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개 농촌지역 초등학교 교사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성평등의식

        강혜영,허광희,김유미 韓國學校保健學會 2004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6th graders at a rural area in Korea. Methods: There were 78 teachers and 323 6th graders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Y area in Jeon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June to July 2003. Th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to tes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composed of 20-items (Cronbach's α = .87 in teachr group; Cronbach's α = .83 in children group) with four subcategories: family life, school life, business life, and social life. The data was analyzed by a one-way ANOVA and t-test using SPSS/PC+. Results: 1.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more affirmative in females (t = 5.313, p = .001) and in the younger teacher group (F = 24.710, p = .0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differences in all four subcategories were also significantly affirmative in the female and younger teacher group. 2.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6th graders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eachers'. School girls (t = 8.988, p = .001) and children from double income families (t = 3.171, p = .042) were more affirmativ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four sub-categories, school girls were also significantly more affirmative in all four subcategori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amily income source, the children from double income families also tended to be more affirmative only in the subcategory of family life (t = 3.196, p = .042) Conclusion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remarkab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oth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school children. Age was a key variable in teachers fo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urther research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arents, school principals and urban school population would be useful. In order to promo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a mass education campaig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이정대(Lee Jeong-Dae),이선정(Lee Seon-Jeong),신효식(Shin Hyo-Shic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경향과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중소도시(전주) 3개 학교, 읍․면지역(고창) 3개 학교 등 6개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12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전체 3.89, 가정생활 영역 3.88, 학교생활 영역 3.92, 직업생활 영역 4.04, 사회문화생활 영역 3.70으로 모두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중학생의 가정생활영역 양성평등의식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모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양성평등을 위해서는 남녀공학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 호주제 폐지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 양성평등 정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중학생의 학교생활영역 양성평등의식은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모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담임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에서의 양성평등의식 교육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바람직한 양성평등을 위해서는 남녀공학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 호주제 폐지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 양성평등 정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중학생의 직업생활영역 양성평등의식은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모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담임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양성평등을 위해서는 남녀공학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 호주제 폐지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 양성평등 정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중학생의 사회문화생활영역 양성평등의식은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담임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친구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양성평등을 위해서는 남녀공학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 호주제 폐지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 양성평등 정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중학생의 전체 양성평등의식은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모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담임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에서의 양성평등의식 교육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바람직한 양성평등을 위해서는 남녀공학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 호주제 폐지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 양성평등 정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ntended to examine by variables influenc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useful for their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finding out variables influencing equality consciousness. The subjects were the 1,201 students who studied at middle schools in Jeonllabuk-do.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Percentage, Mean, Std, Cronbach s α,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1. The mean valu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3.89 in the whole, 3.88 in home life, 3.92 in school life, 4.04 in the workplace, and 3.70 in social and cultural life, suggesting high value in all areas. While the workplace and the school life showe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e whole,the home life and social and cultural life showed lower consciousness. 2. The who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ere influenced by sex, mother 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homeroom teacher 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 enough schooling, desirable school types, perception of abolition of family-head system, and socia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ere explained about 32% by these variables.

      • KCI등재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에 대하여 : 『삼의당고(三宜堂稿)』를 중심으로

        성민경 ( Sung Min-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三宜堂稿』를 통해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균열과 복합성의 실제를 조명해보려는 시도이다. 본고가 『삼의당고』를 대상으로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을 조명하려는 이유는 우선 『삼의당고』가 조선후기 여성의 저작으로서 당대 여성 자신이 내면화하고 있었던 젠더의식을 실제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삼의당고』에 나타나는 진솔한 감정과 욕망의 표출이나 부부관계에서의 주도성은 남성 우월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전적으로 종속되지 않는 조선후기 여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한편으로 삼의당의 이러한 모습은 삼의당이 유교적 젠더체계에서 여성에게 존재론적으로 부과된 역할을 내면화한 기반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삼의당고』에 드러나는 조선후기의 유교적 젠더체계 하에서 삼의당의 줄타기에 주목하고, 관념이 아닌 입체적이고 구체적인 실제 인간상을 확인함으로써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을 드러낼 수 있다. 우선 『삼의당고』에서 확인되는 삼의당의 젠더의식은 성리학적 젠더의식을 존숭하는 입장을 분명하게 천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삼의당고』에는 과잉된 감정을 여과 없이 표출하거나 성적 관심을 내포한 서정시가 다수 남아 있고, 삼의당이 겉으로 표방했던 성리학적 부부윤리와는 다르게 부부관계에 있어 삼의당의 주도성이 드러나는 부분들이 발견된다. 문면에서 표방하는 젠더의식과 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는 이러한 다양한 줄타기의 지점들은 조선후기의 젠더의식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며, 이러한 균열은 조선후기 젠더의식이 갖는 복합성의 일단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the cracks and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ameudanggo(三宜堂稿). The reason why this paper intends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Sameudanggo is that Sameudanggo, as a work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the reality of the gender consciousness that women themselves at the time internalized. And the expression of sincere emotions and desires, or initiative in marit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Sameudanggo, shows the figure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were not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e ruling ideolog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presumed that this appearance of her was possible because she had the basis for internalizing the role that was ontologically imposed on women in the Confucian gender syst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paying attention to her tightrope under the Confucian gender system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vealed in the Sameudanggo, and by confirming the three-dimensional and concrete real human figure rather than an idea. First of all, it can be said that her gender consciousness confirmed in the Sameudanggo clearly declares her position to respect the Neo-Confucian gender consciousness. However, there are many lyrical poems that express excessive emotions without filtering or contain sexual interest in the Sameudanggo, and there are parts that reveal her initiative in marital relations, unlike the Neo-Confucian marital ethics that she advocated outwardly. These various points of tightrope, which do not seem consistent with the gender consciousness advocated in the context, create a crack in our perception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se cracks suggest the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complexities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 new way.

      • KCI등재

        육군 간부의 군 조직문화 유형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구혜경,이하영,진영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군사회복지학 Vol.9 No.2

        본 연구는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진단하여 군이 지향하는 가치관과 양성평등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실현 방향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 의식의 인구사회학적차이와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육군에 근무하는 간부(부사관, 군무원, 장교) 중총 1,023부를 배부하였으며 모두 회수 후 이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군 조직문화의 유형별 우선순위는 합리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집단문화 순으로 나왔으며 연령은 군의 조직문화 전체와 집단문화에서는 26∼29세가 가장 높고, 위계문화에서는 56세 이상이 가장 높게나타났다. 합리문화에서는 30∼39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성평등의식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신분이 양성평등의식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있고, 여성이 남성보다 양성평등의식에 대한모든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성평등의식 전체에서는 연령이 ‘20∼25세’인 사람들이 ‘50세이상’인 사람들보다 그리고 ‘30∼39세’와 ‘40∼49세’인 사람들이 ‘50∼55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계층은 ‘장교’와 ‘부사관’이 ‘군무원’보다 양성평등의식 전체, 가정생활, 교육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상관관계는 군 조직문화 유형과 양성평등의식이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군 조직문화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합리문화(t=11.733, p<0.001)와 발전문화(t=-3.593, p<0.001)만이 양성평등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조직구성원 간의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진단하여 이를 조직 간의 상호 이해, 조직문화 변화관리, 양성평등 교육이 필요하다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rovide the way to raise military oriente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values. Thus, study analyzed correlation and impact of sociodrama graphic difference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study includes the total 1,023 of Army executives (noncommissioned officers, military civilians and officers), and their survey result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ypes of military organization culture are prioritizes by order of ration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ghest rage of age overall and in organizational culture is from 26 to 29, and over 56 in hierarchical culture. Seco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whole and also in gender, age, status. Femal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all areas of gender equality than males. Moreover, result indicates people aged 20 to 25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eople aged over 50, and people aged 30 to 39 and 40 to 49 are higher than 50 to 55 in the entir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have shown significantly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the overall gender equality, household life, education life, career life, careers, social life, and social welfare life than military civilians.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hows positive statistical correlation, and the result of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s impact toward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tatistically effects only in rational culture(t=11.733, p<0.001) and developmental culture(t=-3.593, p<0.001).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needs of policy implication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mutual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by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t can coordinate conflict in organization members.

      • KCI등재

        2030세대의 양성평등의식, 부모됨의 인식, 출산의식의 구조적 관계분석

        박재범 ( Jaebum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양성평등 의식이 미혼남녀의 출산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30 세대를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이 출산의식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를 살피고, 양성평등의식과 부모됨의 인식이 출산의식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출산의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양성평등의식이 부모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안정된 가정 지향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됨의 인식이 출산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가치관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출산의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미혼남녀의 가치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unmarried men and women’s fertil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cause of the low birth rate problem.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the perception of parenthood on fertility consciousness was examined for 2030 generations, and the effects and relationship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arental awareness on fertility consciousnes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family life is, the more positive the childbirth consciousness i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the perception of parenthood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table family-oriented typ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arenthood on childbirth consciousness only affects the values of childr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values of unmarried men and women,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childbirth consciousness.

      • KCI등재

        여성체육인의 직업환경과 성차별의식 및 직업의식의 관계

        곽선행,강효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and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job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 sports wom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8professional sports woman. We made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adequacy and availability of the following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which the korean version of Ko(1986) developed by Pringree(1976), and job consciousness which the korean version of Kim(1998) and Jung(2001).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 used Windows SPSS/PC 13.0 Version, statistical techniques employed in the study we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flict to work-home role and social gender role were field of sports for all more than field of sports administration, and the attitude to gender biased were field of school sport and field of elite sports more than field of sports administration. Secondly, business consciousness were field of sports for all and field of school sport more than field of sports administration, job environment consciousness were field of sports for all more than field of elite sports and sports administration, field of school sport more than field of elite sports and field of sports administration. and field of elite sports more than field of sports administration. Thirdly, the higher gender equality in organization which the subordinate concept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had more business consciousness and job environment consciousness which the subordinate concept of job consciousness. 이 연구는 여성 체육인의 직업환경과 성차별의식 및 직업의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2008년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스포츠 팀 또는 직장 및 학교에 재직 중인 체육관련 직장여성 278명이었다. 각 변인들이 포함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3.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분석기법은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그리고 표준중다회귀분석 이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성 체육인의 직업환경에 따라 성차별의식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성차별의식의 차이에서 일-가정 역할 갈등, 사회적 성역할은 사회체육분야가 체육행정분야보다, 조직 성평등은 학교체육분야가 체육행정분야보다 높으며, 그리고 성편견태도는 학교체육분야와 엘리트체육분야가 체육행정분야보다 높다. 둘째, 여성 체육인의 직업환경에 따라 직업의식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직업의식 중 업무의식은 사회체육분야와 학교체육분야가 체육행정분야보다, 직업환경 의식은 사회체육분야가 체육행정분야보다, 학교체육분야가 엘리트체육분야와 체육행정분야보다 높다. 그리고 엘리트 체육분야는 체육행정분야보다 높다. 셋째, 여성 체육인의 성차별의식은 직업의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성차별의식 중 조직 성 평등성이 높을수록 직업의식의 업무 의식과 직업환경 의식이 높다.

      • KCI등재

        한국청년세대의 젠더에 대한 의식과 정치이념이 능력주의에 미치는 영향 : 성별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이희조,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background factors underlying Korean young generation’s belief on meritocracy as a principle of justice, and compar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by gender. (1) Gender equality and gender stereotyping consciousness acted as main causes of belief on meritocracy. Under the condition of high gender stereotype, the impa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belief on meritocracy was diminished. When the result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led to belief on meritocracy both in men and women, but gender stereotyping consciousness did only in men. In case of femal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belief on meritocracy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gender stereotype. (2) Political ideology did not affect young generation’s belief on meritocracy. As for gender results, however, the more conservative men were or the more progressive women were,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ursue meritocracy.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가 공정성 원리인 능력주의를 수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 의식적 측면을 탐색하고, 해당 요인들의 영향을 남녀별로 비교하였다. 청년세대의 의식적 측면으로부터 젠더에 대한 의식과 정치이념이 능력주의에 가지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젠더에 대한 의식으로서 성 평등 의식과 성역할 구분의식은 청년세대의 능력주의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배경요인이 되었다. 성역할 구분의식이 강한 조건일 때 성 평등 의식이 능력주의로 이어지는 효과는 약화되었다. 남녀별 결과로 보았을 때, 성 평등 의식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능력주의에 대한 중시를 높였으나, 성역할 구분의식은 남성의 경우에만 능력주의 중시를 높였다. 남성이 아닌 여성의 경우에만 성 평등 의식이 강할수록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영향관계가 성역할 구분의식이라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었다. 둘째로, 정치이념은 청년세대가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것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를 남녀별 결과로 보았을 때, 남성은 보수적일수록 그리고 여성은 진보적일수록 능력주의를 중시하였다.

      • KCI등재

        실과수업에서 양성평등적 관점의 교육이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영호,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양성평등관점의 실과 교수ㆍ학습 방법이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유사 규모 초등학교 2개교 6학년 학생을 대상을 두 집단 간 양성평등의식의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처치를 위한 연구도구로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20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실과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와 사후 검사를 위해 SPSS/windows 14.0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고, 투입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집단 내 paired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두 집단의 양성평등의식 사전,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p<.005 수준에서 양성평등 실과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에서는 양성평등의식이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양성평등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교수ㆍ학습을 실시한 비교집단에서는 실험전과 실험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실과수업에서 양성평등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투입하여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program from the of gender equality affects elementary school children's gender - equal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es, and devised the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program newly and applied to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fter executing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ill show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o verify hypotheses above, it was applied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o 10 of an experiment group and 9 of a control group that consisted of the 6th grade children at 2 elementary schools in Gapyeong County, Kyonggi Province, and executing the program, measured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devised newl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did not. 2)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control group educated by traditional method without applying education program, did not appe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devised gender- equality educational program improved children's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therefore, we could know which is proven to be effective. Thu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should be continuous educational efforts to improve children's understanding of gender roles and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과 성태도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안우철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derSensitivity and Sexual Attitudes 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Woocheol Ah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the effect of their gender sensitivity and sexual attitudes o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subject consist of 85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analyzed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First, mos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ere above the average.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Third, their gender sensitivity and sexual attitudes accounted for 37%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whole variable. Gender equality education that is meaningful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both understanding the correct gender sensibility and sexual attitude at the cognitive level, and improving awareness and behavioral education through emotional respons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ey Wo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과 성태도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안 우 철*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 성태도, 양성평등의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 성태도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858명이며,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 성태도, 양성평등의식은 대체로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 성태도, 양성평등의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감수성, 성태도는 양성평등의식 전체변량의 3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및 제언: 예비유아교사에게 의미 있는 양성평등교육은 인지적인 차원에서 올바른 성인지감수성과 성태도를 이해하는 것과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적 감응을 통한 의식 개선이나 행동 실천교육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핵심어: 예비유아교사, 성인지감수성, 성태도, 양성평등의식, 예비교사교육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대원대학교 응급구조과 교수(Professor, Daewon Univ., Email: wcahn22@daewon.ac.kr)

      • KCI등재

        한국청소년의 성평등의식 실태와 일반적 가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수미(Soo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3

        이 연구는 자라나는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내용은 첫째, 전국 대표성 있는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일반적 가치 실태를 조사하여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단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소년가치관조사” 자료이며, 조사대상자는 전국 132개 학교에서 추출된 학생 11,240명이다. 분석 결과, 2006년 청소년들은 과거 청소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성평등의식 수준이 높아졌으며, 특히 ‘가정내 공평한 가사분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지지 정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청소년 가치관 조사 결과 우려되는 부분은 성평등 의식 등 일반적인 태도 항목에서 남녀간 성별지체 현상이 매우 뚜렷하다는 점이다. 여학생의 성평등 의식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차별감수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보편주의 가치관’, ‘자기 성취 가치관’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이에 비해 남학생은 차별적 태도와 연결되는 ‘권력 가치’적 성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교육내용에 의식의 다양한 수준에서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Korean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n attempt to search for a way to increas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irst, this study carries out a survey of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key points needed to evaluat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youths' general values. The data used for this survey is from the survey on youths' values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06 with a sample of 11,240 students from 132 schools nationwide. As a result, youths in 2006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at of previous years(2002). Especially, the support for the fair share of domestic work in the house by youth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past. However, the survey of youths' values showed clear gender gaps in general attitudes of youths includ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emale students not only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 but also had higher levels of 'universal value' which would allow one to become sensitive to discrimination and 'self development and achievement value'. In contrast, male students scored high on 'power-oriented value' related to discriminatory attitudes. Therefore, the study recommends focusing on alleviating the gender gaps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other various media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