은 군에서는 치료 전과 후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정신재활 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약물치료만 시행할 때에 비해 환자의 임상적 경과를 호전시킬 뿐 아니라 가족의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다. Objective : We evaluated the clinical efficacy of a comprehensive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 including family psychoeducation, patient education,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psychotherapy, art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Method : From September 1993 to February 1995, 173 chronic schizophrenics who met DSM-IV criteria and were discharged from a locked ward were assigned into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 group(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n=46) or the customary out-patient service group(out-patient group, n=127) prospectively, but not randomly. Assignment was based on preferences of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Each subject included in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received twice weekly patient education, social skills training, family psychoeducation, group psychotherapy, art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maintenance chemotherapy during a 6-month period. Those in the out-patient group received individual supportive psychotherapy and maintenance chemotherapy according to their clinical needs for 10-20 minutes once per week. After entry into the study, all subjects were assessed for the number of readmission, days of hospitalization, and the direct treatment cost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follow-ups. These outcome variables were also compared pre-and post-2 years at the time point of entry into the study. Aftercare chemotherapy on a weekly to monthly basis continued for the remainder of the two year follow-up period. Results : With regard to the mean number of hospital admissions per year, the mean days of hospitalization per year, and the direct treatment costs per year,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ll clinical outcomes 2 years after compared with before receiv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 clinical outcomes between before and after study intake in the out-patient group. For the number of relapse regardless of drug compliance, 4 patients(9%) during first year and 14 patients(30%) during second year were relapsed in the 46 subjects of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In contrast, 75 patients(59%) during first year and 90 patients (71%) during second year relapsed in the out-patient group.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drug noncompliance to relapse, 4(9%) and 14 patients(30%) were relapsed while on medication respective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 year in the 46 of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vs. 27(34%) of 79 patients on medication during the first year and 31(46%) of 68 patients on medication during the second year were relapsed in the out-patient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rehensive psychiatric rehabilitation can be useful therapeutic intervention both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to reduce the economical burden of their relative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에서의 주의력 장애

        김철권,조현기,장정희,강동호,조진석,김명정,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들과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 그리고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를 이용한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지속적 주의력에 관한 사항과 정보 감지능력 검사를 이용한 정보 처리과정에서의 감각등록에 관한 사항을 측정하고 세 군간에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 유무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 28명을 대상군으로 그리고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 18명과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를 둔 중고등학생 41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상군 및 두 대조군 모두에게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를 순차적으로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맞춘 횟수와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놓친 횟수는 반대로 유의하게 높았다. 가장 중요한 변인인 민감도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각 변인의 변화를 보면 맞춘 횟수와 비율에서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민감도 역시 시간이 경과할수록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의 민감도,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의 정답반응 횟수에서 정상 대조군의 분포 곡선중 하위 10% 수치를 절단점으로 잡아 그 수치 이하를 보이는 대상 숫자를 비교해 보면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만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군, 정상 대조군, 대상군중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의 민감도가 하위 10% 이하에 속하는 군의 MMPI를 서로 비교한 결과 세 군간에 MMPI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정답반응과 오답반응을 보이기까지 걸린 평균 시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저자들은 정신분열병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군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군이나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를 둔 대조군보다 지속적 주의력에서 결손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나아가 이와 같은 지속적 주의력에서의 결손이 정신분열병의 한 가능한 취약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study the possible vulnerability in the markers of schizophrenia,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n=28),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n=18), and offsprings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n=41) were examined for their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by means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and Span apprehension task(SPAN)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s manifested in the data of CPT by significantly lower hit rate and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false alarm rate and response bias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the CPT between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2) The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s revealed by lower hit rate and sensitivity was not apparent in the first part of the CPT. However it emerged and aggravated itself as the test continued in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only. 3) Proportion of subjects falling in the extreme low sensitivity of lower 10% of the normal contro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 group as compared with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with a rate of 29%, 17%, and 10% respectively.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all variables of MMPI among normal controls, index group, and the extreme low CPT sensitivity subgroup of index group. 5)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showed a significantly delayed response in the time to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 in SPAN compared to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 number of incorrect response, and number of no response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the SPAN between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bgroup of the offsprings of schizophrenic parents may suffer from the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which may be a vulnerability marker of schizophrenia.

      • KCI등재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관한 연구

        이현숙,홍창희,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9 신경정신의학 Vol.28 No.2

        저자는 1987년 12월부터 88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과 부산 메리놀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317명을 대상으로 Zung의 Self-Rating Anxiety Scale(SAS)과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을 이용하여 불안과 우울의 정도 및 빈도를 구하고 이를 건강대조군, 정신과 불안장해 환자군 및 우울장애 환자군과 비교하여 불안과 우울의 특성을 구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인 변인과 질병에 관계되는 변인에 따른 불안과 우울정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입원환자군의 SAS 및 SDS평균점수는 각각 38.5, 44.6으로서 그 불안과 우울의 정도는 모두 건강대조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정신과 환자군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구분해 주는 SAS 및 SDS상의 기준점은 예민도가 84.4%, 88.0% 특이도가 81.1%, 85.8% 전반적 진단력이 82.1%, 86.5%로 나타나는 42점, 49점으로 잡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때 입원환자의 36.0%가 불안장애, 37.2%가 우울장애에 속했다. 3) 입원환자군에서는 불안의 특성은 불안정서나 감각증상의 불안요인은 적고(P<0.05) 과민성과 부분적인 자율신경계 증상의 불안요인은 높은 것이었고(p<0.05) 우울의 특성은 초조감을 동반한 우울이나 관념적 우울요인은 유의하게 적고(p<0.05) 지체성우울과 식물성 증상의 우울요인은 유의하게 높은 것이다(p<0.05). 4) 남자보다 여자환자군에서 불안과 우울의 정도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p<0.01) 저 소득층에서는 우울의 정도만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그리고 회복에 대해 부정적 전망을 가진 환자군이 다른 환자군보다 불안과 우울의 정도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p<0.001).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everity and tile frequency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observed in 317 in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wo general hospitals in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Markynoll Hospital from December, 1987 to May, 1988. The evaluation was done by using the method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 The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deprssion in general hosptial in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healthy subjects and psychiatric patients with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changes of severity in anxie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other related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on the emotional status of these pati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mean score of SAS in inpatients was 38.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ealthy subjects and lower than that of anxiety disorders. The mean score of SDS in inpatients was 44.6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ealthy subjects and lower than that of depressive disorders. 2) The authors suggests the score of 42 in SAS and 49 in SDS as the cut off score which distinguish clinical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from normal condition when considering the sensitivity(84.4%, 88.0%) and specificity(81.1%, 85.8%) and overall diagnostic power(82.1%, 86.5%). In that case, the 36.5% and 37.2% of inpatients were included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3)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anxiety in inpatients was the more frequent occurrence of vigilance and scanning and of some of the autonomic symptoms and rarer occurrence of anxious mood and sensory symptoms. In the case of depression, the feature of retarded depression and vegetative symptoms were more frequent and the depressed affect with agitation and ideational depression were rarer. 4) The sever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 than male and in the group who have the negative prospect to recovery to their own illness than other groups. The severity of depress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er income group than other group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한국어판 사회적응 척도의 개발 :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김철권,서지민,김상수,조진석,하준선,김정옥,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응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사회적응 척도의 한국어판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 법: 사회적응 척도를 번역한 후 정신분열병 환자 67명과 정상인 78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과: 자료분석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5, 검사자간 신뢰도는 0.89, 내적 일치도는 0.87로 높은 수치였다.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사회적응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0개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성적적응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들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척도의 전반적 평가 영역 결과와 GAF 결과간의 상관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검증한 공존 타당도 역시 유의하였다. 결 론: 한국판 사회적응 척도는 우수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고 나아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응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justment Scale Ⅱ-Revised Version(KSAS Ⅱ-RV) in the schizophrenics. Methods: KSAS Ⅱ-RV was administered to 67 schizophrenic patients and 78 matched normal controls for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Data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of KSAS Ⅱ-RV.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total scores of KSAS Ⅱ-RV were 0.85, 0.89. and 0.87, respectively. Evidence for discriminant validity of KSAS Ⅱ-RV comes from the results that the mean scores of schizophrenic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Construct validi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10 inter-subareas correlations of the KSAS Ⅱ-RV, and all except the sexual adjustment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lobal area scores of KSAS Ⅱ-RV and those of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Scale lend support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is instrument indirectly. Conclusions: KSAS Ⅱ-RV was found to b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 KCI등재

        노인정신 장애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77 신경정신의학 Vol.16 No.3

        저자는 지난 5년간 (1971.1.1∼1975.12.31) 부산 대학 병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 환자중 60세 이상 노인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하여 앞으로 노인 정신 의학적인 여러가지 측면에서 광범한 조사 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예비조사를 하고 분석 정리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전체 환자중 노인 정신 장애자는 0.6%였다. 2. 60∼70세의 노인 환자가 거의 대부분이었다. 3. 남자 환자가 여자환자보다 많았다. 4. 갱년기 우울증 환자가 24예 (31.2%)였고, 신경증 환자는 22예 (28.6%)였다. 5. 학교 교육을 받은 사람이 24예 (31.2%)였다. 6. 직업을 가진 사람이 22예 (28.6%)로서, 상업과 농업이 대부분이었고, 연령은 60∼65세가 17예 (22.1%), 66∼70세가 5예 (6.5%)였다. 7. 배우자를 가진 사람이 약 반수였다. 8. 종교를 가진 사람이 약 절반이었고 불교가 대부분이었다. 9. 도시 거주자는 농촌 거주자보다 많았다. The author made a study of 77 out-patients and in-patients who were 60 years old and over at the psychiatric department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ast 5 years from 1971 to 1975. The author performed this clinical study in order to get a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intensive study for psychiatric problems to old age psychiatric patients. These ca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annual distribution, years and age, age and sex, annual diagnostic distribution, diagnosis and sex, diagnosis and age, education, occupation, age and occupation, spouse, religion and living place etc. The results of this clinical study were as follows. 1. Old age patient rate was 0.6% of total psychiatric patients during past 5 years. 2. As to the age range, the most stood between 60 and 70 years (87.1%). 3. Male patients were more in number than female patients. 4. In contents of diagnosis the most were involutional melancholia and neurosis was next. 5. It revealed that 24 cases (31.1%) of old age patients were educated. 6. 22 cases (28.6%) had occupation and almost all of them were merchant or farmer. 17 cases (22.1%) were between 60 and 70 years old. 7. Almost half of the patients had their spouse. 8. Nearly half of all cases had religion and almost all of them were Buddhist. 9. Urban area were three times more than rural area.

      • KCI등재

        알콜의존 환자에서 음주욕구를 유발하는 조건화자극에 대한 연구

        한귀원,김명정,김성곤,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DSM-IV에 의하여 알콜 의존으로 진단되어 입원 중인 18세에서 65세 사이의 남자로서 과거 3주이상의 단주 경험이 있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음주 욕구를 유발하는 조건화 자극의 종류와 빈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를 통하여 환자들로부터 수집한 알콜연관자극들 중에서 흔한 내적 및 외적 자극 각각 25가지씩, 모두 50가지를 선정한 후, 대상 환자로 하여금 50가지의 알콜연관자극 중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자극을 모두 선택하게 하였다. 그 후 각 알콜연관자극의 빈도와 유형별 빈도를 조사하고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음주력, 불안 및 우울 척도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건화 자극을 내적 및 외적 알콜연관자극으로 분류하였을 때, 내적 자극은 신체 상태, 긍정적 기분 상태 그리고 부정적 기분 상태로, 외적 자극은 즐거운 상황, 불쾌한 상황, 알콜과 연관된 상황 및 기타 상황으로 분류되었다. 2) 1인당 선택한 문항의 평균 수는 14.1±8.6개로 내적 자극이 7.5±4.8개, 외적 자극이 6.5±4.4개이었으며 각 자극을 하나라도 선택한 사람은, 내적 자극은 대상군 모두가 선택하였고 외적 자극은 대상군의 99.1%가 선택하였다. 부정적 기분 상태와 불쾌한 상황은 각각 97.3%, 88.2%로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긍정적 기분 상태와 즐거운 상황도 각각 42.7%, 71.8%로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신체 상태에 관한 자극은 대상군의 68.2%가, 알콜과 연관된 상황에 관한 자극은 68.2%가, 그리고 기타 상황에 관한 자극은 49.1%가 선택하였다. 3) 음주 욕구를 증가사켰던 내적 자극 중 높은 빈도로 선택된 문항들은 화가 날 때(71%), 외로울 때(47%),고민이 될 때(45%), 시장기가 돌 때(45%), 잠이 안올 때(45%) 등이었고, 외적 자극 중에서 높은 빈도로 선택된 문항들은 가족이나 친척들과 갈등이 있거나 다투는 경우(53%), 잔치, 초상, 계 등 사회적인 모임이 있을 경우(52%), 하는 일이 잘 되지 않을 때(49%), 직장에서 혹은 친구와 갈등이 있거나 다투는 경우(42%)등이었다. 4) 환자의 나이와 신체 상태의 알콜연관자극 간에는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고, 문제 음주로 인해 처음 정신과에 입원한 나이와 신체 상태의 알콜연관자극 간에도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육 수준과 신체 상태의 알콜연관자극 사이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입원횟수와 부정적 기분 상태의 알콜연관자극 사이에는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첫 음주 시작 나이, 문제 음주 시작 나이, 문제 음주 지속 기간, 최대 단주 기간, 병원 치료 후 평균 단주 기간, 개인의 특성 불안과 우울 점수 등과 알콜연관 자극의 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직업 유무별, 사회경제 상태별, 음주가족력 유무별, 결혼 상태별, 종교별 및 음주 양상별로 본 알콜연관자극의 유형별 선택 문항 수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Conditioned stimuli provoking alcohlol craving in the alcoholics were surveyed in 110 hospitalized male patients with the diagnosis of alcohol dependence according to DSM-IV who had had 3 weeks or more of successful periods of alcohol abstinence after the onset of alcohol dependence. A preliminary study of preparing a list of 50 alcohol related cues(ARC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ARCs from 50 alcoholic patients, choosing the more frequent stimuli and rearranging those into 25 internal and 25 external ARCs. And then, each of the 110 subjects was asked to choose all the ARCs which provoked alcohol craving in the past to survey the frequency of the ARCs and their relevance with regards to a number of variables such as certain demographic data, alcohol history and anxiety and dep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RCs were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ARCs ; the internal ARCs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affects, negative affects and somatic conditions and the external ARCs into pleasant situations, unpleasant situations, alcohlol-related situations and other situations. 2) Total mean number of ARCs per person was 14.1±8.6, that of internal ARCs being 7.5±4.8 and that of external ARSc being 6.5±4.4. All the subjects chose at least one of the internal ARCs and 99.1% chose one or more external ARCs. ARCs of negative affects and unpleasant situations were chosen by 97.3% and 88.2%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positive affects and pleasant situations were chosen by 42.7% and 71.8% respectively, showing unexpectedly high frequency. ARCs pertaining to somatic conditions were chosen by 68.2% of the subjects, those of alcohol-related situations were chosen by 68.2% and those of other situations by 49.1%. 3) Frequently chosen items of internal ARCs were when I was angry (71%),' when I was lonely'(47%), 'when I was distressed'(45%), 'when I was hungry'(45%) and 'when I had trouble sleeping' (45%). Those of external ARCs were 'when I had an argument or conflict with a relative' (53%), 'when I was at a social meeting such as party or funeral ceremony'(52%), when the things were not going to work out' (49%), 'when I met a friend whom I liked'(49%) and 'when I had an argument with a friend or people at work' (42%). 4) Positive correlations were seen between age and ARCs of somatic conditions and between age at the first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nd ARCs of somatic conditions. However,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ARCs of somatic conditions. Number of psychiatric hospitaliz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RCs of negative affec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ge at the first drink, age of onset of alcohol related problems, duration of alcohol related problem drinking, maximal length of abstinence, usual duration of abstinence after hospital treatment and score of trait anxiety and BD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mean number of ARC subtypes between different groups divided by other demographic or clinical variables such as status of job, social class, family history of alcohol dependence, status of marriage, religion and drinking pattern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 보호자와 형제 자매에서의 부담에 대한 연구

        김철권,김진원,서지민,이길자,김길중,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9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 보호자 92명과 그들의 형제 자매 6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척도를 사용하여 가족부담, 환자의 문제행동, 가족의 죄책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양성증상 행동과 음성증상 행동, 환자의 임상적·사회인구학적 변인, 주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그리고 가족의 죄책감 등이 주 보호자 및 형제 자매의 주관적·객관적 부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결 과: 1)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에서 주 보호자군이 형제 자매군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환자의 연령, 유병기간, 총 입원기간이 주 보호자 또는 형제 자매의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주 보호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매달 수입 정도와 가족교육 여부가 주 보호자의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3) 문제행동들을 양성증상, 음성증상, 기타증상으로 분류한 후 주 보호자 및 형제 자매의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을 검증한 결과, 양군 모두에서 3가지 증상 행동이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과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양군에서 양성증상 행동과 음성증상 행동이 객관적 부담보다는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또 형제 자매의 경우에는 양성증상 행동이 음성증상 행동에 비해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이 더 높았다. 4) 죄책감과 부담간의 상관성에서는 주 보호자에서만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가족중재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burdens of schizophrenics, 92 primary caregivers and 68 siblings of 92 persons with schizophrenia were examined by means of self-report scales about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behaviors,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guilty feelings toward patient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scores betwee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even though the former showed a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latter. 2) Burden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age of patients, duration of illness, total duration of hospitalizations, monthly family income, and the experience of family education in the primary caregivers or siblings of schizophrenics. 3)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re related to both the severity of positive, negative, and the other symptom behavior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behaviors were more related to subjective burdens compared to objective burden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The positive symptom behaviors were more related to perceived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s compared to negative symptom behaviors in the siblings. 4) The correlations between guilty feelings toward patient and burden score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rimary caregiver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s to develop the more effective family intervention for reducing family burden.

      • KCI등재

        정신분열병 외래환자에서 사회기능, 정신병리, 그리고 주의력 결손간의 관계

        김철권,정순민,김진원,김상수,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증상이 안정된 83명의 정신분열병 외래 환자들을 대상으로 증상, 사회적응, 그리고 주의력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정상 대조군은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교육수준, 나이, 성별등이 비슷한 60명으로 하였다. 증상은 양성 및 음성증상 증후군 척도(PANS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사회적응은 한국판 사회적응 척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주의력은 지속수행 검사(Continuous Performance Test)와 정보 감지능력검사(Span of Apprehension Task)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지속수행 검사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 모두에서 유의한 결손을 보였다. 또 사회적용 척도의 총 점수와 10개 소영역의 점수에서도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사회기능과 증상군의 연관성에서는 양성증상, 음상증상, 일반증상 모두 사회기능의 총 점수와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여가활동 소영역에서는 음성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3) 사회적응 척도의 총 점수와 지속수행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민감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응 척도의 총 점수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정답반응 횟수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응 척도중 도구적 역할 소영역은 민감도 및 정답반응 횟수와 상관성이 있었다.그리고 친구관계 소영역은 민감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4) 증상과 주의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지속수행 검사의 민감도와 음성증상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증상이 안정된 정신분열병 외래환자에서 지속적 주의력이 전반적인 사회 기능을 예측하는 한 인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 between attentional deficits and social functioning of the schizophrenia, 83 stable outpatients with DSM-Ⅳ schizophrenia and matched 60 normal controls were examined for their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and social functioning by means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Span apprehension task(SPAN), and Korean version of Social Adjustment Scale Ⅱ-Revised Version(KSAS Ⅱ-RV) respectively.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as manifested in the data of CPT and SPAN, compared with the matched normal controls. Schizophrenic patients also showed a significantly poor social functioning in measure of KSAS Ⅱ-RV compared with the matched normal controls. 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ree type of symptoms(positive/negative/general) and total scores of social functioning. But negative symptoms was correlated with the social leisure subarea of KSASⅡ-RV. 3) CPT was correlated with total scores of social functioning including the instrumental role and friend relation subareas of KSASⅡ-RV, whereas SPAN was only correlated with instrumental role subarea of social functioning. 4) In the relations between attention and symptoms, CPT was correlated with negative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ficit of the sustained attention may be a predictive factor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schizophrenic out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