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체함이 발생하는 조망점의 지리구조에 관한 연구;양산시 소재 산지를 대상으로

        영조,차영채,차명숙,Kang, Young-Jo,Cha, Young-Chae,Cha, Myeong-Sook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3

        본 연구는 경관이 발생하는 조망점에서 체험되는 시각특성과 그 조망점에서의 경관체헝을 극적으로 이끄는 지리 구조를 양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산지 경관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밝현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산시 소재 6개의 산을 대상으로 그 산을 체험할 수 있는 조망점을 40개소 선정하였다. 이들 조망점에서 파악된 산지경관 조망점에서 조망대상이 중거리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시각크기는 산과 대변하는 느낌을 주는 앙각 11${\sim}13^{\circ}$, 시야 전체를 차지하고 광대한 인상을 주는 수평각 50${\sim}90^{\circ}$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산시에서는 도시민이 산의 느낄 수 있는 거리대에서 대면적 관계로 산지경관을 지각하고 있다. 이어서 인상적인 경관체험을 유발하는 조망점의 지리 구조를 8개 의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산이 건물이나 길가의 수목 등의 주변 환경이 만들어낸 좁고 긴 선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회랑형이 7개소, 또 산을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하부나 터널을 지날 때 가려졌던 시야와 빛이 열리면서 체험하게 되는 터널형이 2개 소, 산세를 따라 굽이지는 길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미로형이 4개소, 교차로에서 방향을 전환하거나 건물이나 산자락을 끼고 돌 때 동선방향이 바뀌는 순간 나타나는 모롱이형이 8개소, 오르막 경사의 마루에서 나타나는 고개마루형이 3개소, 산이 관찰자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길게 누워져 있을 때 차창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평행형이 4개소, 고립되어 있는 산파 형태인 대변형이 5개소, 마을, 도시 등의 지역 경제나 교량, 광장과 같은 주요 지점을 지날 때 나타났다. 산지 경관이 인상적으로 체험되기 위해서는 조망점뿐 아니라 그곳으로 다가가는 지리구조도 아울러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산지경관의 관리 및 보존과 경관자원도 등 경관영향평가의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또 경관도로의 정비 등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 structure in a landscape of mountains in Yangsan Cit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40 view points of 6 mountains in Yangsan City were selected to experience the mountainsca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untainscape of Yangsan City was confirmed from the view point to the object of view as ranging in middle distance reverse, the angle of elevation 11${\sim}13^{\circ}$ which give the impression of confronted to the mountain, and the horizontal angle 50${\sim}90^{\circ}$ which gives the impression of vastness. This shows that mountainscapes are perceived impressively when seeing the mountain with the meaning to feel the texture of the mountain as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rather than a pictorial relationship. The geographic structure of the view point which occurs in scenes of impressive experience i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The first type is corridor, and it emerges in a long narrow linear structure made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buildings or street trees. The second is tunnel in which a vision and light hidden while passing underneath a bridge, high-level road, or inside a tunnel can be seen. Third, the maze is formed by the mountain shape. The hill spur emerges when the direction of traffic changes after turning the coner of a building or mountain edge. The hill ground emerges at the top of a hill slope. Next, parallel emerges when the observer and the mountain are in the same direction of process. Confrontation occurs when confronting an isolated mountain. Finally, the view point emerges when passing through major points such as a bridge or square and the boundary of a village or city. This research arranged visual conditions that create impressive mountainscapes. Geograph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ypes that make possible to experience mountainscapes we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basic data collected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mountainscapes and for landscape effect evalu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oretical evidence to preserve and manage geographic structures that create view experiences as well as to preserve the landscape in terms of view points.

      • 기업가적 전략과 재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환경 및 조직구조와의 적합관계를 중심으로

        영조 한국전략경영학회 2002 전략경영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어떠한 경영환경 하에서 기업가적 전략이 적합한지, 그리고 기업가적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어떠한 조직구조가 적합한지 실증분석하고 있다. 48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기업가적 전략에 대한 구성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혁신·진취적 성향(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과 위험감수 성향(risk-taking propensity)의 두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기업가적 전략과 재무성과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환경역동성이 높은 경우 혁신·진취적 전략이 보수적 전략보다 더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가설에서 예측한 것과 정반대로 혁신·진취적 전략을 추진하는 기업의 경우 분권적 구조보다 집권적 구조를 갖는 것이 더 높은 수익성과 성장성을 보이고 있고, 반대로 보수적 전략을 추진하는 기업의 경우 분권적 구조가 오히려 더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dynamism and centralized struc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 Korean listed companies. Factor analysis show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two different dimensions: 'innovativeness/proactiveness' and 'risk-taking propensity.' The findings indicate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In dynamic environments, innovative/proactive orien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OI. Contrary to the hypothesis, however, innovative/proactive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OI and sales growth of centralized organizations and a negative effect on those of decentralized organization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then discussed.

      • 경기도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오픈 플랫폼 전략

        영조,김군수,송승현,한영숙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최근 정보통신산업이나 인터넷기반기술 등에서 불고 있는 개방과 공유의 패러다임은 사회 전반으로 퍼지고 있으며, 정부, 공공, 민간 등 많은 분야에서는 이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여기며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경우 정부 3.0을 통해 소통·협력을 강화하고 개방·공유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도 공공데이터를 도민과 공유하고 민간 활용을 촉진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정부 출연연의 경우 1,100여건의 특허를 중견·중소기업에게 공개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민간기업의 경우도 기업이 가진 특허를 공개하여 선순환의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산업의 확장을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방과 공유의 전략을 추진하는 방법으로 오픈 플랫폼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플랫폼 전략은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관점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정보통신기술발전에 따라 오프라인 플랫폼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급격하게 이동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에도 웹 중심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비즈니스 플랫폼은 전략적으로 플랫폼의 참여자들을 공급자 측면과 수요자 측면으로 구분하는 양면시장 전략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양쪽 측면에 대해 운영전략이나 수익모델을 적용함에 있어서 차별화된 방법을 사용한다. 플랫폼 전략은 태생적으로 플랫폼의 확장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공급자와 수요자가 자연스럽게 상생하는 공정한 생태계 구축을 큰 목표로 한다. 공공에서 주도하는 플랫폼은 몇 가지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공 분야에서 정책, 사업, 조직 등에 대해 플랫폼을 구축하려 할 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가장 일반적인 한계로는 플랫폼에 참여하는 공급자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정도로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또 다른 한계는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규모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공급자로 참여하는 경우 공급자의 예산은 한정되어 있어 수요가 증가한다고 해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늘릴 수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결국 공공의 플랫폼은 태생적으로 확장의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경기도 연구개발사업 플랫폼의 경우도 앞에서 언급한 공공 플랫폼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구개발사업 플랫폼은 연구개발사업을 기획‧제공하는 공급자와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수요자로 양 측면을 구분할 수 있다. 공급자는 주로 연구개발사업 예산을 지원하는 경기도와 중앙정부이며 수요자는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주체인 기업, 연구소, 대학 등이라 할 수 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나 경기테크노파크와 같은 연구개발사업 전담기관은 플랫폼의 운영자 역할을 한다. 과학기술과 같은 경기도 주무 부서에서는 일부 연구개발사업을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이들도 플랫폼 운영자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기도 연구개발사업 플랫폼은 공급자가 제한된 멀티 플랫폼이라 규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공공플랫폼의 개념과 한계를 이해하고 오픈 플랫폼이 갖는 세 가지 특성을 고려하여 경기도 연구개발사업 플랫폼의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세 가지 특성으로는 플랫폼 정보의 공유, 참여자에 의한 플랫폼 정보 생성, 플랫폼 참여자 확대를 들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경기도 연구개발사업 플랫폼이 활성화되기 위해 제공해야 할 플랫폼서비스를 사용자 측면, 고객 측면, 파트너 측면에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경기도 연구개발사업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행해왔던 현재의 연구개발사업 관리방식을 부정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현재의 방법을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는 효율화의 과정으로 접근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사업전담기관 간의 업무배분, 플랫폼서비스의 공동이용, 지속적인 플랫폼서비스 개발 등이 플랫폼 운영기관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 Recently, a new paradigm of openness and sharing has been spreading to the whole society in Korea. A lot of public or private sectors regard the paradigm as a key means of creating new values and start to make use of it strategical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s to spread the openness and sharing culture throughout the country.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is also interested in sharing its public data with citizens and creating new values. A lot of public or private corporations have disclosed their patents in order to grow the industry and make robust business ecosystem. Platform strategy is usually a business strategy. It is moving from offline to onlin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Recently, the online platform strategy is mainly based on mobile rather than web. Business platform commonly makes use of two-sided market strategy, which divides its participants into two sides, supply side and demand side. The platform intentionally does not treat the two sides equally. Platform strategy is essentially expansion-oriented and it aims to create a fair ecosystem where suppliers and demanders grow together. Therefore, careful approaches are required when building a platform for policies, programs or organizations in public sectors. Public-driven platforms have a couple of structural problems. The first one is that the platform has limited suppliers, who are mainly governments. The next one is that the supply of the goods or services from the suppliers is not easy to increase because governments usually have limited budget in most cases. In short, public-driven platforms have limitation to expansion. Gyeonggi R&D platform also has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platform as mentioned earlier. This platform has two-sides, suppliers who plan to provide R&D programs and demanders who conduct research on the R&D programs. Th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usually make a role of the suppliers in the R&D platform.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are the demanders. The R&D management institutes like GSTEP and GTP make a role of the platform operator. The science&technology division in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can be also a platform operator because it substantially manages several R&D programs. Therefore, the Gyeonggi R&D platform can be defined as a multi-platform with limited supplier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building procedure of the Gyeonggi R&D platform considering the three features of open platform. The features are as follows: sharing of data in the platform, creating data in the platform by participants and no limitation to participants. Platform services are also suggested to develop Gyeonggi R&D platform in terms of three participants.

      • 원형 비강진 1예

        영조,박홍표,정병수,최규철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2

        Pityriasis rotunda is an uncommon cutaneous disorder consisting of asymptomatic, strikingly circular, scaly lesions on the trunk and extremities, with the histologic appearance of ichthyosis vulgaris. A case of pityriasis rotunda in a 35-year-old woman in whom no diagnosable disorder could be demonstrated i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