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위험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주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2

        Reading is important tool to acquire required information for social life and school study and make unified lingual system with closed relation to speaking and writing. No proper educational measures to children with difficulties to reading shows high possibility to be diagnosed and identified as reading disabilities later. Those children are at risk reading disabilities. This study designs and applies balanced literacy program with diverse activities not by unilateral aspect but by complementary aspect of pronunciation oriented teaching method and total lingual approach for conception progress of at risk reading disability children's reading. In this study, balanced literacy program unifies reading activities reasonably and includes teaching method of reading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All three children made progress of reading ability in the phase of intervention than in baseline phase and preserved in maintenance phase. Diverse activities of reading segment based text writing and letter practice activities in balanced literacy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본 연구는 발음중심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 중심 교수법을 결합한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와 비단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3명의 읽기장애 위험아동 모두 단어 읽기능력이 기초선 단계보다는 중재 단계에서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유지 단계에서도 유지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와 비단어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실천이론에서 본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물적-기호적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

        조주현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30 No.-

        Implications of Haraway's works on 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in the context of late modern Korean intellectual terrains are examined. After reviewing feminist epistemological theories and locating Haraway’s theoretical efforts among them, I explain her theory of cyborg feminism focusing on the concepts of cyborgs and situated knowledges. Then the problem of connecting partial perspectives to achieve objectivity as positioned rationality without degenerating into relativism is discussed within a larger framework of practice theory. This is the main object of Haraway’s feminist epistemology and I will evaluate plausibility of her project through the detailed model of discursive and scientific practices. Finally I introduce Brandom’s hermeneutics of magnanimity to reinterpret Haraway’s theories and explore their possibility of serving as a helpful guide to the recent efforts by young Korean women in their searches for creative political and cultural niches in late modernity 이 글의 목적은 해러웨이의 주요 업적들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그 중 어떤 부분이 현재까지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어떤 부분이 우리가 새로 운 시선으로 연구주제를 접근하는데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 밝히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한다. 먼 저 Ⅱ절은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전반적인 흐 름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해러웨이의 사상이 이 흐름 속에서 어떤 위치 에 있는지를 보여준다. Ⅲ절은 해러웨이의 대표적인 개념인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상황적 지식론”의 핵심 쟁점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검토한 다. Ⅳ절은 해러웨이의 페미니스트 과학기술정치학의 핵심 쟁점인 부분 적 관점들 간의 연결 문제를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발전시킨다. 특히 부 분적 관점이 어떻게 상대주의를 벗어나 객관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를 실천이론의 행위자 모델과의 연관성 속에서 밝힌다. 마지막으로 V절 결 론에서는 브랜덤의 “관대한 읽기” 개념을 통해 해러웨이의 사상이 한국 의 젊은 세대들의 다양한 시도들을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 음을 주장한다.

      • UUCP 를 이용한 Dial - Up Network

        조주현,전길남 한국정보과학회 198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0 No.2

        UNIX system간의 file transfer 및 remote command execution 의 기능을 갖는 4.1BSD UUCP를 SDN 의 몇 개의 node 에 설치, dial-up 기능의 보완 및 극의 computer network 와의 연결, 그리고 application layer로서의 UUCP-based network 들에 관해 기술하였다. We discuss the newly found problems which occurred in the installation of 4.1 BSD UUCP, which has the functions of file transfer and remote command execution, in some nodes of SDN. We also describe the addition of dial-up function, international connection, and UUCP-based networks as application layer.

      • KCI등재
      • 사업 타당성 제고를 위한 합리적인 투자예산 배분 가이드

        조주현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 POSRI 이슈리포트 Vol.2019 No.11

        ○ 기업 자원배분에 관한 이론에서는 중장기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예산 배분을 ‘사업부문별 배분’과 ‘개별사업단위 배분’으로 구분하고 있음 - 사업부문별 배분은 전사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매출 극대화, 신시장 개척 등 중기 그룹 경영목표와 전략방향에 따라 비즈니스 영역별 투자예산을 배분 - 개별사업단위 배분은 투자사업 타당성 관점에서 사전에 배분된 사업부문별 예산을 투자한도로 설정하고 개별사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예산을 배분 ○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자원배분을 위해서는 결국 투자사업별 우선순위 평가결과에 근거한 예산배분이 이루어져야 할 것 - 일반적으로 사업부문별 투자예산은 중기 EBITDA를 중심으로 전사 투자예산한 도를 설정하고 중장기 전략방향에 따라 비즈니스 영역별로 배분함 - 한편 실제 투자의사결정과정은 기대수익률, 시장점유율, 사업경험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나, 의사결정자의 개인적인 신뢰나 직감에 의존하는 경우도 빈번 - 따라서 배분된 사업부문별 예산한도 내에서 개별 투자사업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투자의사결정 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투자우선순위 평가방법이 필요 ○ 다양한 투자사업 평가 방법론에서는 경제적 요인과 전략적 요인에 해당하는 수익성, 산업매력도, 전략적합성, 역량, 외부변동성 관련 점검항목들을 검토 - 국내 유수기업들의 평가 방법론도 이론적 접근과 유사하나 기업의 특성과 여건에 적합한 점검항목들을 선정하고, 평가결과를 일반화하여 의사결정을 지원 ○ 이론·실무적 방법론을 토대로 투자사업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투자사업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합리적인 예산배분 방향 설정 ㆍ(1단계) 모든 투자사업에 적용 가능한 공통항목과 해외진출 시 국가/정치/경제 등 거시환경 및 현지 인프라/제도 항목, 합작투자 시 파트너사의 사업역량 및 운영계약 항목 등 다양한 유형의 투자사업을 점검할 수 있는 Framework 구축 ㆍ(2단계) 점검항목별 사업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 수준을 토대로 평가기준을 수립하고, 구체화된 평가기준은 투자관련 이해관계자 간 협의를 통해 확정 ㆍ(3단계) 항목별 평가 값을 표준화(1~5점 척도화)하고 전략방향과 연계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별 투자사업의 최종 평가점수 (100 점 만점 기준)를 산출 ㆍ(4단계) 사업부문별 투자한도와 개별 투자사업 우선순위 평가결과에 따라 우선 추진사업을 선정하고 필요 시 부문별 예산조정을 통해 객관적으로 타당성이 높은 투자사업에 예산을 배분하는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 프로세스 구현 ○ 투자사업 평가 방법론에 따른 우선순위 선정 결과는 한정된 예산 내 사업 타당성이 높은 투자사업을 우선 추진하도록 선별하는 기준이자, 보수적인 가정기반 경제성 검증 여부 등을 확인하는 사전 모니터링 도구로 활용 가능

      • KCI등재후보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고용주인식에 관한 연구

        조주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4 No.4

        장애인고용에 있어서 고용결정권자인 고용주들의 인식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고용주들의 인식수준을 알아보고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고용주 92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고용에 관한 인식을 직업기술 및 훈련 요인, 법률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 지원 및 훈련 요인의 4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들과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와 상대적 기여도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분석하여 장애인고용을 촉진시키고 정책수립과정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ption of the employers o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employability, familiarity of regulation,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rehabilitation agencies. In the pilot study, instrument reliability was investigated based on a respondent group of 15 employers and 26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PSS Reliability Analysis program indicated that the reliability of all the scales of the instrument was above an alpha level of .9360. Out of the 800 survey sheets sent to employers, 92 were returned. A multiple step process was used to develop the Perception Scale of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instrument primarily consisted of Likert-scale responses and was divided into four major sections: work skills and attitudes factor, law factor, economic factor, and support and training factor.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grand mean of employers' perceptions on work skills and attitudes was 3.91, while its standard deviation was .56. Regarding employers' perceptions on law factor, the grand mean was 3.59,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76. The grand mean of employers' perceptions on economic factor was 3.58, and its standard deviation was .69. Lastly, The grand mean of employers' perceptions on support and training factor was 3.64, and its standard deviation was .64.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 Each sub-factors are very high correlation(p<.001). Correlation among employability, evaluation of experience with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was very high.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 Familiarity of law, the evaluation of experience with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could predict employability. In addition, while the familiarity of law could predict law factors and employability, the factors of work skills and attitudes could explain economic factors and support and training factors. Moreover, types of business, familiarity of law, and scales of business could predict law factors while economic factors could explain law factors and support and training factors. Finally, support and training factors could predict economic factors and evaluation of experience with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se findings present service providers with information that would facilitate successful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owever, more in-depth, quality studies for employer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further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dealt in this study. Furthermore, in terms of polic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ensure that employers become familiar with law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uthorities should also ensu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as well as frequent contacts with rehabilitation agencies through public information by means of the mass media.

      • KCI등재

        21세기 ‘이야기꾼’의 등장과 역사 되쓰기의 예술실천 : 일민미술관 ≪불멸사랑≫(2019)을 중심으로

        조주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7 No.-

        We as humans desire to be recognized of our being. We hope to be loved and cherished forever by our close friends, and even hope to remain in history for general others. Individuals with great and small desires come together to form a society and create countless events. The human desire for the immortality has drive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has written history by repeating transition and progress. In the near future, one's memories and experiences for a lifetime accumulated in the brain continue to stay in future generations and physically exist as they are stored in the clou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such a world, promising life after death, what role does religion will maintain after it has perdured eternal time? What about human records and history?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structure revealed in the art works in the exhibition Immortality in the Cloud, this essay observes how history is newly being conventionalized under conditions of contemporaneity. And, particularly, it aims to explore how historical, ethn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being “rewritten” in the present day where the encounter among different cultures, religions, and languages has been intensified. 인간의 불멸에 대한 상상은 21세기 들어 현실이 되었다. 이제 인간의 존재는 사후에도 데이터로 영생이 가능하다. 한 사람이 일생 동안 축적한 기억이나 경험이 AI를 통해 크라우드에 저장되고 후세의 인간들의 삶 안에 머물며 물리적으로 존속하게 된다. 그러한 세계에서, 사후의 생을 약속함으로써 유구한 시간을 존속해온 종교는 과연 어떤 역할로 살아남을까. 기록이나 역사는 어떠한가. 밀란 쿤데라가 1990년에 발표한 소설 『불멸 L'Immortalite』의 모티프들을 바탕으로 기획된 ≪불멸 사랑 Immortality in the Cloud≫(2019. 2. 22-5. 12, 일민미술관)은 동시대 미술이 역사를 다룰 때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인지 질문을 던지고자 했던 전시이다. 본 논문은 ≪불멸 사랑≫에 나타난 ‘이야기’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여, 모더니티와 대립되는 개념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의 조건 하에서 역사가 어떻게 새로운 양식화를 이루는지, 특히 서로 다른 문화들, 종교들, 언어들 사이의 조우가 심화된 오늘날의 상황에서 어떻게 역사적, 민족적, 문화적 특징들이 ‘되쓰기(rewriting)’ 되고 있는가를 논증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죽음, 붕괴, 사라짐 등 인간의 숙명인 ‘필멸’의 모티프와의 관계 속에서 살았던 삶의 무게와 흔적을 통해 이야기의 권위를 획득하는 21세기 진정한 ‘불멸’의 서사의 가능성과 ‘이마골로기’라는 자본주의 욕망을 탈피해 나가는 예술의 힘을 고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