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북촌지역 한옥 개·보수 지원방식의 경제적 적절성 분석

        최은숙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fter first promoting a project for developing Bukchon in 2001 and enacting 'the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House Support Ordinance' in 200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giving the tax credit and grant for remodeling and repairing Han Ok, implementing a project for improving street environment and providing a priority order of using public parking lots for people living in Han Ok to preserve and remodel Han Ok in Bukchon district. In December 200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xpanded a support policy for Han Ok in Bukchon to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Han-ok Declar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aised the grant and loan to 60 million won and 40 million won respectively from 30 million won and 20 million won and added a policy to give grant a maximum of 10 million won for remodeling and repairing old roofs every five years. With these efforts, the situation in Bukchon has changed. That is, a public sentiment to recognize values of Han Ok and preserve them started being built and the number of investors who viewed Han Ok as investments, increased, as the demand and price of them increased. In spite of that recognition and economic values of Han Ok have highly changed, however, some people still have doubts about whether the same incentives or more ones than before should be continued. Therefore,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correctly understand economic values of Han Ok in Bukchon and how they've been remodeled and repaired.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or not economic incentives to Han Ok in Bukchon are reasonable for preserving them. Thir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other rational support methods when the current economic incentives are not proper. For achieving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present condition of Han Ok in Bukchon was analyzed and then, sensitivity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hanging support methods based on benefit-cost analysis results of Han-ok owners. As the result, following results were extracted. Firstly, when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Han Ok in Bukchon, it was found that they were remodeled and repaired mainly by local residents in the early days, but they were remodeled and repaired mainly by Han-ok buyers in these latter days. To put it concretely, 50 percent of owners continued using Han Ok that they bought after remodeling and repairing them, and 32 precent of original owners or new owners sold them again after remodeling and repairing them. However, only 18 percent of original owners continued living in their Han Ok after remodeling and repairing them. These results imply that people who bought Han Ok are taking incentives with remodeling and repairing cos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ices of Han Ok in Bukchon area increased nearly two and a half times more from 2006 to 2009, based on real transaction price of real estate. It is a higher increase rate than the prices of houses which are not Han Ok in Bukchon that increased twice for the same period. Also, while the prices of houses which are not Han Ok decreased in 2009, but Han Ok' prices continuously increased and maintained a stable increase rate of price.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crease rate of Han Ok remodeled and repaired doubled or quadrupled compared to those that weren't remodeled and repaired. This outstanding increase rate of remodeled and repaired Han Ok' prices can give an economic motive to Han-ok owners to invest in remodeling and repairing their Han Ok. Secondly, when analyzing benefits-cost of Han-ok owners, the current incentives seemed financially sufficient to preserve Han Ok remodeled and repaired. Generally, in the induced district of Han-ok building, remodeling and repairing Han Ok has more feasibility than newly building a multi-family housing after tearing down them, even though there was no economic incentives to remodel and repair them. Besides, it was found from some cases that after demolishing Han Ok, newly building a multi-family housing had no Feasi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recommended district of Han-ok building, appropriate levels of public supports are required to make owners financially feel attracted to remodeling and repairing Han Ok to preserve. That is, when newly constructing a multi-family housing after demolishing Han Ok, NPV and IRR values were bigger than when remodeling and reparing Han Ok if there was no incentives for remodeling and repairing them. And when there were reasonable supports for remodeling and repairing them, NPV and IRR values were bigger as well than when newly constructing a multi-family housing after removing them. Thirdly, when carrying out sensitivity analysis by changing support methods, NPV values were similar when grant and low-interest mortgage were provided together and when the whole amount of construction costs was provided as a low-interest mortgage. NPV value didn't change a lot, even though the total amount of construction costs was replaced with a low-interest mortgage when supporting a maximum of 10 million won every five years. From analysis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more than 90 percent of the remodeling and repairing costs should be supported as a low-interest mortgage and the total amount of them should be supported as a low-interest mortgage too every five years. So that Han Ok can maintain their values at the same level as those when incentives are provided. Research findings imply that we need to provide the total amount of construction costs for remodeling and repairing Han Ok as a low-interest mortgage rather than providing grant and low-interest mortgage together. Although, governments have to spend more costs in the early days when providing the whole amount of construction costs as a low-interest mortgage than when providing grant and low-interest mortgage together,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same effect with less budget, because they are able to reinvest in other areas with loans colle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recognizing Han Ok that collectively exist as historical buildings to be preserved and individual assets at the same time, and considering historical preservation of them from an economical perspective, although it only focuses on economic incentives and traded Han Ok for residental use. Furthermore,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preserving other Han-ok villages in the future by concretely analyzing Han Ok in Bukchon district where represents historical preservation cases. 서울시는 본격적으로 북촌지역의 한옥을 보존하고 가꾸기 위해 2001년 북촌가꾸기 사업 시행과 함께 2002년 「서울특별시 한옥지원조례」를 제정하고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2008년 12월에는 서울시 ‘한옥선언’을 통해 지원을 더욱 넓은 지역에 적용하였으며, 지원금도 상향 조정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북촌 가꾸기 사업 이후 북촌지역의 상황은 많이 달라졌다. 한옥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존하자는 여론이 조성되기 시작하였고, 한옥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투자자들 또한 많아졌다. 이렇게 한옥에 대한 인식과 경제적 가치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한옥 보존을 위해 전과 같은, 혹은 전보다 더 많은 지원이 반드시 계속되어야 하는지에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재 북촌지역 한옥의 경제적 가치와, 개·보수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현재 북촌지역의 한옥에 제공하는 경제적지원이 한옥을 보존하기에 적절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현재 제공하는 경제적지원이 적절하지 않다면,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지원방식을 찾는 것이다. 연구는 현황을 분석한 다음 한옥 소유주의 입장에서 비용편익분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방법에 변화를 주어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황분석결과 북촌지역의 한옥 개·보수공사는 초기에는 지역에 계속 거주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그리고 근래에는 한옥을 매수한 사람들에 의해서 개·보수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분석결과 북촌지역 한옥 가격은 부동산실거래가 기준으로 2006년과 2009년 사이 약 2.5배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북촌지역의 비한옥이 2배가량 증가한 것에 비해 높은 상승률이며, 안정적인 가격상승률을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개·보수를 한 한옥이 개·보수 하지 않은 한옥에 비해 최소 약 2배에서 4배의 가격상승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개·보수 한옥의 월등한 가격상승률은 한옥 소유주로 하여금 한옥 개·보수 공사에 투자할 경제적 동인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옥 소유주의 입장에서 비용편익분석을 한 결과 현재와 같은 지원 하에서 한옥을 개·보수하여 보존하는 것은 충분히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옥건축유도구역의 경우 모든 사례에서 공공지원 없이도 한옥을 개·보수하는 것이 한옥을 철거 후 다가구주택을 신축하는 것보다 더욱 높은 사업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일부 사례에서는 한옥을 철거 후 다가구주택을 신축하는 것은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옥건축권장구역의 경우 적절한 수준의 공공지원이 있어야만 한옥을 개·보수하여 보존할 수 있는 사업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을 철거 후 다가구주택을 신축하는 것은 공공지원이 전혀 없을 경우보다 모든 사례에서 NPV와 IRR값이 더 컸으며, 현행과 같은 공공지원이 있는 경우에는 한옥을 개·보수하는 경우가 NPV와 IRR값이 더 커 한옥을 개·보수하는 것이 더 높은 사업성을 갖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준의 공공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원 방법을 달리하여 민감도분석을 한 결과 보조금과 저리융자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와 공사비 전액을 저리융자로만 지원하는 경우 NPV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한 이유는 NPV값이 할인율을 고려한 값이라는 특성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보조금의 경우 공사가 완료된 다음에 지급하기 때문에, 소유주가 개·보수공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공사비 전체에서 저리융자로 지원되는 부분을 제외한 만큼의 공사비가 필요하여 초기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5년마다 최대 1천만원까지 보조하는 것을 공사비 전액을 저리융자 지원으로 대체하여도 NPV값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한옥을 개·보수 하는 것이 현행 공공지원이 있을 때와 같은 사업성을 가지려면 개·보수비용의 90%이상을 저리융자로 지원함과 동시에 5년마다 개·보수비용 전액을 저리융자로 지원해야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현재 지원하는 것과 같이 보조금과 저리융자를 함께 지원하는 것보다 공사비 전액을 저리융자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지원을 하는 시정부의 입장에서도 보조금과 저리융자를 함께 지원하는 것보다 공사비 전액을 저리융자로 지원하는 것이 더 적은 예산으로 같은 효용을 낼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초기의 비용은 더 많이 필요하지만 융자금이 회수되면서부터는 회수된 융자금으로 다른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집단으로 존재하는 한옥을 보존해야 할 역사적인 건물임과 동시에 개인의 자산임을 인식하여 역사보존을 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봤다는 데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면적인 역사보존의 대표사례라고 할 수 있는 북촌지역의 한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다른 한옥마을의 보존에 참고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지원과, 매매된 주거용도의 한옥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데에서 한계가 있어 앞으로 한옥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과 주거용도가 아닌 한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메이크업 테라피의 효용성 연구

        최은숙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경제성장과 문화적 발달로 인해 삶이 풍요로워지면서 사람들은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를 함께 가지고 있다. 현대의 미(美)개념도 더 다양화, 개성화 되어가고 있으며 건강을 포함한 신체의 내적·외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가 강해지면서 외모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성인여성들은 메이크업을 통해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고 심신의 안락감과 정서적 만족감을 가진다. 자신의 외모를 아름답게 변화시킴으로 자신의 만족은 물론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논문과 일본의 사례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메이크업을 통해 변화된 외모의 만족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메이크업을 통해 변화된 외모의 자신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심리적 기대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자아존중감과 메이크업 테라피의 효용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인 30세부터 59세까지의 전업 주부 및 직장 여성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통계조사로서 총 180부를 최종 자료로 선택한 후 SPSS/win program v.12.0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에 준하여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서 성인여성은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를 의식하고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고민하며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자신이 하는 일에 만족을 느끼며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메이크업 후 변화된 외모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기대효과는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에 관계없이 메이크업 후 자신감이 생기며 스스로 매력적으로 보인다고 느낀다. 셋째, 메이크업 후 변화된 외모의 자신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기대효과는 메이크업 후 타인이 호의적으로 대해주고 메이크업이 타인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하며 연령의 증가에 따라 타인에게 보여 지는 이미지 때문에 메이크업을 한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메이크업 테라피 효용성의 상관관계는 메이크업 전보다 메이크업 후가 외모 만족감이 더 높으며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기대효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메이크업이 성인여성의 이미지 개선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유발하고 일상생활 및 사회 활동에 있어서 대인관계의 개선 및 업무 능력 향상을 가져오며 정신건강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앞서 연구한 선행논문에서는 메이크업의 사회심리학적 접근법은 있었으나 메이크업 테라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기에 본 연구를 통해서 메이크업 테라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유도하고 나아가 메이크업 테라피가 실생활에서 여성들에게 가치가 있는 실용학문으로 확고히 자리매김 할 것이라 사료 된다.

      • 뇌졸중환자의 자가간호 수준에 따른 보호자의 스트레스

        최은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degree of stress of the caregiver according to the levels of CVA patients' self-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d of caregivers of 111 CVA patients', hospitalized at two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and two general hospitals in Taejeon. The survey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Kang's ADL check list and modified Lee's Stress Inventor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6th to August 30th, 1992.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and sumerized as follows: 1. The levels of CVA Patients' self-care were as follows : complete dependence (M=34.7, 31.2%), complete independence (M=14.8, 13.3%), incomplete independence (M=17.5, 15.8%), incomplete dependence (M=14.8, 13.3%) and dependence & independence (M=14.1, 12.7%). The high levels of CVA Patients' self-care were 1) ADL drinking (M=3.640), 2) Returning (M=2.351) and 3) Eating (M=2.351) ; the low levels of CVA Patients' self-care were 1) Ascending & Descending stairs (M=2.351), 2) Dressing & Undressing of trousers (M=2.514) and 3) Dressing & Undressing of jacket (M=2.532).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ralytic status in the degree of CVA Patients' self-care on their characteristics (F=24.7056, P<.001).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regivers' stress on Patients' characteristics.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regivers' stres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P<.001), education level (P<.01), family structure (P<.05) and the relationships with patients(P<.01).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regivers'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s of CVA Patients' self-care.

      • 암환자의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와 대응양상 및 희망

        최은숙 경북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coping style,and hope. One hundred subjects consisted of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hospitalized in three gerenal hospitals or have been receiving chemotheraphy and radiotheraph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using structured questionaire from Sept. 21 to Oct. 5. Analysis of date were done by use of statistical method as t-test,ANOVA,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percentage,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Degree of uncertainty was high significantly on those who were more prior hospitalization and knew diagnosis. Degree of coping was higher significantly woman than man.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of uncertainty scale, it was analyzed 7 factors. The highest degree of uncertainty among factors was 'change of unknown symptom' and the highest degree of uncertainty among item was ' I understand all that one explain to me.' Subjects used significantly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than emotion-focused coping style. Out of coping item, it was appeared ' I daydream or imagine a better time or place than the one I am in' as most used. Those who belongs to middle group in uncertainty level Preferred problem-focused coping to emotion-focused coping.(P<.05)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hope was found(P<.05) and it wa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use of each factor of hope in Lower group and middle of uncertainty. especially degree of factor that it is avoidance of hope threat was high significantly.

      • 학령기 아동용 부애착 척도의 타당화

        최은숙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든 연령대에서 애착에 대한 연구들이 척도의 개발과 함께 진행되고 있지만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적절한 자기보고식 평가 척도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Gullone과 Robinson(2005)이 학령기 아동의 애착을 측정 할 수 있도록 IPPA를 개작한 학령기 아동용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Attachment-Revised for Children: IPPARC)에서 부모 애착 척도를 모에 대한 애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번안하여 개작한 모애착 척도(최희철, 강유임, 김병석, 2012)를 부에 대한 애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문항진술을 변경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증 하였다. 부애착 척도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3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애착 척도의 점수에 기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 도출된 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1요인, 2요인, 3요인 구조 중 1요인 구조가 지지 되었고, 전체 내적합치도는 .94였다. 부애착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애착이 안정되지 못할수록 분노가 높을 것이라는 Bowlby(1973)의 이론에 기초하여 애착과 분노의 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애착과 분노의 상관은 -.345 (ρ < 0.01)로, 부애착이 높을수록 분노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화에 나타난 색채심리에 관한 연구 : 저학년 공격성 아동 중심으로

        최은숙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미술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출발은 아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 시작한다. 아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아동은 현재 계속해서 성장해 가고 있는 존재이며 아동의 미술 활동은 그들의 발달 단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달해 간다는 것이다. 아동은 언어표현이 미숙하기 때문에 언어 대신에 미술활동을 통해서 그들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아동에게 있어서 미술은 자기 표현의 수단이 되며 자신이 경험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도구가 된다. 아동 미술은 아동의 생활의 표현이자 기록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동의 그림은 아동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 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되며 아동의 발달 수준까지 알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가 된다. 특히 색채는 사물을 구체적으로 지각하기 시작하고 주위의 변화에 민감한 아동에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색과 함께 살아간다. 색채는 사람의 감정을 자극하고 움직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인식하는 것 이상으로 색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색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색채와 관련하여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색채심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색채심리 연구 중에서도 아동의 색채 표현과 심리에 관련된 연구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성인의 색채 감정은 아동기의 색채경험과 색채환경에 크게 좌우된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성장 도상에 있으며 주변 생활을 통해 많은 자극을 경험하는 아동에게는 더욱 색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그림 속에서의 색채는 아동의 강한 정서의 상징적 표현이며 아동의 성격을 파악하는 아주 중요한 구실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그림표현 중에서 아동의 정서, 감정과 성격 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색채표현을 중심으로 아동화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아동 미술 표현 안에서의 색채의 중요성을 되짚어 보았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한가지 방법으로 아동의 성격 특성 중 공격성을 중심으로 아동의 색채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첫째,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선행되어진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아동의 성격 특성 중 공격성을 조사하여 공격성 아동과 비 공격성 아동의 선호색과 혐오색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그 아동들의 자유화를 수집하여 주조 색을 중심으로 색채 표현을 분석하였다. 셋째, 공격성 아동을 위한 색채 중심 미술 지도를 실시하여 위에서 선별된 공격성 아동의 지도전과 지도후의 선호색과 혐오색 그리고 색채 사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선호색과 혐오색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연구자가 작성하여 조사하였고 공격성 아동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버스와 덜키(Buss & Durkee)의 적의성 검사(1957)를 노안녕이 번안한 검사지와 황정규의 욕구 진단 검사(1964)를 수정하여 허 일범이 제작한 공격성 설문지(1997)를 사용하여 아동의 공격성을 알아보았다. 아동을 위한 색채 중심 미술 지도는 연구자가 성격 교정을 위한 지도 연구 방법과 공격성 아동을 위한 미술 지도 방법을 참고하여 직접 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보면 아동의 그림표현 안에서의 색채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아동의 심리적인 면들을 진단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색채는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격성 아동과 비 공격성 아동의 색채 사용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이것은 아동의 성격과 색채 사용의 관련성이 유의미하여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색채 중심 미술 지도 사례 연구는 위의 분석과 함께 아동의 행동 변화를 모색하고 분석 하고자 하였다. 공격성 아동의 색채 중심 미술 지도를 실시한 결과 아동의 선호색과 혐오색에서는 지도전과 비교하여 많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지도후의 아동의 색채 사용은 달라진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단기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조금씩 변화되는 아동의 모습과 색채의 사용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아동의 색채 지도가 아동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 동안 계획성 있게 아동에게 미술지도를 실시한다면 아동의 성격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기간동안 소수의 인원을 가지고 성격 특성 중 공격성만을 찾아내어 연구하였으므로 절대적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며, 모든 성격에 적용시켜 아동의 성격과 색채 표현의 연관성의 유의미함을 확정지어 결론 내릴 수 없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제시하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여 주는 연구로서의 역할만을 할 수 있을 뿐임을 밝힌다. Art education has tremendous potential for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for perceiving of their personality. In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understand children more deeply and correctly, but also to make opportunity for right art education and desirable formation of character of children, by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olor. The children meet the world mainly through the senses of touch and sight, and typically it soon responds by making images of what it perceives. The works of art may be defined as symbolic languages for children, and children express emotion in their works. Everything children draw and paint is like a symbol, one that rises from some deep level of the mind or imagination in their works of art. The painting and drawing, the works of art, would seem to be a meeting place of the inner world where children feel and the outer world where they experience. Therefore, the children's works of art can be the effective means for evaluating children's emotion and thoughts, and the color expression of children is an important element in perceiving their personality. Since all things in our environment have color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modern human's life itself is color. Because all colors effect on our psychology and emotion, they are related to children's whole human development, thus they allowing us to find distinctive insight into personality of children. And specific color preference gives clues to the emotional making of the children. This study was based on above facts,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lor in paintings of children and tried to give the keys to understand children through analyzing the color preference of children and the main color dominate in paintings of children . In this paper, the specific steps to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reviewed surveys of books and articl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nd psychology. Secondly, selected the aggressive and the non-aggressive children by the personality test, compared their colors preference and analyzed main colors from their paintings. Thirdly, to approach and treat the children of aggressive state gave the projective art education in terms of the right color guidance for them, and then observed their changed behavior. Finally, after the art education was given for the aggressive children, color preference and a painting were asking them again. And compared color preference and used main color from the result of first, and analyzed th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hildren's paintings are very efficient method of understanding the children and the color, used by them, is important element to approach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of children. Second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 and used main colors between the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children. This result shows that it can't overlook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personality of children. Thirdly, although there were no big changes in the color preference after the projective art programs, the children's behavior gradually changed and main colors they used were changed a lot. It shows that this art education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personality. This data support the view that the color used by children in their works of art is related to their emotion and psychology and even more color itself effects to children's personality. And from the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art education gives great possibility for the changing of children and for the promoting of the creative growt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ferences to color preference, emotion of colors and color psychology will be able to extend children's creative ability with the right formation of character and right knowledge of color and give a spiritual deepening in the sid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motion.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exam only for the sampled aggressive children, these statistical analyses are not always completely supports all types of personality of children.

      • 어린이집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실천상황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어린이집 중심으로

        최은숙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al situations of Teacher and Nursery parents on the Right of Child (어린이집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실천상황 관한 연구) We would like to have in our lives, and it is absolutely necessary. Of these, we indispensable to the essential, that is called right. And these things, we need equally to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party to the substantial rights of the child on behalf of the child by the area of each right livelihood, right to the protection, development rights, the right to participate for parents sending their children to day care nursery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looking at the situation, Nursery parents use to meet the needs of the high expectations and have improved the quality of the contribution to the nursery and nursery teachers and parents further promot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children involved in the poli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day care homes and children's rights recognized by the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children's rights, children's rights, the importance of process and content of the rights of the child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the tiling of the Rights of the Child, Infant, Children's Rights in Early Childhood category also constitutionally guaranteed rights of the child's theory as the basis of human dignity and worth as a children's rights, rights of personality growth as a child, were investigated. Nursery parents and teachers in this study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right to go any question, concern for the rights of parents and teachers a very high degree displayed, and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s very low, and children's rights Does one ever possess training was also lower for the response. Parents and teachers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cognizes the right to comprehensive and practical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tuation,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e right to life and development, Issues, the right to participate parents and teache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custody there was.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on children's rights, child survival factor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corporate day care,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day care center right, right to the protection of the national or public corporation Nursery, Nursery right to participate the work was highly appreciated by the parent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teachers the workplace nursery survival, development rights, protections, right to participate of the national and public nursery teachers were highly appreci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on children's rights situ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actice of sub-factors for survival nursery work,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nd public nursery rights, protections and right to participate the corporate parent of the child care center was highly appreci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right to live and practice situations right to participate the national and public nursery, nursery development, the workplace rights, custody of the corporate day care teachers were highly appreciated. Survival, development rights, protections, right to participate for parents, teachers,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private day care parents and teachers all of the low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the situation was ass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cognizes the right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situation and some suggestions were practical.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지고 싶은 것(want)과 꼭 필요한 것(need)이 있다. 이중에서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것을 권리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것들은 우리 모두에게 똑같이 공평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권리의 실질적인 당사자인 아동을 대신하여 각 권리 영역별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에 대한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수준과 실천상황을 살펴보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높은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켜 어린이집의 질적 발전을 이루는데 기여하며, 나아가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을 증진하며, 아동에 관련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함으로써 가정과 어린이집의 아동 권리인식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아동권리의 개념, 아동권리의 중요성, 아동권리의 발전과정과 내용,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영유아기와 교사의 아동권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범주 또한 헌법상 아동의 권리보장의 이론적 기초로 인간의 존엄과 가치로서의 아동의 권리, 인격성장의 권리로서의 아동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어린이집 부모와 교사의 권리인식 수준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부모와 교사의 인권에 대한 관심정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부모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대한 인식정도는 매우 낮고 아동권리 교육을 수료 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응답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의 아동권리에 대한 권리인식과 실천상황의 차이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생존권과 발달권, 참여권에서 부모와 교사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권은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아동권리에 대한 실천상황에서는 생존권과 발달권, 참여권에서 부모와 교사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보호권은 실천상황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부모 교사 간 아동권리의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천상황정도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인식 수준이 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천상황에서 발달권과 참여권에서 교사보다 부모가 높게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의 아동권리에 대한 하위요인 중 부모와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발달권이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이고 부모와 교사의 아동권리 실천상황의 차이에서 발달권과 참여권에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부모와 교사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하위요인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린이집 유형과 부모와 교사 상호작용에 따른 인식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하위요인 중 인식수준의 차이는 생존권 법인어린이집, 발달권 민간어린이집, 보호권은 국공립, 법인어린이집, 참여권은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가 높게 평가 하였다. 교사의 인식수준의 차이는 생존권 직장어린이집,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은 국공립어린이집의 교사가 높게 평가 하였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하위요인 중 실천상황의 차이는 생존권 직장어린이집, 발달권 국공립어린이집, 보호권, 참여권은 법인어린이집의 부모가 높게 평가 하였다. 교사의 실천상황의 차이는 생존권, 참여권은 국공립어린이집, 발달권 직장어린이집, 보호권 법인어린이집의 교사가 높게 평가 하였다.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에 대한 부모, 교사의 인식수준과 실천상황을 살펴보면 민간어린이집 부모, 교사 인식수준과 실천상황을 모두 가장 낮게 평가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권리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권리인식과 실천상황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 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일 연구

        최은숙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문제로 주목받고 있는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시도되었다. 즉 가정환경적 요인으로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정서적 요인으로서 특성분노, 행동적 요인으로서 분노표현방식, 그리고 인지적 요인으로서 역기능적 신념이 집단따돌림 가해와 피해경향의 심리적 요인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남녀 중학생 832명으로, 이들에게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 검사,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특성분노, 분노표현방식, 역기능적 신념검사를 설문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따돌림 가해 경향과 피해 경향은 모두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특성분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방식, 역기능적 신념과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둘째,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라 가해집단, 피해집단, 가해-피해(중첩)집단, 일반집단으로 나누어 이 네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단따돌림에 개입된 세 집단이 모두 일반집단보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거부적으로 지각하고 있고, 특성분노가 높았다. 분노표현방식의 차이를 보면, 분노표출방식은 가해집단과 가해-피해집단이, 분노억제방식은 가해-피해집단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노통제방식은 피해집단이 가해집단이나 가해-피해집단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기능적 신념의 차이를 보면, 부정적인 자기개념은 피해집단과 가해-피해집단이, 경직된 신념은 가해-피해집단이 가장 많았고, 과도한 타인의 인정요망은 가해-피해집단이 피해집단보다 많았다. 역기능적 신념 전체는 가해-피해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해-피해집단은 가해만 높은 집단보다 가해경향이 높고, 피해만 높은 집단보다 피해경향이 높았다. 넷째, 가해경향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은 분노표출, 경직된 신념, 특성분노였고, 피해경향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은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거부적 부모양육태도, 분노억제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경향은 매우 비슷한 심리적 요인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해에 개입된 집단은 분노표출방식, 피해에 개입된 집단은 분노억제방식과 부정적 자기개념이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가해와 피해에 중첩되어 있는 집단은 역기능적 신념이 가장 많고 가해와 피해의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나 보다 집중적인 연구와 지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tendency to bully, and tendency to be a bully victim. Bullying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problem recently. This paper studies how these three aspects of bullying correlate with ways parents bring up their children, presence of anger as emotional factor, expression of anger as a behavioral factor, and dysfunctional belief system as a cognitive factor. This paper studied a group of 832 middle school children both boys and girls in the city of Seoul. Each of the children filled out a questionare ask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bullying and various aforementioned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ullying, tendency to bully, and tendency to be bully victim correlate positively with parents' nonpermissive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presence of anger in the child, ways child expresses, restrains, suppresses anger, and dysfunctional belief system in the child. Second, children were able to be categorized into four distinct groups: bully only group, victim only group, dual bully-victim group in which they were both perpetrators as well as victims, and control group. The first three groups with bully experience had much more unpleasant and negative experiences with their childhood upbringing and had much higher incidence of anger and resentment than the control group. As far as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anger, bully only group and victim only group tended to express anger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groups. The dual bully-victim group tended to suppress anger more than other groups. Victim only group tended to restrain their anger more than bully only group or bully-victim group. As far as difference in dysfunctional belief negative self-esteem was most prevalent in the victim only group and the dual bully-victim group and uncompromising fixed attitudes and beliefs in the dual bully-victim group. Excessive desire for recognition by others were higher in the dual bully-victim group than the victim only group. Over all the dysfunctional belief system was most prominent and prevalent in the dual bully-victim group. Third, the dual bully-victim group showed higher tendency to bully than the bully only group and higher victim tendency than the victim only group. Fourth, bully tendency was explained by anger expression methods, uncompromising fixed attitudes and beliefs, and presence of anger. Victim tendency was explained by negative self image, nonpermissive parental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and suppression of anger. In summary bullying tendency and tendency to be bully victim arose from a similar set of factors. Bully only group had higher and more frequent expression of anger. Victim only group had more suppression of anger and more negative self image. The dual bully-victim group had higher incidence of dysfunctional belief and higher tendency to be a bully and victim of bullying. More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s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