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 자료 말뭉치의 보완과 활용- 언해 자료를 중심으로 -

        장경준 한말연구학회 2019 한말연구 Vol.- No.53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rocess of historical Korean language corpus and thought about the limitation of present corpus and future direction. In addition, I have looked at a corner of the process of the Korean lexical system change by examining how the "謗" of the original text has been disputed in various documents as an example of a study using an annotated data corpu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unexamined text. As a way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constructed corpu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two. The first is to have a 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anyone who is interested in the document data can access it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he time, and can check the latest version of the corpus text and the high quality picture of the document which is used as the preview directly. The second is to create a system that easily informs the corpus when someone finds an error in the corpus created in the previous environment, corrects corpus after expert review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n periodically updates the corrected corpus. This system should include the release of documents included in the corpus, the retrieval of corpus, and the provision of statistical data. In the future, I hope that a detailed study of the kanji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text using the parallel corpus of the Korean-translated text will lead to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the Korean lexical history.

      • KCI우수등재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능엄경 ≫ 구결의 어순 표시

        장경준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4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본(‘파리본’) ≪능엄경≫에 기입된 구결에서는 한문 원문을 한국어로 해석하는 순서, 즉 한국어 어순을 표시하기 위해 점과숫자를 이용하여 원문의 한자에 번호를 달아 놓았다. 여기서는 어순 번호를매길 때 한문을 위에서 아래로 읽는 경우에는 같은 번호를 매기고, 아래에서위로 올라가며 읽는 경우에는 번호를 하나씩 더하는 낯선 방식을 전면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이 자료는 점과 숫자를 이용한 기본적인 어순 표시와 더불어 동사나 목적어에 다양한 유형의 기호를 추가로 기입하였다. 유형Ⅰ은 동사에 ‘下’나 ‘末’을 기입하고, 유형Ⅱ는 동사와 목적어에 각각 ‘下’와 ‘下’, ‘下’와 ‘上’, ‘下’와 ‘동사’, ‘末’과‘末’, ‘’와 ‘’ 등을 짝지어 기입하고, 유형Ⅲ은 목적어에 동사를 직접 기입하였다. 이때 유형Ⅱ와 Ⅲ의 목적어 안에서는 (한국어에서) ‘마지막으로 읽는 글자’ 또는 (한문에서) ‘마지막에 놓이는 글자’에 어순 표시 기호를 기입하였는데, 후자의비율이 더 높았다. 이와 같은 파리본 ≪능엄경≫의 어순 표시는 법응본 ≪법화경≫, 원각사본≪능엄경≫ 등 지금까지 연구된 다른 구결 자료에서 관찰된 것과 커다란 차이를보인다. 앞으로 아직 연구되지 않은 자료의 데이터를 더하여 구결에 반영된 한국어 어순 표시의 전모가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瑜伽師地論』 點吐口訣의 몇 가지 특징

        장경준 구결학회 2017 구결연구 Vol.38 No.-

        韓國의 釋讀口訣과 日本의 訓點은 많은 共通點을 지니지만 差異點 또한 적지 않다. 이 글은 釋讀口訣과 訓點의 比較硏究를 위한 基礎作業으로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특히 『瑜伽師地論』 點吐口訣에서 보이는 몇 가지 特徵적인 모습을 紹介한 것이다. 2장에서는 口訣點의 位置變異를 다루었다. 口訣點의 基準位置가 變異位置로 實現되는 것을 口訣點의 位置變異라 하는데, 『華嚴經』 點吐口訣이나 訓點 자료에서는 대체로 漢字의 字形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口訣點이나 ヲコト點의 變異位置가 결정된다. 하지만 『瑜伽師地論』에서는 變異位置가 漢字의 字形에 따라 매우 可變的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독자는 漢字에 따라 基準位置가 變異되는 패턴을 알아야 點吐를 올바로 解讀할 수 있게 된다. 3장에서는 位置가 비슷하거나 겹치는 口訣點들의 記入問題를 다루었다. 『瑜伽師地論』에서는 원칙적으로 點吐를 기입할 글자에 이웃한 다른 글자를 빌려서 결과적으로 두 개의 글자에 나누어 記入한 반면 『華嚴經』에서는 어떻게든 한 글자 안에 記入하였다. 이 과정에서 『瑜伽師地論』과 『華嚴經』에 각각 사용된 符號인 指示線과 重複線 모두, 訓點에서는 그와 같은 기능을 하는 符號가 발견되지 않는다. 그 밖에 11~13世紀 點吐口訣에 句讀點이 사용되지 않은 점, 日本所在 8世紀 新羅寫經에서 語順表示 數字나 四聲點이 발견되는 점, 남아 있는 點吐口訣 자료가 대부분 角筆로 記入되어 있는 점, 釋讀口訣의 表記法이 14世紀 이후 繼承되지 못한 점 등도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정신과 병동의 강박처치에 대한 연구

        김욱중,이택중,장경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0 신경정신의학 Vol.29 No.3

        The authors analyzed clinically 86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restraint among 489 pa-tients admitted in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from May 1988 to July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489 patients, 86 patients (17.6%) were restrain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requency of restraint by age and sex.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restraint between the general and the special ward. 3) The group of schizophrenia experienced restraint less frequently, and the group of al-coholism experienced restraint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groups. 4) The restraints were carried out more frequently at night than in the daytime.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on restraint by educational level. 6) The group of affective disorder showed the worst negative attitude on restraint. 7) Patients restrained by non-violent behavio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on restraint than patients restrained by violent behavior.

      • KCI등재

        『대명률직해』의 계통과 서지적 특징

        장경준,진윤정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versions of Daemyengryul-Jikhae and to summariz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select the fine print of each editions. The different versions of Daemyengryul-Jikhae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a period of original script(底本). One is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and the other is ‘after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The former is classified into one edition and the latter is classified into five editions which are Gongju edition(estimated), Gwangju edition, Jinju edition, Nagan edition and Pyeongyang edition. First,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version in view of original script. And this version is also distinguished from material characteristics. There are two prints of this version. And the print possessed at Hosa’s collection of books is the fine print. Second, Gongju edition(estimated) was based on ‘after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and was published in Gongju. This edition had been become a model of other editions afterwards. There are two prints of this edition and the print possessed at Naegak’s collection of books is the fine print. Third, Gwangju edition was published in Gwangju and Naju area. Many errors were occurred in process of engraving. There are six prints of this edition. And the prints possessed at Yonsei University, Tongmungwan, Kyujanggak are the fine prints. Fourth, Jinju edition was engraved in Jinju in the late 17th century. A part of contents of volume 12 were substituted with Daemyengryul-Ganghae and an additional article was inserted in volume 13. There are three prints of this edition. The prints possessed at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Gyeongsang Universit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re the fine prints. Fifth, Nagan edition was engraved in Jeonju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printed in Nagan. The correction and occurrence of errors were co-occurred in process of engraving. There are eight prints of this edition and some of them have an additional article inserted in volume 28. The print possessed at Seokjeon’s collection of books is the fine print. Sixth, Pyeongyang edition was published in Pyeongyang in 1686 and propagated widely. This edition have many errors in comparison with others. There are five prints of this edition. And the prints possessed at Kyujanggak, Chungnam University are the fine prints. 이 글은 현전하는 『대명률직해』의 여러 판본을 조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이본의 계통을 밝히고, 계통별로 서지적 특징을 요약하면서 선본을 선정한 것이다. 『대명률직해』의 이본은 저본의 성립 시기에 따라 ‘세종 13년 수정본’과 ‘세종 13년 이후 수정본’의 두 가지 계통으로 크게 나뉜다. 그리고 같은 목판으로 인출하였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세종 13년 수정본은 한 계통, 세종 13년 이후 수정본은 공주판(추정), 광주판, 진주판, 낙안판, 평양판의 다섯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세종 13년 수정본 계통은 나머지 계통과는 저본이 다르고 형태상으로도 큰 차이를 보인다. 16세기 중엽의 중간본이 두 곳에 전하며 호사문고본이 선본이다. 둘째, 공주판(추정)은 세종 13년 이후 수정본을 1546년 공주에서 중간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간행된 판본들의 모본이 되었다. 두 곳에 전하며 내각문고본이 선본이다. 셋째, 광주판은 16세기 후반에 광주, 나주 지역에서 공주판을 다시 새긴 것으로 판각 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생겼다. 모두 6개가 전하며 연세대본, 통문관본, 규장각본(古)가 선본이다. 넷째, 진주판은 17세기 후반에 진주에서 광주판을 다시 새긴 것으로, 권12의 일부가 강해로 대체되고 권13에 조항 하나가 추가되었다. 세 곳에 전하며 제2책과 제4책은 만송문고본, 제3책은 경상대본, 제1책은 대가대본이 선본이다. 다섯째, 낙안판은 17세기 후반에 전주에서 새겨 낙안에서 인출한 것으로 진주판의 오류를 일부 수정한 반면 새로운 오류도 많이 생겼다. 모두 8개가 전하며 일부에서는 권28에 조항 하나가 추가되었다. 석전문고본이 선본이다. 여섯째, 평양판은 1686년 평양에서 간행하여 널리 보급된 것으로 다른 계통에 비해 오류가 많은 편이다. 모두 5개가 전하며 규장각본, 충남대본이 선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