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아현미의 싹 길이에 따른 품질변화

        세관,이 정희,원 용재,이 동현,김 정곤 한국작물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9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properties including amylose, alkali digestion value (ADV), texture and GABA (Gamma Amino-Butyric Acid) of brown rice and 1~5 mm germinated brown rice of Keunnun and Samkwang culitvars. The protein content of germinated brown rice showed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shoot length,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mylose content of all samples ranged from 15.0% to 16.0% in Keunnun and 17.0% to 18.0% in Samkwang,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regular brown rice, germinated brown rice from both cultivars demonstrated reduced gel consistency, which contributed to the improved cooked rice texture. Especially, germinated brown rice had significantly lower setback values, which is correlated with high palatability of cooked ri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l consistency between 1 mm and 2~5 mm germinated brown rice. GABA content in Keunnun increased by 3~5 times after germination process. In Samkwang, GABA content increased by 50 times (from 0.005 μg/g to 0.243~0.247 μg/g) after germination. The hardness of germinated brown ri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rown ri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according to shoot length. Consequently, when processing germinate brown rice, it is recommended to maximize functional ingredients by germination while maintaining shoot length less than 2 mm.

      • KCI등재

        북한 핵무장에 대비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대응전략

        세관 ( Song Se-gwan ) 조선대학교 동북아문제연구소 2017 동북아연구 Vol.32 No.1

        본 논문은 북한의 핵 무장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대남도발에 대비한 우리의 군사적 대응이라는 틀 속에서 한국 군대의 군사전략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논문이다. 북한 김정은 정권은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제재와 압박 속에서도 5차에 걸친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의 소형화ㆍ표준화와 핵물질 보유량 확대로 핵능력을 고도화하면서 각종 미사일 및 SLBM 시험발사와 잠수함 건조 등 핵 투발수단 다변화와 능력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작년에 개최된 제7차 당 대회에서 핵보유국임을 천명하고 “핵무력·경제병진 노선”을 항구적 전략으로 채택하여 스스로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화 했다. 이러한 북한의 일련의 행보를 분석해 볼 때 북한 김정은 정권은 핵무기를 절대 포기하지 않고 핵무력을 더욱 강화하여 대남전략에 적극적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북한 핵 문제의 당사국으로서 국제사회와 연계하여 유엔(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와 2321호를 성실히 이행하여 경제제재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의 ‘최대 압박과 개입(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의 대북정책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는 등 한반도 비핵화 노력을 성과 있게 추진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외교적 노력과 병행하여 우리 군은 핵을 무장한 김정은 정권의 새로운 대남도발 형태에 대비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대응전략으로 군사전략을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연구 결과 한반도에서도 북한 김정은 정권의 핵무장으로 상호확증파괴(MAD, Mutually Assured Destruction)의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이 유지된 가운데 재래식 무기를 사용한 강력한 국지도발 성격의 제한전쟁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비한 군사전략 발전방안으로 첫째, 평시 및 북한 김정은 정권의 핵사용 징후 포착 시사전에 핵무기의 제거 및 사용을 저지하는 “공세적 거부 억제전략”과 둘째, 핵무기를 보유한 북한 김정은 정권이 정치·군사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발할 수 있는 국지도발 형태의 제한전쟁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목표 신속 확보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military strategy of South Korean military in preparation for a new type of North Korea's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as North Korea has been armed with nuclear weapons. Under the consecutive sanction and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n Kim Jeong-un regime has proceeded nuclear tests 5 times to downsize and standardize nuclear weapons, and increase the holdings of nuclear materials, which is needed to advance the capacity of nuclear weapons, diversifying the deliveries of nuclear weapons such as various types of missiles, SLBM test launching, and nuclear submarine. In addition, the regime declared last year to be a nuclear power at the 7th Party Congress and adopted “Policy Line Paralleling Nuclear Force and Economy" as permanent strategy and took its status of nuclear power as fact. When analyzing the series of these moves by North Korea, it is expected that Kim Jeong-un regime will never give up nuclear weapons and rather reinforce nuclear military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more actively as means of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Accordingly, we have to develop a military strategy in preparation for a new type of North Korea's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as North Korea has been armed with nuclear weapons. This study found out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led by Kim Jeong-un starts a limited war, focusing on strong local provocation with conventional weaponry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error of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MAD) by arming itself with nuclear weapons. Therefore, plans to develop our military strateg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Offensive Rejective Deterrence Strategy' that aims to remove nuclear weapons and nullify the use in advance in the peacetime and when North Korean's use of nuclear weapon is detected. Second, it is 'The Strategy of Quickly Securing Strategic Goal' in preparation for limited wars of local provocation that Kim Jeong-un regime, holding nuclear weapons, is expected to attempt to accomplish its political and military goals.

      • KCI등재

        듀럼밀 三染色體植物의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 반응

        세관 한국자원식물학회 199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1 No.3

        Test plants with 10 days old primary leaves were indouclated by shaking infected seedlings with sporulating colonies over them in an inoculation room under the conditions of 20$\pm$1 $^{\circ}C$ with constant illumination of 2.500 lux and 100% realtive humidity. A seeding reaction of 4 days after inoculation appreared in the trisomic types as opposed to Tri-5B line had been symtoms of a fungus 3 days after inoculation. The infection types of 8 days after inoculation were recognized with higher susceptibility to each trisomics in A genomie than B-genome. Tri-2A line showed less condium and there appeared symptoms of a conditions of mottle and formed papilla, and haustorium was not formed. However, Tri-5B line had much condium one overall leaves and showed a symtom like necrosis compared with normal plant. Moreover, Tri-5B line showed high sensitivity and high germination number of condium. These results inferred that resistant gene located on 2A chromosome and susceptibility gene is located on the chromosome 5B.

      • KCI등재

        한국의 바람직한 국방개혁 방향 연구: 동북아 군비경쟁을 중심으로

        세관 ( Segwan S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동북아 주요 국가들의 군비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바람직한 한국의 국방개혁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동북아에서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경쟁적인 군비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관련 국가들의 국가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현실이다. 미국은 국제사회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국에 대한 경제적, 외교적, 군사적 압박을 가하고, 중국은 경제력과 군사력의 증강을 통해서 동북아 질서를 재편하려 하고 있다. 그 결과 미국과 중국, 일본, 남·북한을 비롯한 동북아 국가들의 갈등은 군비경쟁이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표출되고 있어서 동북아의 지속적인 평화유지가 한계점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 연구는 군비경쟁과 국방개혁이라는 이론적 틀 속에서 국내외 다양한 자료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한국이 동북아의 중심국가로서 국가이익을 수호하고 북한의 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국방개혁 방향을 첨단화·과학화된 기술집약형 군대인 ‘전환적, 선진 스마트 강군 육성’으로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rable national defense reform of Korea to respond the arms race of lead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he USA and China hit their stride in their arms race in Northeast Asia, leading conflicts of involved countries to their interests and to the new world order. Consequently, the conflict of Northeast Asia between USA and China and Japan including South and North Korea turns up the negative arms race, reaching uppermost limit for lasting peace of Northeast Asi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suggested ‘Transitional, Advanced Smart and Strong Armed Force’ as a national defense reform against the North Korea’s threat and for protecting the national interest of South Korea as a centered country in Northeast Asia by analysing a variety of material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arms race and defense reform.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저항성 콩 유전자원 탐색

        세관,백인열,황필성,강성택,서득용,박금룡 한국작물학회 2007 한국작물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는 효율적인 콩 노린재 검정방법을 개발하고 저항성 유전자원 선발하여 콩 노린재 저항성 품종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에 보존되고 있는 콩 유전자원 298자원을 공시하여 2001~2004 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 1년차에 298개의 유전자원에 대하여 노린재 피해율을 조사하였더니, 40%정도의 피해율을 나타낸 품종이 가장 많았고, 10%이하로 피해율이 낮은 품종도 10개정도 선발되었다. 2. 전년도에 피해율이 비교적 낮은 102개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2년차 선발을 수행한 결과, 12품종에서 10%미만의 낮은 노린재 피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대부분은20~30% 의 피해율이었다. 3. 아울러 효율적인 노린재검정방법을 개발하고자 일품검정콩을 공시하여 콩 생육단계별 노린재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협비대기보다 종실비대기에서 노린재 피해협율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R6에서 35.5%로 노린재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4. 협피해율에 따른 저항성 유전자원을 선발한 결과는 Peking이 10.3%로 가장 낮았고, 소록콩, 황색준저리 및 소백나물콩 순서로 낮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종실에서도 유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소립종이 대립종에 비하여 저항성 정도가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5. 또한 노린재 기피반응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Peking과 소록콩을 별도로 시험한 결과, R5시기에서는 Peking이 10.0% 및 소록콩이 14.2%의 피해율을 보였지만, R5.5시기를 넘어가면서 피해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콩 내부 조직적으로 노린재의 접근을 저지시키는 성분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6. 상기의 결과로부터 소록콩, 소백나물콩, Peking 및 황색준저리 등 4개의 저항성 유전자원은 금후 노린재에 대한 내충성 콩 품종개발을 위한 육종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3.25±0.98, benzoyl peroxide는 0.68±1.13 , chlorhexidine은 3.14±0.55 , 키토산-benzoyl peroxide은 0.48±0.56 , 키토산-chlorhexidine은 2.55±0.88CFU/ml 로 각각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1). 0.1% 키토산 단독보다는 소량의 benzoyl peroxide 또는 chlorhexidine을 혼합용액의 항균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0.1%키토산은 S. intermedius에 대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개의 화농성 농피증의 국소제제로 적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한 천연식품으로서 우울증, 불안증 등의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용 의약품 개발과 기능성 식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all fescue 23%, Kentucky bluegrass 6%, perennial ryegrass 8%) 및 white clover 23%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초종과 파종비율에 따른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x102 mg/m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effective test method by soybean stink bug and to screen resistant genetic resources against soybean stink bug. The damage pod rate by stink bug showed 40% of most soybean varieties and was selected about 10% low of 10 varieties by 298 variety and degree in soybean at first year Stink bug damage rate research for 102 varieties that stink bug damage rate lowed at first year showed 10% low of 12 varieties and from 20% to 30% of the other varieties. So testing material is "Ilpumgeumjeongkong" to develop for effective test method soybean stink bug and result for stink bug damage rate research of according to growth stage showed rapidly high more full seed than full pod. Full seed stage (R6) was highest to 35.5% for stink bug damage rate. Result of resistant genetic resources selection according to stink bug damage pod rate was lowed of best to 10.3% for "Peking, Sorogkong, Hwangsaegjunjeari and Sobaeknamulkong" in the order. Also, stink bug damage seed rate was similar too. So "Peking, Sorogkong, Hwangsaegjunjeari and Sobaeknamulkong" were thought resistant variety against stink bug. Additional study carried out with "Peking and Sorogkong" so that concretely investigate about stink bug's refuse reaction. This result showed 10.0% for Peking and 14.2% for Sorogkong at R6 stage. But, damage pod rate was rapidly lowed.

      • SCOPUSKCI등재

        무균포장밥 가공 적합품종 주안벼의 식미특성

        세관(서평자),김대중(Dae-Jung Kim),천아름(AReum Cheun),윤미라(Mi-Ra Yoon),홍하철(Ha-Cheol Hong),최임수(Im-Soo Choi),오예진(Yea-Jin Oh),오기백(Ki-Back Oh),김연규(Yeon-Kyu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6

        무균포장밥 등 가공밥용 기존 원료곡인 추청벼와 고시히까리에 비하여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고 식미관련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 육성 주요 품종에 대한 원료곡의 이화학 성분, 취반특성, 물리적 특성 및 호화 점도 등을 분석한 결과, 밥맛을 판정하는 기준인 단백질 함량은 건물중을 기준으로 고시히까리가 7.13%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주안벼는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되어진 원료곡의 취반시 점도 및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밀로스 함량은 17.9-19.6%의 수준으로서 주안벼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일품벼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oyo 윤기치는 대체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었는데 주안벼가 87.4의 윤기치로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원료곡 쌀의 경도(hardness)는 주안벼가 4,399 g/sec로서 기타 품종에 비하여 작은 압력에도 잘 부서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호화점도(RVA)에 의한 쌀의 강하점도(break down)는 주안벼 110.9, 고시히까리 110.3으로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점도(final viscosity)는 주안벼는 224.1으로 고시히까리 223.5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밥의 노화와 관련이 깊고 최종점도와 최고점도의 차이인 치반점도(setback)의 경우에서도 주안벼가 -23.7로서 호화가 잘 되고 취반미의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식은밥 품질이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진 고시히까리와 매우 유사한 호화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취반 특성 분석결과에서도 주안벼는 고시히까리와 마찬가지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취반미의 흡수율이 좋아 짧은 시간에 취반할 수 있는 가공 적성을 나타내어 가공밥용으로 우수한 품종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균포장밥의 식미 평가에서는 식미 총평에서 나타내었듯이 더운밥일 경우 대비품종인 추청벼의 -0.02에 비하여 밥맛이 좋다고 알려진 일품벼가 식미총평이 0.56으로서 가장 높았으나, 기타 품종에 비하여 노화가 빠르게 진전되어 식은밥 식미총평은 0.15로 저하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더운밥 식미총평 0.51를 나타낸 주안벼는 밥이 식으면서 밥맛이 향상되어 식은밥 식미총평이 0.69로서 높아졌으며, 대비 품종인 추청벼 0.02보다도 월등히 높았고 고시히까리 0.51을 포함하여 다른 품종에 비하여 밥맛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주안벼는 쌀의 품질이 우수하고 취반특성 및 호화특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입증되어 무균포장밥을 비슷한 가공밥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veral varieties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including Juanbyeo. Quality evaluations, such as by amylose, setback, toyo values and amylogra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Juanbyeo as compared to other samples. In addition, the Juanbyeo aseptic-packeged cooked ri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and had a greater water absorption ratio than the other samples. For cold cooked rice, the relationship between palatability and texture was significantly high (p<0.01). Ilpumbyeo showed high scores for taste as a hot cooked rice, but as a cold cooked rice taste scores were lower than other samples. In the case of Juanbyeo cold cooked rice flavor was improved. When the Juanbyeo aseptic-packaged cooked rice was reheated in a microwave oven, it had better palatability than other varietie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Juanbyeo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septic-packaged cooked ri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AAD 배치와 한중관계 발전 방향

        세관(Song, Se-gwa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2

        본 논문은 주한미군의 THAAD 배치로 마찰을 빚고 있는 한중관계를 종합분석하고 전망하여 한반도 비핵화 실현에 도움이 되고 동아시아 평화를 지속하기 위한 바람직한 한중관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중관계의 현주소, 북한의 핵 위협, 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반발과 경제보복 실태로 범주화한 후 중국의 인식과 정책 노선을 분석하여 우리의 전략적 고민과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THAAD 배치 이후 중국 외교부의 발표 및 논평 내용과 경제보복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북한 핵 위협과 THAAD 배치를 둘러싼 미중간의 갈등 요인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주한미군의 THAAD 배치 논란의 중심에는 북한 핵 고도화와 동아시아에서 미중간의 패권 경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은 향후에도 THAAD 배치 반대, 자국민의 한국여행 제한, 그리고 경제보복을 일정 기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전략사고와 실용적인 대중국 외교정책 대안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desirable Korea-China relations that is helpful to the realiz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an sustain the peace in East Asia by integrating, analyzing and prospecting Korean-Chinese relations that are controversial due to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USFK. For this, we suggested our strategic concerns and countermeasures after categoriz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China relations,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China’s resistance to the deployment of THAAD and economic retaliation, and analyzed China’s perceptions and policy lines. The study mainly analyzed the presentations and commentar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hina after the deployment of THAAD and the reality of economic retaliation, and evaluated the conflict factor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over the nuclear threat and the deployment of THAA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center of the THAAD deployment controversy of the USFK lie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advanced and the hegemony competition between USA and China in East Asia. China is expected to continue its opposition to the deployment of THAAD, restrictions on its travel to Korea, and economic retal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face this, our strategic thinking and rational foreign policy alternatives planning toward China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