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on Interaction with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adult attachment that child care teachers have formed are associated with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in their correl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287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 and this researcher has reached following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empathic abilit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found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empathic abilit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on interaction with children, adult attachment types are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at interaction. When they perceived adult attachment types, anxiety and avoidance, less, they tended to perceive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ith children mor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pathic ability on interaction with children, empathic ability wa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at interaction. When child care teachers perceive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more, they tended to perceive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ith children more.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in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partly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it, and in the sobel test, too,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has been verifi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adult attachment that child care teachers have formed are associated with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in their correlation. A survey was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adult attachment that child care teachers have formed are associated with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in their correl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287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 and this researcher has reached following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empathic abilit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found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empathic abilit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on interaction with children, adult attachment types are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at interaction. When they perceived adult attachment types, anxiety and avoidance, less, they tended to perceive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ith children mor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pathic ability on interaction with children, empathic ability wa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at interaction. When child care teachers perceive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more, they tended to perceive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ith children more.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in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type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partly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it, and in the sobel test, too,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has been ver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형성하고 있는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 공감능력, 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성인애착유형과 공감능력, 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인애착유형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유형인 불안, 회피차원을 낮게 지각할수록 유아와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인지공감, 정서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와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test에서도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보육교사의 초기 애착재형성 및 재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공감능력 증진과 관련하여 보육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형성하고 있는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형성하고 있는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 공감능력, 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성인애착유형과 공감능력, 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인애착유형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유형인 불안, 회피차원을 낮게 지각할수록 유아와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인지공감, 정서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와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test에서도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보육교사의 초기 애착재형성 및 재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공감능력 증진과 관련하여 보육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순,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 교사의 공감능력 및 학생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이선미,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감능력, 정서상태, 직무만족도 차이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이주연,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7-36, 2019

      4 이윤주, "중학교 교사의 애착유형과 직무효율성과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서유현,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6 이선민, "유아교사의 자존감과 성인애착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정윤정,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인간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손은정,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9 권경아, "영아반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안선희, "영아 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 48 (48): 87-97, 2010

      11 오진숙, "영아 보육교사의 신념과 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2 정다우리,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1) : 49-70, 2013

      13 강병재,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45-168, 2013

      14 장휘숙, "애착과 정신증의 관계에서 자기관련적 변인의 중재역할" 11 (11): 110-121, 1998

      15 최두란,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6 서주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17 김하니,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8 허혜경,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質)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4) : 21-41, 2010

      19 전재은,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전문성 인식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20 이나영,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9) : 341-359, 2014

      21 박노영,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7

      22 김명희,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3 최연정,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4 방다영,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직무소진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25 최은정, "멘토링이 영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교사 인식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4

      26 황경옥, "대학생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22 : 135-156, 2001

      27 이정숙,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2003

      28 양소영,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9 최승숙, "교사 소진과 효능감이 교사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0 박영숙,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1 박성희, "공감, 공감적 이해" 원미사 1994

      32 Bernan, W. H.,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dult attachment" The Guilford Press 3-28, 1994

      33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atistical conciderations" 51 : 1137-1182, 1986

      34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5" Prentice Hall 1998

      35 West, M., "An approach to the delineation of adult attachment : Scale development and reliability" 175 : 738-741, 1987

      36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