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품관여도 및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 방법에 따른 온라인 및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박명진,이경렬,이경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online and mobile video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in the digital advertising marke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analysis using the actual execution data and results for online / mobile video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VTR(view through rate) and CTR(click through rate) of online and mobile video advertising in terms of product involvement and advertising creative appeals. Three different kinds of advertising creative appeals of online and mobile video advertising - 1) rational / emotional appeals, 2) humorous appeals (yes / no), 3) storytelling appeals (yes / no) - were separately tested by which VTR, CTR are different among groups of creative appe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nces in CTR between high and low product involvement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TR between high and low product involvements. It also turn out that rational appeal and storytelling advertising are more effective in VTR than emotional appeal and non-storytelling adverti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otional appeal and storytelling are the most important methods of online and mobile video creative. 본 연구는 제품관여도 및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 방법에 따라 온라인 및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광고시청완료율(View Through Rate)과 클릭완성률(CTR)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클릭완성률(CTR)에 대한 분석 결과 제품관여도에 따라 클릭완성률(CTR)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관여도가 높은 제품의 경우 관여도가 낮은 제품의 경우 보다 온라인 광고에 대한 클릭의향이 높다는 기존의 연구결과(Cho, 1999, 2003; 이경렬, 1997)와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광고시청완료율(VTR)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제품관여도에 따라 광고시청완료율(VTR)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관여도가 광고시청완료율(VTR)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감성소구와 스토리텔링 소구광고가 이성소구와 비 스토리텔링 소구광고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광고시청완료율(VTR)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시청자들이 보다 쉽고 보다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스토리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토리텔링형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그렇지 않은 광고형태에 비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1년 동안 국내 동영상 광고 플랫폼을 통해 집행된 모든 동영상 캠페인을 대상으로 어떠한 동영상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방법이 소비자의 반응을 일으키는 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기존 실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제 광고 집행 결과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및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수립을 하는데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明代 公案小說 專集의 創作과 刊行

        朴明眞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1

        明代公案小說專集是指大致簡稱爲「○○公案」的以]公案爲題材的小說集, 共有十三部. 明代公案小說專集在創作與刊行上具有顯著的特點. 因此, 對明代公案小說專集的特點, 本論文將分爲三個方面進行討論 : 首先討論其體制特徵. 明代公案小說專集可分爲兩大類型. 一類是以一位淸官爲中心線索連繼多種單篇公案故事的公案小說專集. 如《百家公案》, 《海剛峰公案》等. 這類公案小說專集體制上具有長篇小說的雛形, 但幷沒有發展到完整的長篇小說的體制. 령一類是將多種不同淸官斷案的單篇公案故事連綴而成的公案小說專集. 如《廉明公案》, 《諸司公案》等. 這類公案小說專集的體制흔接近於法律類書, 卽分類記錄幷?集性質相似的單篇公案故事而成書. 每一篇單篇故事都自成段落, 非常接近於短篇小說的形式, 但具有一定的內在連貫性. 其次, 討論其文體特徵. 從小說文體的角度看, 明代公案小說專集大致可分爲兩類. 一類是書判體公案小說和本體公案小說的文體特徵相融合的公案小說. 如《百家公案》, 《龍圖公案》等. 再次, 討論其刊行特徵. 從明代萬曆年間開始集中刊行了公案小說專集. 這種現象一直廷續到天啓, 崇禎年間. 明代公案小說專集大部分都刊行於金陸, 福建地區的書房. 這些地區的刻書主要是以商業盈利爲目的. 明代公案小說專集的繁榮與這些書坊主的商業活動有密切的關係.

      • KCI등재
      • KCI등재

        공안협의소설과 문화콘텐츠—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 기획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모델을 중심으로

        박명진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4 No.-

        Culture contents in the 21st century are attracting attention in areas of convergence that can be combined with humanities. Gong’an novels and Gong’anxiayi novels went beyond literary works to form a character called ‘Baoqingtian’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most prominent literary feature of the novel is the creation of a typical Baoqingtian figure symbolized by the character of impartial and incorruptible(鐵面無私). Baogong has a formula of ‘historical person-fiction character-character content’. The narrative of the novel deals with the story of Gong’an and the story of the Baogong-chivalrous Swordsman. In the case of existing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Baozheng, notable cultural contents appeared in dramas and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As a project class model for planning Gong’anxiayi novels, especially Baoqingtian character-based cultural contents, we presented a class model that combines theory and project classes. Theory classes aim to acquire major knowledge, and project-based classes aim to improve learners creative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participatory cooperation skills, discover cultural archetypes related to Gong’anxiayi novels and plan cultural contents. 21세기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s) 산업은 인문학의 우수성을 흡수하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중국고전소설 중 공안협의소설은 문학작품을 넘어 문화산업의 영역에서 ‘판관 포청천’이라는 독특한 캐릭터를 제공하고 있다. 포공을 서사의 중심인물로 다루고 있는 포공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진 문학적 특징은 바로 鐵面無私의 성격으로 상징되는 전형적인 청관 인물형상의 창조일 것이다. 포공의 캐릭터는 ‘역사 인물―소설 주인공―캐릭터 콘텐츠’라는 형성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소설의 서사에 있어 ‘공안 이야기’와 ‘포공―협객 이야기’는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핵심 내용이다. 포청천 관련 기존 문화콘텐츠 사례에서는 드라마와 관광문화콘텐츠에서 주목할 만한 문화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또, 대학의 중국고전소설 수업에서는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 기획을 위해 이론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병행하는 이론―프로젝트 혼합형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론 수업은 전공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적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 및 참여협동 능력 향상에 목표로 두고, 공안협의소설 관련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캐릭터 콘텐츠를 기획하도록 설계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성폭력 이차피해 민감성 척도 타당화 연구

        박명진,양난미,이명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7 No.-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성폭력 이차피해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개관하고 이차피해의 정의를 분석하여 이차피해의 개념을 구성하였고, 경험적으로는 한국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 성폭력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성폭력 관련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질적 연구(김호원 등, 2014; 이명신, 양난미, 황채운, 2014) 결과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차피해 민감성 척도 예비문항 31문항을 제작하였고, 개발된 예비척도에 대해 대학생 65명에게 문항이해도를 평정하도록 하였으며, 최종문항을 확정하기 위해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예비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4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피해자 비난 문항으로 성폭력 피해자를 비난하는 것에 대한 인식, 2요인은 의심 문항으로 성폭력 피해자를 의심하는 것에 대한 인식, 3요인은 합의종용문항으로 가해자와의 합의를 부추기는 것에 대한 인식, 4요인은 피해자 감수 문항으로 성폭력 신고 이후 피해자는 어려움에 대해 감수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강간통념, 남녀평등, 공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수렴, 공존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3주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서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secondary victimization scale. In order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a construct was studied through the overview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analyzing the definition of secondary victimization used in these studies. Then, to develop the items that empirica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a secondary victimization scale of 31 items was produced based on the existing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targets professionals(Kim, et al., 2014; Lee, Yang, Hwang, 2014) who are being in charge of sexual violence case. 65 students from another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were asked to rat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scal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after selecting 325 students from a third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to finalizing the items. As a result of mak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that consist of 14 items were selected. Factor 1 was composed of items about blaming victim, which covered the cognition of blaming sexual violence victim. Factor 2 was constituted by items about suspicion, which covered cognition of having doubts about sexual violence victim. Factor 3 was formed by items about persuading conference, which dealt with cognition of instigating the victim to negotiate a settlement with the perpetrator. Factor 4 was consist of victim's resignation, which covered cognition that sexual violence victim has to accept damage that happens after reporting crime. Final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after 311 students from a third four-year university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the convergen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it was all confirmed by making 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rape myth, stereotype of gender role, gender equality. When a retest was conducted three weeks late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as well. Finally, the academic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