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영향 요인

        이정교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345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 toward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s well as their moral sensitivity and biomedical ethical awareness vis-à-vis their role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ICU nurses' role perception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Methods :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CU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moral sensitivity, and biomedical ethical awareness on their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working in the ICU of an advanced general hospital in I City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3 to 21, 2023. Of 150 copie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14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41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erform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participants'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the mean age was 29.03±6.60 years and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26∼29 years (53 persons, 37.6%), and the most common sex was female (115 persons, 81.6%).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the highest academic qualification was undergraduate or higher (116 persons, 82.3%), and the most common marital status was unmarried (114 persons, 80.9%). The most common religion was non-religious (86 persons, 61.6%), and total work experience was most frequently 1∼3 years (55 persons, 39.0%). For experience working in the ICU,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1∼3 years (63 persons, 44.7%), and the most common department was emergency ICU (42 persons, 28.8%). The most common job title was registered nurse (137 persons, 97.2%). Second, Participants scored 15.44±2.28 for knowledge about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3.45±0.36 for attitude toward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5.09±0.45 for moral sensitivity, 3.00±0.24 for biomedical ethical awareness, and 3.99±0.43 for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ird, Among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F=3.24, p=.024), marital status (t=-2.40, p=.018), and total work experience (F=4.02, p=.004). Fourth, Among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experience working in the ICU (F=2.79, p=.043). Fifth, Among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moral sensi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otal work experience (F=2.52, p=.044). Sixth, Among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biomedical ethical awarenes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otal work history (F=2.51, p=.045) and experience working in the ICU (F=2.86, p=.040). Seventh, The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Eighth, The correlation of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ith knowledge and attitudes, moral sensitivity, biomedical ethical awareness,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ole perception (r=.25, p=.003), role perception also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ral sensitivity (r=.38, p<.001) and biomedical ethical awareness (r=.17, p=.050). Nin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ttitudes (β=.25, p=.001) and moral sensitivity (β=.36, p<.001)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variables.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effect was moral sensitivity, accounting for 19.8% of the variance in role perception. Conclusion : This study identified attitudes toward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moral sensitivity as predictive variables influencing the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to improve role percep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iverse efforts will be required, including improving attitudes and moral sensitivity and providing specialized education. 목적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과 태도,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이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과 태도,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이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I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에 동의하고 설문조사에 임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6월 13일부터 2023년 6월 21일까지였고, 15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144부를 회수하였고 14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 관련 특성에서 연령은 평균 29.03±6.60세로 26세∼29세가 53명(3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여자가 115명(81.6%)으로 많았다. 최종 학력은 학사 이상이 116명(82.3%)으로 많았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이 114명(80.9%)으로 많았다. 종교는 무교가 86명(61.6%)으로 가장 많았고, 총 근무경력은 1년 이상∼3년 미만이 55명(39.0%)이 가장 많았다. 중환자실 경력 또한 1년 이상∼3년 미만이 63명(44.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부서는 응급중환자실이 36명(25.5%)으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37명(97.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은 15.44±2.28점이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3.45±0.36점이며, 도덕적 민감성은 5.09±0.45점,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3.00±0.24점,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은 3.99±0.43점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의 차이는 연령(F=3.24, p=.024), 결혼 상태(t=-2.40, p=.018), 총 근무경력(F=4.02, 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중환자실 경력(F=2.79,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도덕적 민감성의 차이는 총 근무경력(F=2.52, p=.04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차이는 총 근무경력(F=2.51, p=.045), 중환자실 경력(F=2.86, p=.04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덟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과 태도,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 윤리의식,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의 상관관계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r=.25, p=.00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은 도덕적 민감성(r=.38, p<.001), 생명의료 윤리의식(r=.17, p=.050)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홉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측 변인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β=.25, p=.001)와 도덕적 민감성(β=.36, p<.001)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도덕적 민감성이었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19.8%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와 도덕적 민감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향상과 특성화된 교육 제공 등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 (The) effec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on healthcare expenditure and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cancer patients

        김세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9

        서론: 암환자의 의료비는 진단 전 급격히 증가했다가 진단 후 감소했다가 죽음에 가까워 지면서 다시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의료이용 역시 사망 마지막 한 달 동안 증가한다. 이에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거부할 수 있는 환자의 권리가 논의됐고,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말기 환자와 임종 직전의 환자는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관하여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암으로 사망한 환자의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 의료비 지출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된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암환자 중 연명의료계획서 작성군과 비작성군을1:1 성향점수매칭기법을 사용하여 총 23,494명의 대상자를 산출해냈다. 작성군과 비작성군의 사망 전 의료비와 의료이용을 사망 전 30일, 60일, 90일의 3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명의료계획서 작성 여부가 의료비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화선형모델을 사용하였다. 암종과 따라 하위그룹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 23,494명 중 작성군과 비작성군은 각각 11,747명이었다. 30일 이상 생존한 그룹이 11,301명, 60일 이상 생존한 그룹이 5,173명, 90일 이상 생존한 그룹이 3,005명이었다. 비작성군에 비해 작성군의 총의료비는 사망 30일 (EXP(ß): 0.81, 95% CI: 0.78-0.85), 60일 (EXP(ß): 0.90, 95% CI: 0.90-0.99)에서 적었다. 4가지 연명의료에서 중 CPR과 항암치료가 비작성군에 비해 작성군의 의료비가 적었다. 그러나 호스피스 비용과 이용은 비작성군에 비해 작성군에서 더 높은 EXP(ß)을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 사망 전 30일 동안 의료비와 의료이용을 감소 시킨다는 분석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호스피스의 이용 및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 의료비와 의료이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위해 의료진, 환자 및 보호자를 교육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The medical costs of cancer treatment increase rapidly before diagnosis, decrease after diagnosis, following which they increase again rapidly, towards the end of life. Healthcare utilization also increases in the last months of life. The rights of patie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have been discussed, and the law to opt for our life-sustaining treatment have also been established. Terminally ill patients at the final stage of life choose to have in writing their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LSTP) to determine their end-of-life care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on healthcare expenditure and utilization among patients who died from cancer.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B, colle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f Korea, between 2018 and 2020. We included 23,494 participants who died from cancer after their propensity score matched a 1:1 ratio. Between the LSTP and control groups, healthcare expenditure and utilization were analyzed for the following three spans of time: 30 days, 60 days, and 90 days before death. The effect of LSTP on healthcare expenditure and utilization was examined by a regression analysis with a generalized linear model. Subgroup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ancer type. Results: Among the 23,494 participants, 11,747 were in the LSTP group and 11,747 were in the control group. 11,301 (LSTP group: 5,740, control: 5,561), 5,173 (LSTP group: 2,680, control: 2,493), 3,005 (LSTP group: 1,567, control: 1,438) were alive for more than 30 days, 60 days, and 90 day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STP group had a lower EXP(ß) of 0.81 and 0.94 of total cost in the last 30 days of life (95% CI: 0.78-0.85) and in the last 60 days of life (95% CI: 0.90-0.99). Among the four life-sustaining treatments, CPR and chemotherapy cost and utilization were lower in the LST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LSTP group had a higher EXP(ß) of hospice cost and use in the last 30, 60, and 90 days of lif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LSTP reduced healthcare expenditure and utilization in the last 30 days of life. However, we found an increase in the cost and use of hospice. As LSTP can reduce some healthcare expenditures and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promote the medical staff,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o prepare relevant LSTPs.

      • Impac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o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at the end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ancer

        강수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34303

        서론: 환자가 생애말연명의료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가 논의되어 자신의 생애말 연명의료결정을 보정하는 법이 2018년 발효되었다. 말기 환자와 임종단계에 있는 환자는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여 생애말연명의료 유보 및 중단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생애말기에 의료비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이 연구는 연명의료계획 사망 전 30일 동안의 의료비 지출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된 국민건강보험공단 맞춤형 자료를 사용했다. 이 연구는 2018년에서 2020년 사이에 사망한 암 환자 268,410명을 대상으로.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은 2018~2020년의 'IA71-3' 건강보험청구부호를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마지막 30일 동안의 의료비 및 의료이용에는 전체 의료이용, 입원, 집중치료실, 연명의료, 마취 진통제, 입원일수를 고려하였다. 생애말 의료비 및 의료이용에 대한 연명의료계획의 효과는 감마 및 음이항 분포를 가진 일반화 선형 모델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인구의 9.2%는 연명의료계획을 완료한 작성군이다 (작성군: 24,753명, 비교군: 243,544명). 연명의료계획 작성군이 비교군에 비하여 사망 전 30일의 총 의료비(EXP(β) = 0.85, p-value = <.0001) 및 입원비(EXP(β) = 0.87, p-value = <.0001)가 감소하였다.연명의료계획의 의사결정자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가족의 의사에 따라 작성한 경우 총 의료비(EXP(β) = 0.71, p-value = <.0001)와 입원비 (EXP(β) = 0.73 p-value = <.0001)가 가장 두드러지게 감소하였다. 연명의료계획 작성 후 이행여부에 따라서는 유사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연명의료계획이 생애 마지막 30일 동안의 의료비와 의료이용을 감소시켰다. 연명의료계획은 연명의료와 관련된 비용과 의료이용을 감소시키고, 호스피스와 마약성 진통제의 비용과 지출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연명의료계획이 환자의 결정에 따라 불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줄여 생애말 치료에 대한 환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재정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e rights of patie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LST) have been discussed, and the law allowing the choice to opt out of LST has been established.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ose at the end stage of life have the option to write a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LST plan) to determine their end-of-life (EOL) treatment. We use healthcare claim data and hypothesize that reductions in healthcare expenditures among patients who suspend LST at EOL might be the result indicator of a well-operated LST decision system observing their rights. Because healthcare expenditures increase at the EO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ST plan o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for the last 30 days of life. Methods: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NHIS-NHID) from 2002 to 2020. The study sample includes 268,410 patients with cancer who died between 2018 and 2020. An LST plan is defined using “IA71-3” claim codes between 2018 and 2020. Healthcare expenditures and utilization for the last 30 days of life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total healthcare, hospitalization, ICU, LST, narcotic painkiller, and length of stay.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LST plan o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was performed using a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gamma and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s. Results: Of study participants, 9.2% represents the intervention group comprised of patients who completed an LST plan (intervention: 24,753; control: 243,544). The results show that having an LST plan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lower total healthcare (EXP(β) = 0.85, p-value = <.0001) and hospitalization (EXP(β) = 0.87, p-value = <.0001) expenditures. A family-determined LST plan shows a salient reduction in total (EXP(β) = 0.71, p-value = <.0001) and hospitalization (EXP(β) = 0.73, p-value = <.0001) expenditures. Similar decreases in total and hospitalization expenditures occur when implementing of an LST plan.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an LST plan i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healthcare expenditures and utilization in the last 30 days of life. An LST plan also leads to decreases in expenditures and utilization related to LST and increases in hospice and narcotic painkiller. The findings suggest that LST plans, when chosen by patients, may reduce opted-out medical services helping to relieve financial burdens at EOL to the same degree that they did if they decide to opt out to observe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reduction in healthcare utilization related to the withdrawal of the LST plan at EOL, which might help redistribute the resources to better observed self-determination rights.

      •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대한 연구 : 한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김보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012

        대부분의 중환자실에서는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의료윤리적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K기업에 근무하는 일반인 112명이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점수 평균은 3.64점으로(5점척도) 소극적으로 연명치료중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세브란스병원 사례와 김수환 추기경 사례에 대해서는 83.9%가 연명치료를 중단해야 한다고 답했고 보라매병원 사례에 대해서는 65.2%가 연명치료를 지속해야 한다고 답했다. 환자의 회복가능성과 사전의사 제시 여부로 판단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72.3%은 사전의사결정서가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의사결정시 가족에 대한 의존도는 93.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73.2%는 병원윤리위원회가, 70.5%는 국가차원의 의료윤리심의위원회가, 81.3%는 존엄사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사회적 공감대와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사전의사결정서와 연명치료중단 지침, 존엄사법을 제도화해서 임상에서의 윤리적 갈등을 풀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존엄사법은 현재 갈등 상황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박연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185195

        본 연구는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가족의 경험을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원 소재 1개 대학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주치의가 환자의 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여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가족(주간호제공자)이다. 자료수집은 2002년 8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심층면접 방법으로 하였고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6개의 주제와 39개의 경험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명치료 중단 결정 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은 연명치료 중단 결정 시기와 연명치료 중단 결정 후로 범주화 되었다. 2. 연명치료 중단 결정시기의 경험에서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요인, 결정과정, 결정 참여자가 주제로 도출되었고, 연명치료 중단 결정 후의 경험에서는 치료의 내용, 죽음수용, 예측된 상실반응의 주제가 나타났다. 3. 연명치료 중단 결정요인은 회복 가능성, 고령, 고통경감, 신체 손상, 의식수준, 부담감, 주변의견, 가족의 과거 경험, 환자 본인의 평소 희원이었다. 4. 연명치료 중단 결정과정은, 모두 의사가 먼저 권유하고 이를 가족이 합의하여 수용하였다. 5. 연명치료 중단결정 참여자는 의사와 가족, 친지들로 나타났고, 가족합의 과정에서 환자는 제외되었다. 간호사도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치료의 내용에서는 치료중단 자체에 대한 갈등, 고통경감과 생명단축 사이에서의 갈등, 계속되는 연명치료에 대한 분노, 병원에서의 기본간호에 대해서도 분노, 계속되는 치료를 거부하지 못함이란 경험내용이 나타났다. 7. 치료중단 전후 처치 변화는 없었고, 치료결정에 의사 외에 다른 의료진의 참여나 환자, 가족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죽음수용에서는 죽음을 받아들이기까지의 준비기간 필요, 환자 자신이 죽음을 임박했음을 알고 있다고 생각, 환자 자신이 삶의 마무리를 잘 하기 바람, 환자에게 임종준비를 시키지 못함에 대한 죄책감, 고통없이 가기를 바람, 깨끗하게 가기를 바람, 모든 것을 다 소진함, 임종을 위해 가족이 모두 모임, 병원환경 및 면회제도에 대한 바람, 장례준비, 최선을 다 했다는 자기위안, 임종을 위한 의료진의 지지 필요의 경험내용이 나타났다. 9. 예측된 상실반응에서는 예상되는 이별로 인한 초조함, 자식을 앞세운다는 한탄, 환자의 치료 불이행 태도를 원망, 환자에 대한 연민, 자신의 처지 한탄, 지나온 생활을 회고함의 주제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기환자의 가족은 회복가능성이 없음을 주된 이유로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하고, 의사가 권유한 것을 가족이 수용하는 형태이나 환자는 배제한 채 가족이 결정하였다. 연명치료 중단 결정 전후 치료내용의 변화는 없었고 가족들은 치료의 진행상황을 알지 못한 채 모든 의사결정을 의료진에게 맡기고 있었다. 연명치료를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나 이를 거부하지 못해 분노하고 갈등하고 있었으며 심지어는 기본 간호도 무의미한 치료로 생각하고 있었다. 가족들은 환자의 죽음을 수용하고는 환자 자신도 죽음이 임박했음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환자와 함께 죽음을 준비하지는 못하였다. 그로 인해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죽어간다는 말을 하지 못하고, 환자 스스로 죽음을 준비하고 존엄을 지키고 죽어가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가족들은 의료진의 지지와 환자와 가족이 함께 있을 수 있는 임종실과 면회제도를 원하였다. 환자의 죽음을 수용한 후 가족들은 초조함, 한탄, 원망, 죄책감, 자기연민, 회한, 회고 등의 예측된 상실반응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요인, 결정과정, 결정 참여자, 치료의 내용에 대하여 잘 알고 의료팀간에, 환자 및 가족간에 의사소통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들은 고통완화, 고령, 신체손상을 근거로 연명치료 중단을 조장, 방조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하되, 환자가 존엄을 지키고 삶에 대한 정리를 하고 죽어갈 수 있도록 하는 옹호자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간호사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시기가 예측된 상실반응이 나타날 수 있는 시기라는 이해를 통해 간호중재를 하여야 하며, 죽음에 대해 환자와 가족이 함께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가 인간의 존엄성과 위엄을 갖추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임종실이나 가족실을 운영하고, 말기환자의 무의미한 치료에 드는 비용을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말기환자의 치료의 범위, 치료 중단의 범위 등을 환자, 가족과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윤리지침이 만들어지고, 법적 보장 위에서 연명치료 중단 규정이나 윤리위원회 등이 운영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experiences of family members regarding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hen patients are terminally ill. The exploratory method was employ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family members of patients, who decided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patients had been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uwon and the physician had determined that further treatment was no longer meaningf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August 2002 to May 2003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6 themes and 39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of family members regard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categorized in two phases. One was dur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other was after treatment had been withdrawn. 2. From the experiences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themes, reason for decision, process of decision and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 were derived, and after treatment was withdrawn, the themes were type of treatment, acceptance of death and reaction to anticipated loss. 3. The main factors for making a decision to withdraw treatment were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recovery, advanced age, alleviation of pain, wasting of the body, consciousness, burden, recommendation, past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and desire of patients. 4. The decision-making process was initially recommended by physicians followed by agreement and acceptance of family members. 5. The participan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ere found to be physicians,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Patients were excluded and nurses did not participate. 6. For treatment, themes included conflict about the withdrawal itself, conflict between alleviation of pain and shortening of life, anger against continuous life-sustaining treatment, anger against standard care in the hospital, being unable to refuse continuous treatment. 7. It was found that after treatment was withdrawn, there were no changes in treatment, no participation of other medical staff and no reflection on opinions of family members in decisions concerning treatment. 8. In acceptance of death, the following were found: need for time to admit to possibility of death, thinking that the patients themselves were aware of being close to death, hoping that the patients themselves were prepared for their rest of lives, regret for not giving the patients a chance to prepare themselves for death, desire for patient to die with no pain, desire for patient to die with dignity, thinking that all treatment had been tried, all family members being present at death, asking for better hospital environment and visiting systems, preparing for the funeral, self-consolation at having done the best, requirement of physicians' assistance at death. 9. In reaction to anticipated loss, the following were found: impatience in the anticipated loss, grief for letting their children pass away in advance, regret for stopping medical treatment, compassion for the patient, regret for their position, and looking back over their past. In conclusion, the pattern in decisions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from terminally ill patients were mainly made because no possibilities of recovery were anticipated by physicians, followed by acceptance and decision by family members but with no participation by the patients themselves. Before and after withdrawing treatment, there were no changes in medical treatment and no information about phases of medical treatment. All decision-making was left to physicians. The families were angry about being unable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regarded as meaningless. Moreover they thought even standard nursing was meaningless. After admitting that death was a possibility, family members regretted that they were unable to prepare for death together with patient even though they thought the patients themselves knew death was coming soon. Nevertheless family members hoped that the patients could prepare for death by themselves and die with dignity. After acceptance of the decision, family members experienced a reaction to the anticipated loss such as impatience, sighing, grievance, guilt, self-pity, regret, and the need for reflection. With such sentiments, family members required support from physicians and required a family room where family members could stay with their patients. Therefore, nurses need to be aware of main reasons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decision-making process, participants in decision-making and the scope of medical care. They need to be central in assuring communication among medical team, patients and family members. Nurses need to monitor so that deciding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may not be promoted or assisted only for the reasons such as alleviation of pain, being advanced age, and wasting of the body. And, on the other, hand nurses need to be advocates who can help dying patients settle issues in their lives and die with dignity. Nurses need to monitor nursing care, understand that a reaction to anticipated loss can show up at when the decision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is made and also enable patients and family members to talk together about death. Provision of a room for the family is required so that patients may face death with dignity. Regulations for hospice care are required so money is not used for meaningless medical treatment but in meeting the need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scope of medical treatment to be continued or withdrawn should be decided after discussion with family members. Social consensus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needs to be developed, ethical guidelines stipulated and, under the protection of law and regulations, a regulatory system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 암환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좋은 죽음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상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194

        본 연구는 암환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 죽음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파악하여 암환자의 연명의료중단 결정에 대한 자기결정 활성화를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G도의 J시 G대학병원에서 외래 또는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암환자로 2019년 9월 15일부터 2020년 3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167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은 남자 85명(50.9%), 평균 연령은 58.74세였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124명(74.3%), 종교는 있음이 107명(64.1%), 교육 정도는 고졸이 69명(41.3%), 암 진단은 혈액암이 50명(29.9%)이었고, 건강상태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80명(47.9%), 연명의료중단 논의 여부는 ‘아니오’라고 대답한 대상자가 127명(76.0%), 가족이나 친척, 가까운 지인의 연명의료중단 경험에 대한 항목에서 ‘아니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41명(84.4%),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해 ‘중병에 걸렸을 때’ 항목을 선택한 대상자가 60명(38.9%) 이었다. 2)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의 평균 평점은 0.74±0.21점 이었다. 좋은 죽음 인식의 평균 평점은 2.87±0.42점이었다. 하부영역을 살펴보면 친밀감의 평균 평점은 2.90±0.43점이었고, 통제감의 평균 평점은 2.79±0.65점이었으며, 임상증상의 평균 평점은 2.86±0.54점으로 나타났다.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평균 평점은 3.46±0.49점이었다. 3)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연명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가족과 연명의료중단 논의 여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 죽음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0%이었다(F=10.355, p<.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e affecti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and to provide the element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self-determination regarding its decision to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orm September 15. 2019 to March 30. 2020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167 patients who visited in G National University of Hospital in Gyeongnam, Republic of Korea. To evaluate the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s, the tool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by Hong & Kim (2013) and amended & supplemented by Seo(2019);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tool developed by Schwartz et al.(2003); in order to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measured by a diagnostic tool developed by Park (2000), revised by Byun (2003) and 2 questions were removed because that could put a psychological burden on Cancer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specifically,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s for cancer patients is 0.74±0.21(range 0-1) and that of Perception of Good Death is 2.87±0.42(range 1-4). of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s 3.46±0.49(range 1-5). 2)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o discus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t=3.232, p=.001). 3)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s(r=.196, p=.011), Perception of Good Death(r=.305, p<.001). 4)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f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cancer patients is Perception of Good Death(β=.273, p<001), Whether to discus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β=.195, p=.008),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s(β=.148, p=.043). The relevant variables have 16.0% influence(F=10.355, p<.001) on the rehabilitation adherence of the stroke patie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s, Perception of Good Death have an important on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s and Perception of Good Death should be developed for Cancer patients.

      •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이금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181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은 임상에서 종종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법체계는 물론이고, 사회적 합의도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를 확인하고, 사회적 합의를 얻어, 사전의사 결정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2006년 8월과 9월에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사례별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는 서울시 Y대학병원의 환자를 제외한 보호자나 방문객 38명, 병원외 일반인 83명으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만을 상대로 2006년 10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고 SPSS 12.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사례별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서 환자 의식이 있으면서, 본인이 연명치료 중단을 원하는 사례1의 경우 중단 할 수 있다는 응답이 94명(79%)이었고,의식이 혼미하고 치매인 회복 불가능한 고령의 환자인 사례2는 전체 응답자의 71명(59.7%)가 연면치료 중단을 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사례3의 경우는 전체 72명(60.5%)가 연명치료 중단을 할 수 있다고 답하여 비교적으로 사례1에서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는 비율이 높았다(표4). 그러나, 세 개의 사례 모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2. 사례별 연명치료 중단 결정의 이유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어 존엄한 죽음을 맞도록 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사례1,2,3 각각 81명(86%), 47명(66%), 42명(58%)로 다른 이유보다 가장 빈도가 높았다.3. 연명치료 여부에 관한 결정권자는 환자가 의식이 있을 때는(사례1) 환자가 결정해야 한다고 답한 경우가 76명(63%)이었고, 환자가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경우(사례2, 사례3)는 가족과 주치의가 결정해야 한다는 대답이 55명(46.2%), 56명(4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4. 사전의사 결정서가 필요하냐는 질문에 대상자의 98명(82.4%)이 ‘필요하다.’라고 했으며, 20대와 30대에서 ‘필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이 5%, 9.2%에 비해 40대이상에서는 14.3%로 다소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녀 불문하고 80%이상에서 사전의사 결정서가 ‘필요하다’ 라고 답하였다. 말기환자 간호경험에서 직접간호한 사람의 25명(92.6%)이 전혀 경험하지 않은 52명(78.8%)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사 결정서의 필요성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5. 자기 자신에게 사전의사 결정서를 작성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81명(68.1%)이 ‘예’라고 하였고, ‘잘 모르겠다.’라고 한 사람도 25명(21%)이었다. 사전의사 결정서 작성시기로는 전체의 62명(52.1%)이 말기병 진단시 작성하겠다고 응답하였고 24명(20.2%)은 임박한 죽음의 증상시에 작성하겠다고 응답하였다.6. 병원 윤리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전체의 72명(61%)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나머지 47명(39%)은 필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 윤리위원회의 빈도차는 크지 않았다.7. 병원 윤리위원회의 법적 효력에 대해서는 47명(65%)가 법적 효력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치료중단의 결정권자와 절차에 대한 정당한 법적 장치 마련시 치료 중단을 행할 것이냐는 질문에 87명(73%)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말기환자 간호경험에서는 직접간호한 사람의 85.2%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결론적으로 일반인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있었으며, 사전의사 결정서와 병원 윤리위원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법적 장치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환자의 의식이 있을때 연명치료에 대한 본인의 의사를 담은 사전의사 결정서를 제도화하고 미처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 병원 윤리위원회의 자문을 얻는 절차적인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patients in the terminal stage is often being exercised clinically, we have not set up a social agreement as well as the legal basis for this matter ye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requirement of the advanced directive form for the suspension of life expending therapy by checking out the people's attitudes to this practice, and winning the social agreement.The cases in the study were collected based upon the medical records in August and September, 2006. With regard to the people's attitudes to the case-by-case suspension of life expending therapy, the survey wasdone through the patterned questionnaire among 38 of protectors or visitors except for the patients of Y university hospital, and another 83 people besides hospital, who agreed upon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ctober, 2006. The data collected was coded, and analyzed in the manner of chi-square test of descriptive statistics with the use of SPSS 12.0 for Window program.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1. As for the people's attitudes to the case-by-cas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case 1 that the patient is conscious, and want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94(79%)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Ca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in case 2 of the aged patient diagnosed as senile dementia whose consciousness is in confusion, 71(59.7%) among the total respondents gave positive answer. In case 3, 72(60.5%) of respondents replied positively; the case 1 showed relatively high ratio of 'ca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Table 4). But in all cases of three, the attentive differences by generally characteristic were not found out.2.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help patients to face the dignitary death by relieving them from pains'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compared to other reasons; it was selected by 81(86%) of respondents in case 1, 47(66%) in case 2, and 42(58%) respectively.3. Regarding the decision-maker on whether to practice life-sustaining treatment , in case 1 that the patient is conscious, 76(63%) of respondents answered 'Patient should decide', and in case 2, 3 that the patient is not able to decide, 'Family members or doctors in charge are responsible for decision', was answered by 55(46.2%), 56(47.1%) of respondents each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The attentive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 were not found out.4. For the question on the requirement for writing a advanced directive, 98(82.4%) of respondents answered 'Required', and 'Not required' was relatively a bit higher as 14.3% in the answers of over 40s than in 20s and 30s whose ratio shower 5%, and 9.2% each. Also 'Required' was over 80% in both sexes, and 25(92.6%) among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nursing the patients in terminal stage, higher than 52(78.8%) from the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nursing. But the attentive differences about the requirement for writing a advanced directive by general characteristic were not found out.5. About the question asking whether to write advanced directive, 81(68.1%) of respondents answered 'YES', and 25(21%) of respondents responded as 'DO NOT KNOW'. With regard to the timing of writing advanced directive, 62(52.1%) among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When diagnosed as being critically ill', and 24(20.2%) answered 'At the symptom of impending death'.In conclusion, people respect the right of self-decision of patients, recognizing the requirement for writing a advanced directive, organizing ethics committee in hospital, and legal device for the suspension of life expending therapy. Accordingly, writing advanced directive, which contains the patients' opinion on the life extending therapy while they are consciou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also the procedures, which enable the patients to get help through the advice of ethics committee in hospital should even in case that it is not prepared in tim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좋은 죽음 인식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 건양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5176

        This is a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aimed at assessing the factors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good death recognition and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medical care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as the participants. 190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at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cluding K, E, D, and S Hospitals in D City and W Hospital in I City were selected by means of convenience sampling extraction and nurses therein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a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Data collected from 177 of these 190 subjec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21, 2020 to October 9, 2020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93 ±.26 points out of 4, with the highest score achieved for organ transplantation at 3.40 ±.56 and the lowest score for brain death at 2.60 ±.48 as factors in subordinate domains thereof. The average score for awareness of good death was 3.00±.47 points out of 4, with the scores of 3.21±.52, 2.76±.49, and 2.76±.49 points for closure, personal control and clinical, respectively, as factors in subordinate domains thereof. Meanwhile, the average scores for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17.18±3.37 points out of 23 and 3.62±45 points out of 5, respectively. 2.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ge, position, total work experiences, work experiences in ICU, comple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and experience of death of close family members or relatives. Scores for males for recognition of good death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scores for the degree of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ge, marital status, total work experiences and work experience in ICU. The scores for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gender with males having higher scores than females. 3. The attitude toward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medical care of ICU nurses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including the fetus’ right to life (r=-.205, p=.006), artificial insemination (r=-.149, p=.047), euthanasia (r=-.154, p=040), organ transplant (r=.204, p=.006), and human biotechnology (r=.229, p=.002). Meanwhile, attitude toward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medical car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f good death (r=.351, p<.001)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 (r=.180, p<.017). 4.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medical care included recognition of good death (β=.283, p<.001), the fetus’ right to life (β=-.107, p=.018), human biotechnology (β=.134) , p=.034),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 (β=.026, p=.005), gender (β=-.199, p=.027), and artificial insemination (β=-.118, p=. 037),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3%. Through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recognition of good death and to develop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for life-sustaining medical care and advance directive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relevant law in order to improve the attitude of ICU nurses toward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medical care. As such, repetitive and comparative studies for the investigation of new, relate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the withdrawal life-sustaining medical care by expanding the range of study subjects in the future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 좋은 죽음 인식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D시의 K병원, E병원, D병원, S병원, I시의 W병원에서 편의표본 추출방식으로 190명을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중 177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9월 21일부터 2020년 10월 9일까지이고,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se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명의료윤리의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93±.26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장기이식이 3.40±.5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뇌사가 2.60±.48점으로 가장 낮았다. 좋은 죽음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00±.47점이었고, 하위영역별 점수는 친밀감이 3.21±.52점, 통제감 2.76±.80점, 임상증상 2.76±.49점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23점 만점에 평균 17.18±3.37점으로 나타났다.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45점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연령, 직위, 총 근무경력, 중환자실 근무경력,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 유무, 가까운 가족이나 친지의 죽음 경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좋은 죽음 인식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정도는 연령, 결혼상태, 총 근무경력, 중환자실 근무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위영역인 태아의 생명권(r=-.205, p=.006), 인공수정(r=-.149, p=.047), 안락사(r=-.154, p=040), 장기이식(r=.204, p=.006), 인간생명공학(r=.229, p=.002)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연명의료중단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은 유의한 정적(양) 상관관계(r=.35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r=.180, p<.017)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β=.283, p<.001), 태아의 생명권(β=-.107, p=.018), 인간생명공학(β=.134, p=.034),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β=.026, p=.005), 성별(β=-.199, p=.027), 인공수정(β=-.118, p=.037)이었고, 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23%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좋은 죽음 인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법 개정에 맞춘 연명의료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추후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관련 변인을 규명하는 반복 및 비교 연구를 제언한다.

      •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최은숙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4859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간호사들의 확고한 의식은 연명치료중단과 의료현장 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생명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간호사들의 바람직한 생명윤리관 확립을 위하여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인 가치관 설문지를 권선주(2003)가 수정하고 보완한 49문항의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인간생명을 존중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박계선(2000)에 의해 개발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변은경 등(2003)이 수정하고 보완한 19문항의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긍정적인 입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Cronbach's α = .73였고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에서는 Cronbach's α= .81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5일부터 9월 15일까지 였으며, Y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에 동의하는 자로, 배부된 250부 중 230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를 하였으며,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1. 연령에서는 29세 이하가 51.3%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에서는 미혼이 62.2%, 학력에서는 4년제 간호대학이 70.9%, 근무경력에서는 1년에서 10년 미만이 45.2%, 근무 부서에서는 병동이 59.6%, 직위에서는 일반 간호사가 91.7%이었으며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다 63.9%, 종교생활 참여정도 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가 26.5%, 윤리적 가치관에서는 가끔 혼동된다가 46.1%, 생명의료윤리 교육 받은 경험에서는 없다가 75.2% 이었다. 2.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 평점은 4점 만점을 기준으로 3.03점,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는 태아의 생명권이 3.38점으로 가장 높았고, 뇌사가 2.5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평균평점이 5점 만점을 기준으로 3.40점이었고 19개 문항의 평균점수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은‘환자는 본인의 죽음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가 평균 4.2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회복 불가능한 환자라도 병원에 입원해 있는 경우 기본적인 투약(수액, 항생제 등)은 해주어야 한다.’가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에서는 연령(F=4.67, p=.010), 결혼상태(t=-3.79, p<.001), 근무경력(F=5.23, p=.006), 종교참여도(F=3.16, p=.02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 태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역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200, p=.003). 생명의료윤리 의식 영역에서 인공임신중절(r=-.179, p=.007), 안락사(r=-.418, p<.001), 신생아생명권(r=-.383, p<.0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간호사들의 의식은 높은 편이였으며 연명치료중단 태도와의 관련성을 볼 때, 전체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올바른 윤리관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선행적인 연구가 부족하였으므로 반복 연구와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별 갈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간호사는 간호제공자로서 연명치료중단 결정 과정에서 적절한 중재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질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