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세지방식을 이용한 3차원 그래픽환경속의 ITS 시스템

        박재영,서재현,최흥국 인제대학교 1999 仁濟論叢 Vol.15 No.1

        본 논문은 가상현실 3차원영상을 인터넷에서 응용하여 현실과 가까운 가상현실을 웹으로 생성하여 물리학적 이론이나, 모의 실험들을 직접 표현할 수 있는 ITS 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3차원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에 이용함으로써, 학생들 에게 보다 직관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어려운 이론들을 직접 3차원 그래픽으로 실제 상황과 비슷하게 경험할 수 있게하여 최대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에 가상현실 속에서 행동한 모은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에이전트에게 보내어서 학습자의 유형에 맞게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ITS using Virtual Reality. For virtual reality (VR), the content should be based on actualities to have an impact on public education, to drive the lesson plans, the pupils' experiences, and the interaction with computers in the classroom. We integrate archaeological data with advanced computer graphics techniques to further education, data analysis, vritual scientific experiment and the preserv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formation.

      • KCI등재

        부적절하게 수복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야기된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 치험례

        박주석,손흥규,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1

        이소맹출이란 영구치열의 발육 과정 중에 국소적 맹출장애로 인하여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치아의 맹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소맹출은 2∼6% 정도의 이환율을 보이고, 제1대구치에서 호발하며 주로 상악에서 많이 나타나고 하악에서는 드물다. 이소맹출의 원인은 국소적 원인으로 부적절한 치열궁 길이. 상악 후방부의 성장 부족, 제1대구치의 근심 맹출, 비정상적으로 큰 제1대구치 등이 있고, 유전적인 원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소맹출된 치아 중 66%는 가역성이므로 3∼6개월 정도의 관찰 기간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비가역성 이소맹출인 경우에는 brass wire 나 elastic separator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치료 방법, 제2유구치의 distal discing, Humphrey appliance 등과 같이 제2유규치를 유지하면서 치료하는 방법 및 제2유구치 발거 후 가철식 장치나 cervical traction headgea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하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된 남환아로 구강 검사 및 방사선 검사 결과, 4년전 개인 치과의원에서 수복된 우측 하악 제2유구의 stainless steel crown을 제거하고, Humphrey appliance를 제작하여 장착하였으며, 약 10주 후에 고착 상태가 해소되었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이소맹출은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의 수복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크기의 선택, trimming 및 contouring 등이 매우 중요하다. Ectopic eruption is out of a normal position by local eruption disturbance in the developing permanent molar. The prevalence of ectopic eruption is reported to be the between 2 and 6%, most often associated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whereas, the occurrence for the mandibular is quite rare. The etiologic factors of ectopic eruption are inadequate arch length, lack of growth i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jaw, mesially inclined eruption path of first permanent molars, abnormally large first permanent molars, hereditary factor and a stainless steel crown which has been improperly restored. Ectopic eruption can be treated by the use of brass wire, separating elastics, distal disking and Humphrey appliance and the use of removable appliance and cervical traction headgear after extraction of the second primary molar. This case was that lower right first permanent molar was mesially tilted state by locking on the stainless steel crown of a lower right second primary molar. The stainless steel crown was removed and Humphrey appliance was set. Like this case, ectopic eruption could be happened by the stainless steel crown which improperly restored. In restoration of the stainless steel crown, selection of proper size, trimming and contouring are very important.

      • KCI등재

        생리적 및 염증성 유치 치근 흡수면의 미세구조

        박윤희,손흥규,최병재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4

        유치 치근 흡수가 일어나는 경우는 임상에서 많이 접할 수 있다. 유치 치근 흡수는 나이에 따른 생리적 흡수와 치아우식증 및 외상 등으로 비정상적으로 흡수되는 염증성 흡수로 나눌 수 있다. 염증성 흡수는 그 시기와 양상이 생리적인 치근 흡수와는 다르며, 흡수기전이나 흡수면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치 치근 흡수면의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생리적 흡수면과 염증성 흡수면의 미세구조를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생리적 흡수면과 염증성 흡수면의 형태 및 인접한 세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생리적 및 염증성 흡수로 인해 발거된 유치 치근의 흡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상으로, 조직학적 형태를 광학현미경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1.주사전자현미경상에서 생리적 유치 치근 흡수 표면은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모양의 흡수소와가 관찰되었고, 염증성 흡수 표면은 크기가 작으며 형태가 다양하고 매우 불규칙한 무정형 형태의 흡수소와가 관찰되었다. 2.광학현미경상에서 생리적 유치 치근 흡수면은 흡수소와로 구성된 규칙적인 큰 흡수와가 관찰되었고, 염증성 흡수면은 불규칙한 흡수소와가 관찰되었다. 3.광학현미경상에서 생리적 유치 치근 흡수면에는 다핵거대세포가 흡수소와에 직접 접하고 있었으며, 염증성 흡수면은 간엽세포 및 염증세포가 많이 관찰되었다. 4.광학현미경상에서 염증성 치근 흡수면에서는 상아질 흡수를 보상하는 부분적인 백악질 형성이 관찰되었다. Deciduous teeth can be extracted for two reasons, one due to the physiologic resorption and the other by the inflammation at the apex after traumatic injury. Physiologic resorption may be different from pathologic resorption in timing and mechanism. Therefore we resumed the different features of physiologic and pathologic resorption root surfaces. Many previous studies showed micromorphology of resorbed surface of roots of deciduous teeth. But, few studies compared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root resorption surfaces. In this study, we carefully observed microscopic morphologies of those two different root surface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histologic features by light microscope. The resultant differences between physiologic and pathologic resorption surfaces of deciduous teeth were as follows: 1. The morphology of pathologic resorption lacunae due to inflammation varied in size and shape with irregular boundaries compared with the physiologic areas fro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2. From light microscope observations, several large resorption fossae containing numerous resorption lacunae were found, whereas the resorption lacunae were irregular in shape with pathologic resorption surface. 3. Numerous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closely attached to the physiologic resorption lacunae, whereas several kinds of mesenchymal cells with numerous inflammatory cells were found in the areas adjacent to the pathologic resorption surface. 4. Light microscope findings showed that compensating cementum formation took place along some of the areas of inflammatory dentinal resorption. In conclusion, several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between physiologic and pathologic root resorption surfaces of human deciduous teeth. The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cytochemisty to clarify the cellular roles in resorption process observations of pulpal surfaces of coronal and radicular dentin to find the changes that occur in each phase of human deciduous tooth resorption.

      • KCI등재

        작업장 특성에 따른 톨루엔 노출 근로자의 마뇨산 배출 특성

        박흥재,김형준,정성욱,이병호 한국환경과학회 200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oluene in air and hippuric acid in human urine, which is based in the results of the health check-in and measure of working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for five years. Toluene in air and hippuric acid in urine were checked 116 workers who exposed to toluene in five type of industry. The Mean concentration of toluene in air by type of industry and every year and sex distin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p<0.01) The Mean concentration of hippuric acid in urine by type of industry, every year, sex distinction, disparity of age and term of duty had positive correlation.(p<0.01)

      • KCI등재

        Nd: YAG 레이저 조사가 Clacium Fluoride 형성 및 치아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

        최병재,김성오,손흥규,이제호,박광균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2

        불소도포시 주로 형성되는 calcium fluoride는 구강내 환경에서 pH에 의해 조절되는 불소의 저장고 역할을 하여 치아우식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불소도포의 우식예방 효과는 calcium fluoride를 얼마나 많이 형성시켜 오래 지속시키는 가에 달려있다. 이에 치아 내산성 증가에 효과 있다고 알려진 Nd:YAG 레이저 조사가 calcium fluoride형성 및 치아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시행하였다. 소의 영구전치에서 276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5분, 30분 도포 및 Nd:YAG 레이저 조사에너지 밀도 20J/㎠,40J/㎠의 조건에 따라 불소 도포군, 레이저 조사군, 불소 도포후 레이저 조사군, 레이저 조사후 불소 도포군으로 분류하였다. 불소도포를 시행한 경우 이를 다시 KOH 처리 여부에 따라 나누어 23개의 실험조건을 만들었다. 각 실험조건에 12개의 시편을 배정하고 이중 10개의 시편은 불소 및 무기인 측정에, 나머지 2개의 시편은 표면 관찰에 사용하였다. KOH 비처지군에서 0.1N HCIO4로 enamel biopsy를 시행하여 탈회 법랑질의 불소농도 및 탈회깊이를 측정하였으며, KOH 처치군에서는 1 M KOH로 24시간 처리하여 calcium fluoride를 정량 후 enamel biopsy를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얻어진 자료 및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KOH 비처치군에서 탈회된 법랑질의 불소농도는 레이저조사 후 불소도포시 레이저 에너지 밀도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KOH 비처치군에서 법랑질 탈회깊이는 불소를 5분 도포후 레이저 20J/㎠를 조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레이저와 불소를 병행하여 처치시 각각을 단독으로 치치시보다 탈회깊이가 작았다 (p<0.05). 3. Calcium fluoride의 양은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유의 있게 증가하지 않았다 (p>0.05). 4. Calcium fluoride 입자는 불소만 도포한 경우에 비해 레이저 조사후 불소도포시 입자크기가 증가되었으며, 불소도포후 레이저 조사시 입자크기의 증가와 함께 일부 융합된 양상을 보였다. 5. KOH 처치군에서 법랑질의 불소농도는 불소를 30분 도포후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조군의 불소농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6.KOH 처치군에서 불소와 레이저를 병행한 경우, 불소만 도포한 경우보다 탈횐된 법랑질의 깊이가 작았다 (p<0.05). 7. KOH 비처치군에서 탈회된 법랑질의 불소농도와 탈회깊이의 상관관계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6281)는 KOH 처치군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3792)에 비해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동일한 조건으로 불소도포 및 레이저 조사를 시행한 경우에 있어서 KOH 처리 여부에 따른 탈회법랑질 깊이의 유의차가 있는 경우 calcium fluoride의 형성량이 많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레이저 조사가 calcium fluoride의 형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레이저 조사의 영향으로 calcium fluoride의 용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불소도포 및 레이저 조사의 병행은 각각을 단독으로 처치한 경우에 비하여 치아 내산성 증가면에서 유리하므로 임상에서 불소도포주기 연장과 같은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alcium fluoride. created by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is the reservoir for fluoride ion regulated by pH in the oral environment. Therefore, the amount and the maintenance of calcium fluoride have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dental ca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iton on the generation of calcium fluoride and the acid resistance of tooth enamel. The bovine anterior permanent teeth were prepared (n=276), and divided into following groups: no treatment(control), fluoride application alone, laser irradiation alone, laser irradiation after fluoride application, and fluoride application after laser irradiation. And each group was subdivided based on the application time of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5 min and 30 min) and the irradiation energy of Nd:YAG laser (20J/㎠ and 40J/㎠). In case of fluoride application, each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KOH treatment. Twenty three treatment conditions were made for this experiment and twelve specimens were assigned to each treatment condition. In each treatment condidtion, ten specimens were used for chemical analysis and two specimens were observed under SEM. In groups without treating KOH, fluoride content and the depth of enamel dissolved were measured using enamel biopsy technique. In groups with treating KOH, the amount of calcium fluoride was measured by the treatment with 1 M KOH for 24 hours and enamel biopsy was performed after KOH treat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fluoride content and the depth of enamel dissolved by enamel biopsy, amount and thickness of calcium fluoride, and the surface structures of enam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groups without treating KOH, the fluoride content of removed enamel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nergy density of laser when the laser irradiated before fluoride application. 2. In groups without treating KOH, the depth of enamel dissolved decreased more with the combined laser and fluoride treatment than with laser or fluoride treatment, except for the case of 20J/㎠ laser irradiation after 5 minute fluoride application (p<0.05). 3. The amount of calcium fluoride did not increased by laser treatmen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4. The particle size of calcium fluoride increased in case of fluoride treatment after laser irradiation, compared with fluoride application alone. In case of laser treatment after fluoride application, the particle size of calcium fluoride increased and some of the particles fused as well.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luoride content of dissolved enamel between groups without treating KOH and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case of laser irradiation after treatment of APF for 30 minutes (p>0.05). 6. In groups with treating KOH, depth of removed enamel in the groups of combined treatment with laser and fluoride was shallower than that in fluoride application groups (p<0.05). 7. In groups without treating KOH, the relationship between fluoride content and the depth of enamel dissolved showed more negativ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6281)than in groups with treating KOH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3792). The greater amount of calcium fluoride could be found in case whe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pth of enamel dissolved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treating KOH.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laser seems to be a little effects on the amount of calcium fluoride formation, but has some effect on the lowering the solubility of calicium fluoride. As the combined treatment of laser and fluoride application showed more effective acid-resistant property, more extended recall period for fluoride application can be achieved with this combined treatment in the clinic.

      • KCI등재후보

        Carbamate계 살충제에 의한 Cholinesterase활성의 저해

        김정호,박홍재,박병윤 한국환경과학회 200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1 No.4

        Carbamate 농약에 대한 cholinesterase(ChE)활성 저해 관계를 규명 하고자 in vivo와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ChE의 최적 pH는 8.0이었다. 병아리 혈장의 ChE 활성은 기질로 acetylcholin를 사용할 경우 24.6 μmol/min/g protein이었다. in vivo에서 BPMC을 0.32 mg/kg 경구 투여한 15분 후에 ChE 활성이 60% 까지 저해되었으며 그후 12시간 후에 97% 까지 회복이 일어났다. in vitro에서 효소 활성이 50%로 저해되는데 필요한 농도인 I_50이 Phenyl N-methylcarbamate계에 XMC는 329 ㎍/l였고, metolcarb은 214 ㎍/l였다. BPMC는 111 ㎍/l, propoxur는 107 ㎍/l, isoprocarb는 104 ㎍/l 이었다. Aromatic N-methylcarbamate계에 속하는 carbaryl의 I_50은 280 ㎍/l이었고, carbofuran 114 ㎍/l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inhibition of the cholinesterase activity by carbamate insecticides in the chicken in vivo and in vitro. The optimum pH of cholinesterase was 8.0. The cholinesterase activity used the acetylcholin as substrate in plasma was 24.6 μmol/min/g protein. After oral administration with 0.32 mg/kg of BPMC as carbamate pesticide, the cholinesterase activity was inhibited to 60% of control after 15min in vivo. Then the recovery of cholinesterase activity followed to 97% of control after 12hr. I_50, such as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inhibition of enzyme activity, of phenyl N-methylcarbamate were 329 ㎍/l of XMC, 214 ㎍/l of metolcarb, 111 ㎍/l of BPMC, 107 ㎍/l of propoxur and 104 ㎍/l of isoprocarb. I_50 of aromatic N-methylcarbamate were 280 ㎍/l of carbaryl and 114 ㎍/l carbofuran.

      • KCI등재후보

        환경 독성 Peptide의 인지질과의 상호 작용 특성 분석

        이봉헌,박홍재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1

        The interaction of mastoparan B, a cationic tetradecapeptide amide from the hornet Vespa basalis, with phosphilipid bilayers was with synthetic mastoparan B and its analogue with instead of hydrophobic 12th amino acid residue in mastoparan B. MP-B and its derivative, [12-Ala]MP-B were synthesized by the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method. MP-B and analogue, [12-Ala]MP-B adopted an unordered structure in buff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neutral and acidic liposomes, the peptides took an α-helical structure. The two peptides interacted with neutral and acidic lipid bilay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drophobic α-helix of MP-B critically affected biological and helical content.

      • KCI등재후보

        다공성 활성탄의 표면 개질 및 이산화티탄 고정

        주창식,박흥재,정갑섭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9

        For the purpose of surveying any possibility of anchoring titanium dioxide on activated carbons to promote their activities as catalysts and/or adsorbents, two activated carbons were oxidized with ammonium peroxydisulfate and followed by anchoring titanium dioxide. The anchoring of titanium dioxide on the oxidized activated carbons were performed via the adsorption of tetrabutyltitanate, hydrolysis with deionized water, and calcination. The effect of oxidizing and anchoring treatment on the surface element composition, surface area, and pore texture were analyzed by XPS, BET and TPD. The oxidation of activated carbons with ammonium peroxydisulfate introduced carboxyl groups on the surface of activated carbons and these carboxyl groups promoted the anchoring of titanium oxide on the activated carbons. However, the treatments affected the surface area and the porosity of activated carbons.

      • 급ㆍ배기구 위치변화에 따른 실내의 기류변화에 관한 연구

        한용수,정성욱,박흥재 인제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 1999 자연과학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 대기질의 조절과 관리에 필요한 환기 시스템을 디자인하는데 사용되는 실험 데이터의 산출에 있다. 단순화된 모형실에서의 급기와 배기구의 위치에 따른 기류변화의 분포가 구해진다.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achieve experiment data used for design of ventilation systems necessary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Distribution of flow pattern according to supply and exhaust outlets in a simplified model chamber was evaluated.

      • Bis(triphenylphosphine) copper(1) tetrahydroborate에 의한 4-Bromophenyacetylchloride의 환원반응

        조성동,김두화,박정환,김인경,조재흥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1 自然科學硏究 Vol.14 No.1

        4-Bromophenylacetylchroride was reduced to 4-bromophenylacetaldehyde in good yield by bis(triphenylhosphine) copper(1) tetrahydrobo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