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합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초등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 A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at an Elementary School

        오인수 서울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2003 學生生活硏究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 활동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합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한국의 초등학교에 적용해 보고 그 적용 가능성과 한계점 및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종합 학교상담'에 관한 모델 3가지를 소개하였으며 그 중에서 가장 종합적이며 최근의 이론인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국가 모델'(미국상담교사협회, 2002)에 기초하여 종합 학교상담의 특징을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국가모델'은 학교상담을 기초제체와 수행체제, 그리고 관리체제와 책임체제의 4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본 연구자는 본교에서 실시한 다양한 학교상담 활동을 이 4가지 영역에 맞추어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학교 상담활동의 기반이 되는 기초체제와 상담활동의 실제적 내용이 되는 수행체제에 대한 다양한 적용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교육과정의 학년별 프로그램안을 제시하였고 개별학생 계획을 위한 두 가지 심리검사의 적용사례를 소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가 실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5개를 소개하였고 그 중 4개의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상담활동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돕는 관리체제의 예로 상담교육과정 실행계획과 자료 활용을 소개하였고 전체적인 학교상담의 효과를 위한 책임체제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또한 종합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한국의 교육 현장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생기는 제한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학교 상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학교상담이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학교 상담의 이론적 틀을 살펴보고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to a Korean elementary school ' it has been applied widely in American elementary schools. This is also a study to find some possibilities and limits, and to suggest alternative proposals. Three models on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were introduced. This study choice, a 'national Model for School Counseling program' which is the most recent and comprehensive model out of these three models to explain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The 'National Model' is composed of four elements, which are Foundation, Delivery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Accountability. This Study tried to explain a variety of school counseling programs, which were applied by the researcher in terms of the four elements of the 'National Model'. In this study, various applications in Foundation and Delivery system were introduced, for example,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a counseling curriculum were suggested in different programs based on a counseling curriculum were suggested in different grade levels, and two psychological tests were suggested for individual student planning. In particular, five group counseling programs were suggested and four of them were analyz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In addition, an action plan of school counseling program and the use of data were suggested for a Management system and Accountability. This study came up with some alternative proposals to overcome expected problems and limit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to a Korean school. As seen above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in terms of the 'national Model', and to show a variety of applications of the school counseling programs. I expec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ing in Korea for the future.

      • KCI등재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개념도 분석

        오인수,반지윤,김현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 of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during early entrance and to reveal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ch percep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semi-structure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leven first-grade homeroom teachers with significant field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ceptual analysis, sixty-one conceptual statements were derived on school adjustment during early admission, and thirty-eight key statements were finalized after the agreement of the three researchers. The confirmed statements were conducted a classification method of similarity for twenty-six people. Following this,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in the stated orde. Results: Finally,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including six clusters (adaptation in the environment vs. internal control, adaptation in the group vs. individual adaptation) was derived. The final clusters are specifically about acclimatizing to the environment and routine of an elementary school that is different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cluster 1), overcoming anxiety and fear in unfamiliar situations and maint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cluster 2), and cultivating basic learning abilities and basic lifestyle habits (cluster 3), concentrating attention and controlling impulsiveness(cluster 4), getting along well with friends and being considerate (cluster 5), and living safely by following school rules (cluster 6).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d the core concept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school adjustment during early admission of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experiencing ecological transfer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e elementary education, has garnered attent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를 밝히고 그러한 인식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현장 경험이 풍부한 1학년 담임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초점집단 면담을 수행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61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출한 후 연구진 3인의 합의를 거쳐 38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26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를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 중요도와 수행도 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6개의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환경 적응 vs, 내적 조절, 집단 적응vs 개인 적응)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 군집은 구체적으로, 유아교육 기관과는 다른 초등학교의 환경과 일과에 익숙해지기(군집1), 낯선 상황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이겨내고 심리적 안정감 유지하기(군집2,) 기초학습 능력 및 기본생활습관 기르기(군집3), 주의집중하고 충동성을 조절하기(군집4),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며 배려하기(군집5), 학교 규칙을 지키며 안전하게 생활하기(군집6)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초등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의 입학 초기 부적응에 대한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관련 요소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또래관계 질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오인수,박미정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empathy, peer relationship quality,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elf-efficacy play a sequential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empathy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completed by 55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ounggi are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 quality,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elf-efficacy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empathy ability on school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mpathy,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hen seeking intervention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to improve students’ adjustment in terms of their empathy,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elf-efficacy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