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 변화과정에서 동작을 통한 감정표현의 하부 구조인 감정 표출의 의미에 대한 고찰: 융의 적극적 상상의 관점에서

        박선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understand the value of emotional expressions in body movements by examining the physical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human psychological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Jung's active imagination and Aristotle's catharsis. The study 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dance movements that have been conducted until recently (Na Jung-sun, 2011; Park Eun-kyung, 2010; Park Jin-sun, 2018; Seo Jin-hee, 2013; Lee Ji-hyun, 2008; Jang Hye-ji, 2011; Jo Eun-ji, 2017; Choi Eun-hee, 2002) is mostly about emotional expressions. The researcher thought that it was desira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depth in order to promote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emotional expr ession, which is the leading step in emotional expression and perception, which is revealed in the process of active imagination by psychologist Jung. To do this,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then we saw how emotional expressions were explained from Jung’s and Aristotle’s perspectives, and how emotional expressions could help us make healthy psychological changes. Jung's active imagination and Aristotle's Catharsis concept described emotional expression in two ways or dimensions. In active imagination, it is said to cause emotional expressions to occur and to participate and act consciously in their expressions. In catharsis, it is called removing and purifying emotional tensions. This can be said to be the expression and consciousness of emotion. Recently, Western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 seems to focus more on finding meaning by staying in the emotion rather than removing or revealing emotions. However, considering the emotional expression culture of Koreans, especially those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changes due to emotional oppression and rational thinking in modern society, the expression of emo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growth.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the body will help consciously conscious of their unconsciousnes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difficult language expressions to explore the subject of life. It will also be used as a ritual to conscious our unconscious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art media. Although the expression of emotions may be said to require appropriate structures and environments, the expression of emo박선영235 tions, especially through body movements, may have a new meaning as a way of intervention to move in a positive direction in the process of human change.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적 변화를 촉진하는 과정에서의 신체적 감정 표출을 융(Carl G. Jung)의 적극적 상상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몸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감정 표출의 가치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이다. 최근까지 진행된 무용 동작을 통한 정서표현과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나정선, 2011; 박은경, 2010; 박진선, 2018; 서진희, 2013; 이지현, 2008; 장혜지, 2011; 조은지, 2017; 최은희, 2002) 는 대부분 감정표현의 증진 및 그 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감정의 표현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그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를 위해 심리학자 융이 말하는 적극적 상상의과정에서 드러나는 감정표현의 두 가지 차원인 감정 표출과 인식에서 선행단계인 감정표출이 갖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몸과 감정 표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융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감정 표현이 어떻게 설명되는지, 그리고 감정의 표출이 인간의 건강한 심리적 변화를 위해 어떤 도움을 줄 수있는지 알아보았다. 융의 적극적 상상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 개념은 감정 표현을 두 가지 방식 혹은차원으로 묘사하였다. 적극적 상상에서는 감정적 표현을 일어나게 하기와 그 표현에 대한 의식적 참여와 행동하기라고 했으며, 카타르시스에서는 감정의 긴장을 제거하기와 정화하기라고 한다. 이는 감정의 표출과 의식하기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서양의 마음챙김 기반의 심리치료에서는 감정을 제거하거나 털어놓기보다는 그 정서에 머무르며 의미를 찾는 것에 더 많은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감정적 억압과이성적 사고로 자신의 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특히 한국인의 감정표현 문화를 고려해보면 감정의 표출은 심리 성장의 과정으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몸을 통한 감정 표출은 자신의 무의식을 의식화하도록 도와주며,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삶의 주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예술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서도 우리의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돋움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감정의 표출이 적절한 구조와 환경이 필요하다고는 말할 수 있으나, 인간의 변화 과정에서 긍정적인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입의 방법으로 감정의 표출, 특히 몸동작을 통한 감정의 표출이 새로운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술과 사회: 한나 폴락의 다큐멘터리에 묘사된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부랑아 문제를 중심으로

        박선영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1

        This article traces the harsh realities of homeless children who has grown rapidl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films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and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produced by Hanna Polak, a Polish film director and producer. In addition, this article traces the social missions of artists, by investigating Polak who is constantly and deeply involved in the issue of homeless children. Polak, who graduated from the Cinematography division of the Gerasimov Institute of Cinematography (VGIK), began her career as a cinematographer for the documentary film about the Russian homeless children Railway Station Ballad (2003), directed by Andrzej Celinski. In her first film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co-directed with Celinski, Polak has continued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problem of homeless children. The primary goal of this film, following the daily lives of homeless children living in the Leningradsky railway station in Moscow in the 1990s, is to show the audience the cruel lives of homeless children. As a result, the director-artist Polak has played a role as an observer and listener, not participating directly in the film. A full-length documentary film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completed by Polak for 14 years from 2000 to 2014, explores the miserable life of a 10-year-old girl Yula living on the territory of Svalka near Moscow, the largest garbage dump in Europe. Polak has become more actively engaged in the film in order to express her ideas more effectively. The director has fulfilled the role of an interlocutor and furthermore, an activist in the film. Moreover, Polak, who is conscious of the social missions of artists, believes that the power of the film art can be extended beyond the screen. Even in despair, showing and talking about hope is the way how art can stand against the harsh realities. 이 글의 목표는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 급증한 부랑아들의 실상을 폴란드 감독 한나 폴락(Hanna Polak)의 다큐멘터리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The Children of Leningradsky)」(2004)과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Something Better to Come)」(2014)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부랑아 문제에 지속적이고도 깊이 있게 천착하고 있는 폴락 감독을 통해 예술가의 사회적 임무에 대해 살펴보는 것 역시 이 글의 목표가 된다. 전러시아국립영화연구소(ВГИК) 촬영학과를 졸업한 폴락은 러시아의 부랑아 문제를 다룬 안드제이 첼린스키 감독의 「기차역 발라드(Railway Station Ballad)」(2003) 촬영기사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하였고 첼린스키와 공동 연출한 감독 데뷔작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에서 다시금 부랑아 문제를 진지하게 주시하게 되었다. 1990년대 모스크바 레닌그라드역에 거주하는 부랑아들의 일상을 추적한 이 다큐의 일차적 목표는 관객에게 부랑아들의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로 인해 감독-예술가는 영화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자제한 채 관찰자이자 청자로서의 역할에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는 모스크바 근교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쓰레기 매립지” ‘스발카‘에 살고 있는 10세 소녀 율랴의 삶을,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4년간 지켜보며 완성한 장편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에서 감독은 자신의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작에 비해 더욱 적극적으로 영화에 개입한다. 즉 이 다큐에서 감독은 대화자, 더 나아가 참여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술가의 사회적 임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던 폴락은 영화의 힘이 스크린 안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 밖으로 확장되어 영화 속 인물뿐 아니라 관객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폴락이 자신의 다큐멘터리로 보여준바, 절망 속에서도 희망에 대해 말하는 것, 바로 이것이 광포하고도 참혹한 현실에 대항하는 예술의 응전 방식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학 이론적 모델구축을 위한 Youth Work(청소년활동)의 역사적 조망과 분석

        박선영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oncept of youth work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order to suggest for developing youth work theories in the Korean context. The second aim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 of youth work between the UK and Korea. Further,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way how to make youth work as sustainable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work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rgues firstly, the need of theories and studies on youth work for the expanding of youth work. Secondly, we need to decide the objects of youth work and what to provide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tudies such as formal education or social welfare stud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youth work and youth policy should not play only as a deliverer role for the governmental policy and practice, the youth work and youth work study must have their own identities apart from the government policy for the sustainable youth work. 이 연구는 첫째, 한국 청소년학의 이론적 토대구축에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영국 Youth Work의 개념과 역사적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 Youth Work의 개념과 비교하고 분석하며 셋째, 청소년학의 이론적 토대구축을 위한 미래지향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청소년학의 기본 개념인 Youth Work에 대한 다양한 개념이 논의되었으며, 역사적 발전과정 고찰을 통하여 한국과는 어떻게 다른지, 한국이 지향해야 할 Youth Work의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Youth Work이 활성화되고 청소년학이 학문적으로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청소년학에 대한 이론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사회변화에 따른 대상 청소년의 선택과 집중이 있어야 한다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지속가능하고 발전적인 청소년학이 되기위해서는 정부정책을 전달하는 실용학문으로서의 청소년학이 아니라 청소년학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관련 정책이 수립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지역별 전통된장과 개량된장의 품질특성

        박선영,김슬기,홍상필,임상동,Park, Sun-Young,Kim, Seulki,Hong, Sang-pil,Lim, Sang-Dong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6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bean pastes (Doenjang)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s. Methods: Proximate compositions, amino acid nitrogen contents, pH, acidity, salt contents, chromaticity, viable bacteria and inorganic substance contents of nineteen traditional and three commercial Doenjang were investigated. Results: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In moisture content, D10 did not meet the standard of food codex. The contents of moisture, fat, protein and ash were slightly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Doenjang. However,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2-fold higher in commercial than traditional, and thus, the calories were also higher. The amino nitrogen content was lower in commercial than traditional Doenjang. pH, acidity and salt contents of Doenjang were pH 4.67-6.15, 1.53-3.29%, and 9.01-18.78%, respectively. pH and acid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commercial Doenjang, however, sal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Doenjang. In case of chromaticity, the averages of L, a, b values were higher in traditional Doenjang. In microbiological analysis, total bacteria counts were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Doenjang. The number of Bacillus cereus in D12 and D19 exceeded the standard of food codex. Staphylococcus aureust was undetected in all samples. The number of fungi varied widely between samples, with no detection in five traditional and all commercial Doenjang. Results of inorganic substance analysis indicated that contents of inorganic substances in Doenjang were in order of Na, K, Mg and Ca. Overall, Na content was higher in traditional Doenjang. Contents of inorganic substances showed wide variations in traditional Doenjang.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quality standardization and ensuring safety are considered necessary.

      • KCI등재

        전통 고추장과 개량 고추장의 품질특성

        박선영,김슬기,홍상필,임상동,Park, Sun-Young,Kim, Seulki,Hong, Sang-pil,Lim, Sang-Dong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2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red pepper pastes (Gochujang)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red pepper pastes. Methods: Proximate compositions, amino acid nitrogen contents, salt contents, color, viable bacteria, and inorganic substance contents of 19 traditional and three commercial Gochujang were investigated. Results: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s showed huge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s. For moisture content, six kinds of traditional Gochujang did not meet the standard of the food codex. Contents of moisture, fat, and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Gochujang. However,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r in commercial than traditional Gochujang, and thus calories were also higher. The amino nitrogen contents of the three kinds of traditional Gochujang did not meet the standard of the food codex. Salt contents and col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aditional and commercial Gochujang. In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total bacteria counts were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Gochujang. The number of B. cereus did not exceed the standard of the food codex in all samples. S. aureus and fungi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s. In the inorganic substance analysis, inorganic substances contents in Gochujang were in the order of Na, K, Mg, and Ca. Overall, Na, K, Mg, and Ca were more abundant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Gochujang. However, due to wide variations in inorganic substance contents of traditional Gochuja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commercial Gochujang.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Gochujang, quality standardiz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 KCI등재

        초음파 BI-RADS를 이용한 유방 병변의 분석과 카테고리 설정

        박선영,김은경,김민정,박병우,정우희,오기근 대한영상의학회 200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4 No.3

        Purpose: We wanted to determine if the analysis and categorization of breast lesions with using BI-RADS for US would be useful.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24 cases (976 persons), in which US-guided core needle biopsy had been performed. The breast lesions were describ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BI-RADS for US. Each US characteristic was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its association with a benign versus malignant tissue diagnosis.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the accuracy of breast US were examined. Result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of the US features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showed that all eight US features (shape, orientation, margin, echogenicity, posterior acoustic features, surrounding tissue, calcification and special ca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shape, margin, microcalcification and enlarged axillary lymph nodes were found to be the most useful diagnostic features. In addition, a clinically palpable mass increased the diagnostic accuracy up to 92.7%.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a category 3 lesion was 0.8%, and those of category 4 and 5 lesions were 30.4% and 99.4%, respectively.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of breast US were 99.0%, 57.2%, 49.5%, 99.3% and 69.6%, respectively. Conclusion: Using BI-RADS for US in breast can be successful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both the malignant and benign lesions of the breast. 목적: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BI-RADS)에 근거한 유방 초음파의 기술 및 분류가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을 시행한 1,024예(976명)를 대상으로, 유방영상을 전공한 3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초음파 소견의 특성을 BI-RADS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고 카테고리를 설정하였으며 핵생검 병리 결과와 비교하였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각의 초음파 특성의 상대적 의의와 조합된 초음파 특성의 의의 및 진단에 도움을 주는 임상 소견을 알아보았다. 영상 소견과 병리 결과를 양성과 악성으로 구별하여 유방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양성과 악성을 구분하는 초음파 소견 중 8가지 항목(모양, 방향축, 테두리, 에코, 후방 음향양상, 주위조직 변화, 석회화 및 그 외 소견) 모두가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중 다중회귀분석 결과 병변의 모양, 테두리, 미세 석회화 동반 여부 및 액와 림프절 동반 여부가 가장 도움이 되는 소견이었으며 임상소견인 유방 촉지종괴 동반 여부를 조합하면 진단적 정확도는 92.7%에 이르는 결론을 얻었다. 초음파 카테고리 4 및 5로 분류되고 악성 핵생검 결과를 얻은 경우는 각각 30.4% 및 99.4% 이었고, 카테고리 3의 경우 0.8%로 모두 적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핵생검 병리 결과와 비교시 양성과 악성을 구별하는 유방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정확도는 각각 99.0%, 57.2%, 49.5%, 99.3% 및 69.6% 였다. 결론: 유방 초음파에서의 BI-RADS 체계의 적용이 유방 고형종괴의 양성과 악성을 구분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