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예술경험과 의사소통기술과의 관련성 연구 - 만 2세용 제3차 표준보육과정을 중심으로 -

        박현정,정선영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예술경험 활동과 의사소통활동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영아를 위한 보육활동 프로그램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 어린이집 51곳의 만 2세 영아반에 재원 중인 604명이며, 관찰자는 담당 보육교사 10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예술경험영역 평가도구(박현정, 정현숙, 정선영, 2014)와 의사소통 척도(신근영, 정선영, 2014)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경로 분석하였으며 AMOS 20.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형 및 통합모형에서 변인 간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한 주요 결론으로는 표준보육과정의 예술탐색, 예술표현, 예술감상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통합모형에서 예술표현이 이해언어와 표현언어에 이르는 표준경로 계수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나머지 모든 경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의 예술체험과 의사소통기술의 유의한 관계와 영아의 의사소통기술 발달을 위한 다양한 예술체험의 중요함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affecting infants' artistic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604 infants attending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0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infants observing the infants. Artistic experience evaluation tool (Park, Jeong, Joung, 2014) and communication scale (Shin, Joung, 2014) were employed. A model was made based on theories undergo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basis of observation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o find the effects among variables by using AMOS 20.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analyz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effects were as follows. Artis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istic appreciation in standard nurture a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nfants’ communicative competence(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model, standard path coeffici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other paths have significant effects. This study verifi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rtistic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nd drew a conclusion that various artistic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infant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과정 중심 통합형 개인 성장 모형 기반의 한국 현대시 교육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박현정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move to the highest level of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out the activtation of literary communication. Poetry education should help them grow by step-by-step and systematic learning activities. This paper, therefore, proposes an integrated personal growth model based on a process- centered approach for the education of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process-centered integrated growth model helps grow learners’ inner capabilities through poetry communication activities based on learners' language skills and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cesscentered integrated personal growth model to advanced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uld enjoy modern Korean poetry itself and the possibility to move forward to the growth of individual learners. 고급 단계의 학습자들은 학습자 중심의 문학적 소통을 활발히 함으로써 최고급 수준의 의사소통으로 나아갈 수 있다. 시문학 교육은 단계적이고 유기적인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 자신의 내면 성찰과 성장을 도와야 한다. 이에 본고는 고급 학습자를 위한 시문학 교육모형으로서 과정 중심의 통합형 개인 성장 모형을 제안한다. 과정 중심의 통합형 개인 성장 모형은 언어 능력과 문화적 배경 지식을 가진 학습자 간의 문학적 소통을 촉진하여 학습자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성장시켜 나가는 것을 돕는 것이다. 과정 중심의 통합형 개인 성장 모형을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들이 한국의 현대시를 주체적으로 향유하면서 개인의 성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행정소송에서 조정제도 도입방향

        박현정 대한변호사협회 202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06

        The so-called de facto mediation or reconciliation has been in use in the administrative courts for more than 20 years. De facto mediation or reconciliation is similar to the recommendation for reconciliation in that it does not go through a formal mediation procedure. It is also similar to the decision in lieu of conciliation in that it is recommended by the court. But it differs from either of the two, as the consensus between the parties is not officially documented. Attempts to revise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concerned only the introduction of the recommendation for reconciliation. However, as the need for amicable dispute resolution without trial by a court is also dire for administrative disputes, especially concerning the appeal litiga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earnest, the introduction of a mediation system that formalizes the mediation process in the disputes concerning administrative matters. The principle of legality or the rule of law is not for itself an element that blocks the possibility of mediation in administrative disput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sign a mediation system that can harmonize amicable and effective dispute resolution and the legality and legal stability of the relations concerning administrative matters. Mediation does not aim to determine rights and wrongs between the parties, nor does it rely on strict fact-finding and legal judgment. It bases itself on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which serves as a ground for easing the principle of legality. In this regard,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as limits to the content of mediation: no manifest illegality or a clear violation of the law; no inconsistency with public order or public welfare; no infringements on a third party’s legitimate interests. Also discussed are the effects of mediation, retrial against mediation, and the pros and cons of adding a consent of a third party or relevant agency as an additional requirement for mediation. Lastly, this paper favors adopting all types of mediators as those provided in the Civil Conciliation Act. As a supportive measure, it suggests setting higher qualification for mediators in order to guarantee the fairness and legitimacy of mediation. 이른바 ‘사실상 조정·화해’는 이전부터 행정법원의 실무에서 활용되었다. 사실상 조정·화해는 공식적인 조정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화해권고결정과 유사하고, 법원의 권고에 의한다는 점에서는 조정에 갈음하는 결정과도 유사하나, 당사자 사이의 의사 합치가 공식문서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화해나 조정절차와 차이가 있다. 기존의 행정소송법 개정시도는 논의의 대상을 화해권고제도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행정소송, 특히 항고소송에서도 재판에 의하지 아니한 원만한 분쟁해결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이상 중립적 제3자인 조정인의 개입과 당사자 사이의 의견조율 절차를 공식화하는 조정제도의 도입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법치행정 또는 행정의 법률적합성 원칙은 그 자체로서 행정사건에 대한 사법형 조정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요소는 아니다. 다만 원만하고 실효성 있는 권리구제와 행정의 법률적합성 및 법적안정성 사이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조정제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조정은 엄격한 사실 입증과 법적 판단을 전제로 당사자 사이의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당사자 사이의 의사의 합치를 전제로 한다는 점이 조정에서 행정의 법률적합성 원칙을 완화하여 적용하는 근거가 된다. 이를 고려하여 조정내용의 위법성이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았을 것, 공공질서, 공공복리나 제3자의 정당한 이익을 침해하지 않을 것 등을 조정의 내용상 한계로 제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조정에 대한 불복방법이 매우 제한적임을 확인하고, 이를 완화하는 방법으로서 조정에 의하여 직접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을 제3자 또는 조정의 대상인 처분 등에 관하여 동의·승인·협의 등의 법령상 권한을 가진 행정청이 조정절차에서 동의할 것을 조정의 성립요건으로 추가하고 동의 요건 미충족을 재심사유로 추가하는 방안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정에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부여한다고 할 때 그 효력의 범위를 분석하고, 조정조서에 집행력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행정소송에 도입 가능한 사법형 조정의 유형과 조정인의 자격을 검토하고, 행정소송과 분쟁의 유형별로 조정제도의 실무상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부모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가정방문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박현정,김현경,Park, Hyun-Jung,Kim, Hyun Kyoung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4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articles describ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hich showed substantiated effects for home-based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s for all parents. Methods: The articles regarding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s for paren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ystematic review method.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CINAHL, PsycINFO, Cochrane central library, Eric, and RISS on material published. Article searches and quality appraisal through RoB (Risk of Bias) yielded 14 records. Results: The total random effect size was 0.344 (Parents outcome, 0.333; Child outcome, 0.310; Environment, 0.275). The home based intervention for parents wa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potential child abuse.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directing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s for all parents whose children are in the early years of life including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 KCI등재
      • KCI등재

        데이트 폭력의 특성 및 대응방안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박현정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叢 Vol.26 No.1

        Dating violence is generally a form of crime on the Criminal Law. However, in the sense that it occurs in a romantic relationship which is close and special relationship such as domestic violence crime, the risk is very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omestic violence crime, since the scope of the crime is limited to the family member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dating violence to domestic violence crime. Such dating violence is very broad and evolving, from interference and obsession to assault, bodily harm, sexual crime, and murder.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ot of information shared among lovers, the probability of retaliation is very high even if a penalty is exercised. As a result, in addition to the brutal incidents that occur between the parties, it gives bad effects to the family and the people of victim and it shows more and more ferocious. This can be said the current status of dating violence.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law on the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crime, it copes strongly with against crimes that occur in the romantic relationship. And as a precautionary measure, the so-called "Katy law" is being implemented to prevent dating violence. In Japan, as a solution to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it is specified the criteria for punishment such as the DV prevention law and the stalker regulation law. Korean National Assembly also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dating violence and proposed the a bill on punishment of dating violence. However, there is discussion to be done by current law for the reason of individual law and special law enforcement, and is pending now. In order to cope with dating violence, the changes in legal and social awareness are required and the provisions of sanctions and precautions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considering the criteria of the scope of the par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gree of risk among the parties and through the independent criminal sanctions, treatment of the perpetrator and protection of the victim should be done together. 데이트 폭력은 일반적으로 형법상 범죄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가정폭력범죄와 같이 긴밀하고 특수한 관계인 연인관계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이 매우 높다. 반면, 가정폭력범죄의 경우, 그 범위가 가족구성원으로 한정되어 있어, 연인관계를 포섭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데이트 폭력을 가정폭력범죄에 적용할 수 없다는 난점을 안고있다. 이러한 데이트 폭력은 간섭과 집착에서, 폭행·상해, 성범죄, 살인에 이르기까지 매우광범위하고 진화하는 행태를 보인다. 또한 연인 사이에 서로 공유하는 정보가 많아, 형벌권이 발동된다 하여도 보복의 가능성도 매우 높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당사자 간에 발생하는 잔인한 사건 이외에 가족이나 피해자 주변인들에게까지 악영향을주고 흉포해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데이트 폭력의 현주소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가정폭력범죄 처벌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연인관계에 발생하는 범죄에 대하여 강력 대처하고 사전예방차원에서 일명 ‘케이티 법’을 시행하므로 데이트 폭력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데이트 폭력의 해결방안으로 단계별 위험정도에 따라 DV방지법과 스토커 규제법을 통해 처벌대상의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우리 국회에서도 데이트 폭력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데이트 폭력범죄 처벌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하였으나, 개별법이나 특별법의 남발을 이유로 현행법에편승하자는 논의가 있어, 현재 계류 중에 있다. 데이트 폭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법적·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고 제재의 규정과 예방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사자 범위의 기준, 당사자 간 위험의 정도에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독자적인 형사제재를 통해 가해자 처우와 피해자 보호가 함께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모성-아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현정,이선희 한국아동간호학회 2015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1 No.4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integrated practice program (maternal-child) on nursing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compar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separate simulation for maternal care and for newborn car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integrated simul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self-efficacy on nursing handover (F=0.480 p=.012) and oxygen therapy in newborn care (F=3.262 p=.037), and for clinical competence (F=2.639, p<.001) and personal satisfaction with debrief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2.179, p=.044). But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nursing knowledge.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is an effective practice method to improve self-confidence, clinical competence and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providing a setting similar to the clinical situation.

      • KCI등재

        원예활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원예 선호도 조사

        박현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epare basic data on plant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o develo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nd academic adap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May 2 to May 12, 2018,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95 nursing college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to the fourth grade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in G city and J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77.6% recognize that horticultural activity is desirable for academic application programs. Second, the preference for plants was high for floriculture and among the floriculture characteristics, the preference for polygamous and flowering plants was high. Third, the preferred colors of plants were green, yellow and white. Fourth,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shown to prefer decorative and craft activities using plants, growing plants indoors, and cooking activities using pl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s preference survey,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to preserve the plant's unique characteristics, not simply the activities of planting and growing pla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원예활동에 대한 요구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 및 학과의 적응을 위한 원예활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식물 및 원예활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시의 2개 간호학과와 J도의 2개 간호학과 1학년부터 4학년 간호대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2일부터 5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활동이 학과적응 프로그램으로 제공되는 것에 77.6%가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식물의 선호는 화훼류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화훼류 특성 중 다육 식물과 꽃 식물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셋째, 식물의 선호하는 색은 초록, 노랑, 흰색이었다. 넷째, 원예활동은 식물을 이용한 장식 및 공예활동, 실내에서 식물 가꾸기, 식물을 이용한 요리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선호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과적응을 돕기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