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포머의 수화팽창에 관한 연구

        박경진,김종수,권순원 大韓小兒齒科學會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1

        컴포머는 산성화된 이증 기능성 레진 단량체와 fluoro-alumino-silicate 글라스 입자로 구성되어 초기에는 복합레진과 같이 광원에 의해 중합되며 이차적으로 구강내 수분을 흡수하면서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유사한 산-염기 반응으로 중합되고 이의 결과로 물성의 저하없이 지속적으로 불소를 유리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물분자를 흡수하여 수화됨에 따라 서서히 팽창하여 광중합시의 수축을 보상하고 미세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확립되어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소아치과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있는 컴포머를 대상으로 초기의 중합수축에 의한 미세누출이 수화 팽창에 의해 감소되는지 여부를 복합레진과 비교하기 위하여 5급 와동의 교합면측과 치은면측의 미세누출양을 1일과 30일 후에 측정한 결과 30일 후 컴포머의 치은면측에서 현저히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Compomer, like resin composite, undergoes shrinkage during settin. But, due to the structure of glass ionomers and their hydrophilic nature, water sorption and subsequent expansion may lead to compensation of the shrink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microleakage after 30day-water-storage of compomer and composite resin. 40 sound third molars were used for the microleakage test. Z-100 resin was used for the control groups(Group Ⅰ and Ⅲ). Dyract AP for the experimental group (Group Ⅱ and Ⅳ). The storage time was 1 day in Group Ⅰ, Ⅱ and 30days in Group Ⅲ, Ⅳ. The result from th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microleakage of occlusal margin between each group(P>0.05). 2. In microleakage of gingival margin,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between group Ⅰ and Ⅱ, and between group Ⅰ and Ⅲ(P>0.05). 3. Group Ⅳ was showed less micoleakage than group Ⅱ and group Ⅲ in gingival margin(p<0.05).

      • 중․고 골프선수의 지도자 리더십유형이 선수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백병주,김순희 용인대학교 국제스포츠과학연구원 체육과학연구소 2008 體育科學硏究論叢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type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golf coaches on the player's maturity by establishing a hypothetical casuality model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methods and the data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results from analysis of leadership styl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middle school golf player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variables. Second, results from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dership styl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high school golf player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ining instructions, dictatorial training, and positive feedback accordant with sex. There were als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raining instructions accordant with the hours of training time per day, and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feedback accordant with the number of training per week. Third, results from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player's maturit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middle school golf player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turity of exercise performance accordant only with the player's golf career. Fourth,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players' maturit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high school golf players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aturity accordant with sex, and in the maturity of exercise performance, accordant with school years, and in the maturity of exercise performance, accordant with golf career, and in both the maturity of exercise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maturity, accordant with the hours of training time per day, and in psychological maturity, accordant with the number of training per week. Fifth,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democratic coaching style and dictatorial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maturity of exercise performance among sub variables of leadership types of middle school golf instructors, and that positive feedbac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psychological maturity. Sixth,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variables indicated that training instruction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turity of exercise performance among the sub variables of leadership types of high school golf coaches, and that positive feedback affected psychological maturit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shion.

      • KCI등재

        Clozapine 투여후 발생한 급성 간염

        장순주,이호택,백주희,이상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Clozapine 투여 후에 급성 간염이 발생했던 두 명의 환자에 대한 증례로, 두 명 모두 이전에 약물에 이한 간염이 발생한 과거력이 있었던 환자로서 무증사의 급성 간염이 발생한 후에 보존적 치료 후에 호전 되었다. 간염이 발생한 후에 간효소수치에 대해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면서, 사용하고 있던 clozapine의 용량을 낮춘 후 간장제를 투여함으로써 간효소수치는 정상화되었다. Clozapine과 비교하면 clozapine은 간세포의 cytochrome P450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고 chlorpromazine은 간내 담즙저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약물에 의한 간염을 경험한 환자는 clozapine에 의해 유도된 감염에 보다 취약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이전의 간 기능 이상을 경험했거나 물질 사용 장애 등의 병발이 있을 경우 정기적인 간기능 평가가 임상적으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uthors report two cases of clzapine-induced acute hepatitis. Two patients developed asymptomatic hepatitis and got better with conservative care. We decreased the dosage of clozapine and added hepatic protections, resulting in normalized laboratory findings. The authors also reviewed side effects of clozapine in this report. We reviewed the suggested mechanism of either clozapine or chlorpromazine-induced hepatitis. clozapine influences the liver cell via cytochrome P 450 and chlorpromazine does so via mild cholestasis. There may be a possibility that a patient who has experienced drug-induced hepatitis is vulnerable to clozapine-induced acute hepatitis. In this respect, those who have experienced drug-induced hepatitis must be observed more closely.

      • 熱펌프의 性能 特性에 관한 實驗

        金鐘喆,鄭淳宰,白耳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大學院論文集 Vol.19 No.-

        Nowadays, resource crisis has come to the front of the world. So it is necessary for all countries to conserve and develope energy. Heat Pump Systems were designed for the purpose of upgrading the utility of energy. Especially the heat pump systems which originated from the basic conception of Carnot and Faraday in 1824 are recently highlighted for the use of heat from waste hot water or steam. Thses experimantal studies, of Heat Pump is possible to predict that input temperature of hat water and cooling water significantly affects temperature boost and COP. The COP of heat pump decreases with the decrease in the source water temperature and with the increase in the hat water temperature and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ource water flow rate and hot water flow rate. And the local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profiles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Results of the simulation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 SCISCIESCOPUS
      • KCI등재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백진순(Paek Jin-Soon)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The term of Yoga has very significant practical meanings in Mind-Only school. In this school, Yoga in a broad sense means the correspondence(相應), both of buddhist theories with practices and of practices with those fruits. And Yoga in a narrow sense means ?amatha-vipa?yan?(止觀) which is the best way to the truth of Mind-Only, exactly the philosophical meditation. In this study, we especially give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philosophical meditation and the logical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s of Buddha can be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s to realize the truth. It is very suggestive to us, whereas Zen school takes too exclusive attitude toward the scriptures. The ascetics in practicing yoga consistently meditate on linguistic insight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is only fictitious constructions produced by consciousness. In result, they disjoin the word from its meaning and remove the world of words of which the external reality we believe in.

      • KCI등재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지평에서 본 타인의 마음 : 법상종(法相宗)의 해석을 중심으로

        백진순(Paek, Jin-soon)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6 No.-

        이 글은 ‘유식무경(唯識無境)’이라는 교의를 고수했던 중국 법상종의 입장에서 ‘타인의 마음(他心)’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타심지(他心智)’의 문제를 다루었다. 타심지는 일반적으로 타인의 마음의 존재를 확인하는 중요한 통로로 간주되지만, ‘유식’에 동의하지 않는 외인들에게는 일종의 약점으로 인식되었다. 왜냐하면 ‘타인의 마음을 아는 지식’이 성립한다는 사실 자체가 또 다른 외경(=타인의 마음)을 긍정하는 논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법상학자들은 타심지란 타인의 마음 자체가 아니라 자기 마음에 나타난 그것의 영상을 아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유식’의 교의를 정당화한다. 또 그들은 논의를 더 밀고 나아가 ‘유식의 밀의(密意)’에 의거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냈다. 이 밀의에서는 ‘식’이란 그와 분리되지 않는 모든 것[諸法]을 뜻하기 때문에, 타인의 마음도 타인이 향유하는 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전환된다. 그에 따르면, 자타의 식이 각기 개별적인 것이고 또한 서로에게 완전히 알려지지도 않는다 해도, 중생들의 공통된 업에서 비롯된 공통된 종자(共相種子) 가 개별적인 아뢰야식들이 전변해낸 세계들 간의 근본적 유사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각각의 아뢰야식의 세계는 소통과 공존이 가능한 세계로 나타난다. 이런 세계에서는 타자의 식은 나의 식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외적인 실체가 아니라, 나의 식의 전변 활동에 대해 ‘협력하거나(能順) 협력받는(所順)’ 증상연(增上緣)으로 간주된다. 이런 의미에서 타인의 식이 존재한다고 해도 ‘유식’의 교의와는 어긋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다. In this treatise, I tried to consider the meanings of other minds(他心) in the Fa-hsiang school(法相宗) which adheres to the doctrine, Mere-consciousness and No external-object(唯識無境). To do this, I first examined the problem of the knowledge of other minds(他心智), which is regarded not only as the important path to ascertain the existence of other minds by most Buddhist scholars but also as the fatal flaw by the objectors against Mere-consciousness(唯識). To the objection that the knowledge of other minds is the proof of being the external object, or another external spiritual entity separated from its consciousness, the Fa-hsiang school answers that we perceive only the image(影像) of another person’s mind, not the mind itself. Moreover, in the secret meanings(密意) of ?layavij??na(阿賴耶識), they conclude as follows: The consciousness as ?layavij??na means all dharma-s(諸法) which are produced by it and so not separated from it, and in this sense other minds mean the whole worlds experienced by them. Though the ?layavij??na of each sentient being is individual and is not known perfectly by another, it originally communicates with another. The seeming external world, which the consciousness of each sentient being respectively transforms itself into, bears a similarity to another’s world, because it is produced by the force of the maturing of the common-b?ja-s(共相種子) which derive from the common karma-s(共業) in one’s past life. And other minds as ?layavij??na always coexist, not as the external object, but as ‘the condition qua contributory agent(增上緣)’ which assists and follows in ‘the transformation of my consciousness’ in its own distinct manner. In this sense, other minds are relative to mine, and the ‘Mere-consciousness’ doctrine is maintained.

      • KCI우수등재

        '몸'의 밀의(密意)ㆍ불가지성(不可知性)에 대한 법상종의 해석

        백진숙(Jin-Soon Paek)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6

        이 글은 중국 법상종의 ‘유식(唯識)’의 교의 안에서 육체로서의 몸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한 것이다. 옴의 밀의(密意)는 일체종자식(=아뢰야식)이리는 불가지(不可知)한 식과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우선 가장 기본 관점은 이 식을 몸에 깃든 생명의 원리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식은 모태 안에 원형의 몸이 생기는 순간 몸에 깃들어 그것을 물리적으로 유지시키고[執受] 확장시킨다. 그런데 하나의 몸이 인식작용과 인식대상의 관계에서 다루어질 때, 자기 식에 현현된 자기의 몸[自身]과 타인의 몸[他身] 간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드러난다. 육체의 특정은 무엇보다 ‘감각 기능을 가진 몸[有根身]’이라는 것이다. 자기의 아뢰야식은 이러한 감각 기능을 가진 자기의 몸을 감각적 직관의 형태로 받아들이고 다시 그 몸을 토대로 세계 안에서 자기의 안위(安危)를 감지한다. 그러나 자기 식은 타인의 몸에 대해 그럴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자기 식에 나타난 자기 몸’은 그 실질적 감각 작용을 통해 자기 식에 직접적으로 알려지지만, ‘자기 식에 나타난 타인의 몸’은 타인뿐만 아니라 자기에게도 알려진 공통의 영상[共相] 즉 하나의 객관적 표상에 불과하다. In this treatise, I tried to reveal the secret meanings of the physical body in chinese Mere-Consciousness(唯識) buddhism called as Fa-hsiang school. To do this, I examined their commentaries on the sentence which is the b?ja-s and the body with its sense-organs is held and received by consciousness. The sentence plays a decisive role in our task because it is full of suggestions to the physical body. On the one hand, it means that the seed-consciousness holds the b?ja-s and the body with sense-organs from the birth to the death, and increases physically the matters of the body until it grows fully. On the other, it means that the storehouse-consciousness or ?layavijn?na perceives the physical body as its one object by a special kind of intuition and holds the b?ja-s as its another. As regards the body which is divided the sense faculties and their supporting physical body, the ?layavijn?na depends on it for support to feel the state of oneself. From here, the discuss on the two objects changes to that on the body of oneself and of other. The body of oneself which appears in ?layavijn?na of oneself is actual physical body of oneself (or sense faculties and their supporting physical body), but the body of other which appears in ?layavijn?na of oneself is the image of their supporting physical body of other. In other word, the former is actual body because he knows that it works, but the latter is only a image which is useless to him.

      • KCI등재

        식품분말 진동선별기 개선을 위한 구조물 효율 분석

        박인순 ( In Soon Park ),나은수 ( En Soo Na ),장동순 ( Dong Soon Jang ),백영수 ( Young Soo Paek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2

        식품 산업 가공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진동 선별기(twist screen)의 구조를 변경하고 그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 공급 시 스크린 외곽의 프레임을 따라 선별되지 못하고 빠지는 입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레임에 dam을 설치하였으며, 스크린중앙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진동에 의하여 중앙에서 외곽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입자층을 이루어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나선형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진동 선별기는 직경 1,200 mm와 직경 1,500 mm를 사용하였으며 스크린은 mesh 24이고 선경 0.12mm인 표준망을 적용하였고 진동 모터는 60 Hz로 운전하였으며 자기진동 이송기는 주파수 게이지 8과 10으로 각각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진동 선별기 직경 1,200mm인 경우 일반형은 처리 용량 24 kg/hr, 처리 분율은 4.72%이었고 스크린 프레임에 dam을 설치하고 스크린에 나선형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에는 처리용량이 22.8kg/hr, 처리 분율 8.05%이었다. 구조물의 설치로 처리 용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처리 분율은 1.7배 증가하여 선별 효율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동 선별기 직경 1,500mm의 경우 일반형의 처리 용량은 43.32kg/hr으로 직경 1,200mm인 경우와 비교하여 처리용량은 1.8배 증가하였으나 처리 분율은 2.37%로 처리용량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처리 1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스크린에 의하여 선별될 세립의 입자가 비선별 처리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스크린의 직경이 넓어져서 처리 용량이 증가하였으나 공급 속도를 높여 공급량이 많아지므로 입자들의 망 접촉 시간이 감소하고 입자의 층 현상이 심화되어 처리 효율이 감소하고 세립의 입자 선별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별기 직경 1,500mm에 screen frame dam을 설치한 경우 처리 용량 43.14kg/hr로 일반형과 비슷하며 처리 분율은 3.25%로 매우 증가되었다. 입자들의 층현상이 심화된 Φ1500에서 스크린의 프레임에 dam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프레임으로 빠져나가 망에 체류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방지되며 프레임을 따라 입자층이 형성되어 스크린과 접촉이 불가능하였던 입자들이 dam에 의하여 스크린 안쪽에서 이동되므로 거의 동일한 처리 용량에서도 처리 효율 증가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고 할 수 있다. Screen frame dam과 나선형 구조물을 모두 설치한 경우 처리 용량은 39.04kg/hr로 다소 감소되었으나 처리 분율은 6.77%로 직경 1,500mm의 진동 스크린에서 일반형 구조시보다 3배, frame dam만 설치된 경우보다 2배의 증가를 보였다. 비선별 처리물인 처리 1의 시료를 입도분석한 결과 선별 처리되지 못한 세립의 입자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frame dam을 설치하여도 입자들이 빠르게 휩쓸려 스크린의 외곽으로 이동하여 망과 접촉 시간이 단축되며 층을 이루어 입자간의 간섭에 의해 선별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나선형 구조물에 의하여 방지함으로써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입자층을 분산시켜 선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나선형 구조물 설치시 처리 용량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나 처리 분율이 3배까지 차이를 나타나며 이는 공급 속도가 빠를수록 처리 용량이 많을수록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e food process, twist screen is widely used to divide particles on the basis of size. As screen equipped in the twist screen perfoms an important part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chanism, the contact area of screen and particles, retention time of particles on the screen, mesh and string thickness of screen and the flow pattern of particles on the screen are major points of the separation efficiency. To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increase the retention time and control the flow pattern of particles, screen frame dam and spiral blockage are installed on the sieve of twist screen Φ 1200 and Φ 1500. Twist screen Φ 1500 with frame dam treated similar separation capacity, 37% higher separation ratio and less non-separated particles of product output 1 than general twist screen. Twist screens with frame dam and spiral blockage showed less treatment capacity, three times higher division ratio and entire separation than general twist screen.

      • KCI우수등재

        『成唯識論』의 假說(upacāra)에 대한 연구

        백진순(Jin-Soon Paek)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6 No.-

        『성유식론』의 핵심 사상은 유식무경(唯識無境)으로 압축된다. 이 문구는 흔히 외부 실재를 부정하고 모든 것을 의식의 자기 전개로 환원시키는 일종의 관념론의 표방으로 받아들여진다. 그것은 이 논서를 주로 식의 전변(轉變)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해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국 주석가들의 문헌을 검토해 보면 유식무경의 종지를 둘러싸고 의미론적 논쟁이 개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미론의 일차적인 과제는 말과 그 지시물 간의 대응 관계를 따져보는 것이다. 강력한 실재론자들은 어떤 이름에 해당하는 외부 실재가 반드시 존재하며 세계가 그대로 말의 ‘의미’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유식학자들은 이름의 대상으로서의 외부 실재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이름은 모두 가명(假名) 혹은 가설(假說)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주석가 규기(窺基)에 따르면, 말은 의미를 드러내는 기능도 하지만 일상적으로 인간의 정(情)과 집착을 축적시키는 도구가 되기도 하는데, 어떤 경우에도 말은 그 작동 기원에서부터 근본적으로 실상(實相)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이름은 가짜 이름이다. 만약 말을 통해 실제로 알려지는 것이 있다면 그것의 정체는 공상(共相)이며, 곧 실물의 직접 지각 속에서 알려지는 특수한 자상(自相)에 의거해서 다시 관념적으로 재구성해 낸 일종의 보편상이다. 강력한 실재론적 언어 체계에서는 이 보편상들을 외부에 놓인 것으로 전제함으로써 그 말에 대한 우리의 집착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규기는 말의 의미가 외부의 진짜 사물에 의거하는 것이 아니라 관념적 구성물임을 보여주려 한다. 이와 같은 규기의 해석을 근거로 해서, 외경의 부정은 무엇보다 실재론적 언어관을 비판하는 작업과 직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