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태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 치료가 우울한 청소년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5
2 김순자, "현실요법을 적용한 대학생의 집단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39-52, 2009
3 김설환,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189-204, 2010
4 신민섭, "한국판 BECK 우울 척도의 분할점과 분류 오류" 12 (12): 71-81, 1993
5 곽진숙, "학생들이 인지한 학습성과 달성도와 학점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0 (10): 34-59, 2007
6 김춘경, "통합적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103-125, 2006
7 김민정, "취업준비생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이 무망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신고은, "청소년의 무망감과 학업성취 및 무망감 우울 증상과의 관계 :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형득, "집단상담활동 프로그램집" 집단상담활동프로그램집 간행위원회 1998
10 조민아, "집단상담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4
11 이형득, "집단상담의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79
12 이정아,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무망감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13 김미희,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23-37, 2007
14 신선영,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적 통제성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45-170, 2009
15 김남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16 임인순,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경험과 대처방식이 우울, 무망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7 육병구, "자아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이미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0
19 이지선,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0 강희숙,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43-58, 2009
21 김옥진,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635-653, 2007
22 김수진, "자각중심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원호택, "인간관계와 적응" 서울대 출판부 1999
24 이헌석,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2, 2009
25 김희영, "용서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용서 정도와 분노,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분산형 집단상담과 집중형 집단상담의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347-366, 2004
26 김종운,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생 건전 음주습관 형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17 (17): 153-168, 2004
27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28 공수자,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21-40, 2006
29 Rogers C R., "엔카운트그룹" 도서출판 한국인성개발 1992
30 최은실, "애착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1 민형덕, "셀프코칭 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희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2011
32 서현숙, "사회적 기술 훈련 중심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남자대학생의 분노수준, 분노조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33 양명희,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4 박희석,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 우울집단의 우울, 사회지지, 자존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5 (5): 93-115, 2002
35 정혜경, "사랑증진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36 박경애, "비구조화된 REBT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23-134, 2010
37 주현정,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관계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중학교 1학년‘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단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51-65, 2010
38 조성연, "발표불안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673-691, 2003
39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8
40 이황은, "또래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41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15-237, 2003
42 이숙정,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589-607, 2008
43 이윤경,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성격,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4 박승민,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경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7-45, 2007
45 추상엽,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와 문제중심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309-332, 2010
46 강희순,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41-155, 2010
47 권석만, "대학생의 대인관계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모형" 30 : 38-6, 1995
48 조혜정, "대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연구----학부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5 (15): 353-362, 2006
49 廉英美, "대학생을 위한 낙관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0 조용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고찰- 봉사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9 (9): 2002
51 엄혜정, "대학생 이성커플의 관계성장 위한 Satir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1-39, 2007
52 이정숙, "대학생 분노조절을 위한 통합적 집단상담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31-154, 2010
53 김동원,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개관" 한국상담학회 5 (5): 1035-1049, 2004
54 김수지,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53-366, 2005
55 조호경, "대상관계 이론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지각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6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621-636, 2002
57 김춘옥,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8 서윤주,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295-313, 2010
59 고정자, "기혼남성의 무망감에 미치는 관련변인의 영향력"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21, 2007
60 오오현,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1
61 박찬빈,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62 유은영,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경향이 있는 청소년의 행복감, 낙관성, 무망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63 곽은정,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긍정적인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釜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64 최애숙, "고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경험이 우울, 무망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5 최문정, "감수성훈련이 대인관계 증진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6 河亨鎭, "集團相談類型의 自己實現에 미치는 效果의 비교" 嶺南大學校 大學院 1989
67 White, J. L., "The troubled adolescent" Pergamon Press 1989
68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 663-671, 1982
69 Parlee, M. B., "The friendship bond" 113 : 43-54, 1979
70 Conley, C. S., "The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interview: J. of Abn" 29 : 445-463, 2001
71 Lazarus, R.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72 Heisel, M. J., "Social hopelessness and college student suicide ideation" 7 (7): 221-234, 2003
73 Bandura, A., "Social foundation soft hought and acti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86
74 Brent, D. A., "Psychopatholigy and its relationship to suicidal ide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ts" 25 : 666-673, 1986
75 Kilmann, P. R., "Marathon versus weekly encounter group treatment on self actualization: two year later" 78 (78): 483-488, 1978
76 Thomas, S., "Marathon group therapy: potential for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nd beyond" 30 (30): 145-157, 2005
77 Trower, P.,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 Clinical Problem: A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Routledge 1991
78 Yalom I, D., "Inpatient group psychotherapy" Basic Book 1983
79 金貞子, "Goethe의 여인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975
80 Foulds, M. L., "Effect of gestalt marathon workshop on measured self-actualization" 23 : 60-65, 1976
81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 David Mckay 1972
82 Hankin, B. L.,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ce to young" 107 : 128-140, 1998
83 Beck, A. 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Harper & Row 1967
84 Bandura, A., "Cultivating competancem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ought proximal self-motivation" 41 : 586-598, 1981
85 Miller, M. F., "Childhood, experience antecedents of career maturity attitudes" 27 : 137-143, 1979
86 Erikson, E.,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87 유영달, "2010년도 신라대 재학생 대학생활 만족도 조사연구" 30 : 79-186, 2010
88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