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부기담(姑婦奇譚)』 연구: 작자 문제와 창작 양상을 중심으로

        성민경 ( Min Kyung S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8 No.-

        본 논문은 1915년 辛亥吟社에서 간행한 52면 분량의 연활자본 漢詩文集인 『姑婦奇譚』을 대상으로 그 내용적·형식적 특성을 자세히 밝힘으로써, 한문학이 거의 소멸되어가던 식민지 초기의 한문학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해 보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그에 앞서 『姑婦奇譚』의 체제와 간행경위, 작자 문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姑婦奇譚』의 작자를 정확히 밝힐 수 있는 증거가 현재로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姑婦奇譚』을 편집하고 간행한 安往居를 중심으로 『姑婦奇譚』의 창작과 관련된 정황 증거들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현전하는 『姑婦奇譚』은 그 底本의 존재여부는 알 수 없지만 신해음사의 운영에 참여한 안왕거와 그 주변 인물들로 구성된 ``작가집단``이 상당부분 개작 혹은 첨입을 가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다음으로 ``여성의 지적 능력에 대한 긍정``, ``稗史와 笑話의 수용과 흥미의 추구``, ``언어유희와 문자유희의 다양한 활용``, ``현실대응의 우회적 표현``의 측면에서 『姑婦奇譚』의 주요 특징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姑婦奇譚』은 전통문예를 아울러 향유하는 지적인 여성의 모습을 주로 부각시켰다. 『姑婦奇譚』의 이러한 특성은 『姑婦奇譚』이 갖는 의의로 연결될 수 있다. 당대에 한문 능력과 전통 문예를 향유하는 능력을 기반으로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보여준 여성들의 존재는 여성의 이러한 능력이 그 시대에 갖는 의미를 증명한다. 여성의 지적 능력에 대한 인정이라는 긍정적 흐름을 매개하고 있다는 점에서『姑婦奇譚』의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f Kobugidam(姑婦奇譚) aims to illuminate Chinese Literature in the early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by shedding light onto its contents and form. Kobugidam was published in 1915 by the Shinhaeumsa(辛亥吟社), but the author was unknown. First, I examined some matters related to publication and author of Kobugidam. There is no evidence of the author, so I collected materials about An Wang-Geo who edited and published Kobugidam. As a result, the original text of Kobugidam was not found, but I concluded that the group of author including An Wang-Geo adapted and inserted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Kobugidam. Second, my special focus was placed on the analysis of contexts and the style of writing. The major features of Kobugidam are affirmation of women intellectual capacity, accept of an unofficial history and humorous stories, use of various play on words, and indirect expression of changes of reality. Especially, Kobugidam emphasizes on women intellectual capacity that can enjoy traditional art. The existence of women who took an active part in social activity on the basis of these capacity could confirm that such capacity had significance at that time. Kobugidam may connect positive changes which may be thus interpreted affirmation of women`s intellectual capacity.

      • KCI등재

        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

        성민경(Sung Min Ky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6

        본고는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모성이 재구성되는 양상과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그것에 앞서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편찬의식을 살펴보았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편찬의식은 급속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위기의식과 그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전통적 가치의 수호의지 그리고 국가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주의 모성에 대한 요청과 그에 따른 여성교육의 필요에 대한 공감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전통 여훈서에 비해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자녀교육 관련 내용이 양적 질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그 모성은 어떤 형상의 띄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는 자녀교육에 관련된 지식이나 예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연히 증가되었다 교육 관련 개별 항목을 둔 것은 어머니를 여성의 정체성 중 하나로 분명히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범적 어머니의 형상으로 나열된 사례들은 작가적 배경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종의 유형을 띠고 있어 고찰이 필요하다 모성의 형상은 엄격한 훈육과 학업의 독려 충의와 공렴의 강조로 요약될 수 있다 두 유형 모두 여훈서가 근대전환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데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모성 재구성은 여성의 권한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근대적 가족 모델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유교적 종법사상에 기초한 전통가족제도를 수호하려는 입장을강력하게 천명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화되는 모성은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온 여성의 예속은 그대로 둔 채 새로운 의무를 추가하는 것이 될 수밖에 없다 이렇듯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모성 재구성은 제한적인 의의를 지닐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의 경계가 일신되는 변혁의 시기에 유학에 기반 한 보수적 지식층에서도 국민의 생산자이자 문화의 재생산자 그리고 집단성의 전달자로서 여성 모성이 갖는 의미를 포착하고 과 이라는 전통적이면서도 근대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 가치를 통해 여훈서로 재구성한 대응의 실천적 의의는 평가 할 만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ㆍ일 여훈서(女訓書) 비교 연구 시론 - 17세기 말~18세기 초를 중심으로 -

        成珉京 ( Sung Min-kyung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7

        전근대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조선, 명ㆍ청, 일본에는 공히 ‘여훈서’로 범주화할 수 있는 문헌들이 존재했는데, 이러한 사실은 세 나라가 유교 성리학이라는 가치체계를 공유하는 공동문명권이었음을 증명하며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한다. 이에 본 논문은 한ㆍ일 여훈서 비교 연구를 위한 시론 격으로, 17세기 말~18세기 초의 조선과 일본의 여훈서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여훈서의 내용이 그것이 전개된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각국의 역사적ㆍ사회문화적 배경에 바탕을 두고 여훈서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17세기 말~18세기 초 조선과 일본의 여훈서는 출가 이후 여성의 삶에 대한 이상적인 전망을 제시한다는 저술의 계기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저술의 계기는 자연스럽게 ‘출가외인’으로서 시가에 전적으로 치중하는 ‘며느리’로서의 여성 규정으로 이어진다. 타문에서 남편과 시부모를 받드는 존재로 여성을 규정하기 위해서 수반되는 것은 위계화와 차등화의 전략이다. 양국의 여훈서는 여성의 열등함을 선언함으로써 차이를 구성하고, 그것을 본질화ㆍ자연화함으로써 위계를 고착시킨다. 그리고 17세기 말~18세기 초 조선과 일본의 여훈서는 가정의 유지와 번영을 책임져야 하는 존재라는 여성 존재에 대한 규정은 공유하고 있지만, ‘문자 사회’라고 할 만한 정치 체계와 ‘이에’ 제도의 성립이라는 당대 일본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여성의 문자 학습과 교양 습득에 있어 이견을 드러내고 있다. 양국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의 차이는 가계와 가산을 담당하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조선 여훈서는 가계 운영에 대한 가장의 간여를 배제했지만 일본 여훈서는 가계 운영 및 가산 보존에 있어 여성의 책임을 충분히 강조하는 동시에 남편이 그 시비를 살펴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三從’과 ‘七去’에 대한 양국 여훈서의 서술 방식의 차이는 당대 양국의 성리학 도입과 수용 정도의 일단을 살필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조선 여훈서 3종에서 모두 다루고 있는 ‘奉祭祀’에 대한 내용이 일본 여훈서에는 없는 점은 혈연을 중시하는 조선과 혈연보다는 직능을 중시하는 당대 일본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결과이다. In the Joseon Dynasty,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Japan, which constituted the pre-modern East Asia, there were documents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Yeo-Hoon-Seo(女訓書)’. This fact proves that the three countries were the right of common civilization to share the value system of Confucian Confucianism and evokes the need for comparative studies. Therefore, this thesis is a poetic case for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Japanese postscripts, and attempts to examine the Yeo-Hoon-Seo of Joseon and Japan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Since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contents of a Yeo-Hoon-Seoshould be understoo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world in which it has been developed, analysis of the Yeo-Hoon-Seo was conducted based on the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each coun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eo-Hoon-Seo of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share the opportunity of writing that suggests an ideal prospect for women's lives after marriage. The momentum of this writing naturally leads to the woman's rule as a ‘daughter-in-law’, who focuses entirely on poetry as a ‘Chool-gah-wayne(出嫁外人)’. It is the strategy of hierarchic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that accompanies other families to define women as supporters of husband and father-in-law. The Yeo-Hoon-Seo of the two countries constitute the difference by declaring women's inferiority, and fix the hierarchy by making it essential and natural. In addition, the Yeo-Hoon-Seo of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differ in terms of women's learning of letters and liberal arts due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Japanese political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E(家)’ system is revealing.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method of Yeo-Hoon-Seo in the two countries could be an indicator of the degree of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Sung Confucianism in both countries at the time. Lastly, the fact that Japanese Yeo-Hoon-Seo do not contain the content of ‘Bongjesa(奉祭祀)’ covered in all three Joseon Yeo-Hoon-Seo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Joseon, which values blood ties, and Japan at the time, which values skill rather than blood ties.

      • KCI등재

        동아시아 녀훈서(女訓書) 수용의 한 국면 -람정원(藍鼎元)의 ≪여학(女學)≫을 중심으로-

        성민경 ( Sung Min-kyung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8 No.-

        본고는 청대의 女訓書 『女學』이 조선에 수용된 양상과 의미에 대한 고찰이다. 『여학』은 남정원이 齊家에서 平天下로 이어지는 유교적 보편론에 입각, 집안의 안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여성에게 배움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그 배움을 위한 전용 서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학』은 四德을 기초로 36개의 세목을 세우고, 전대의 전적들에서 관련 내용들을 발췌하여 완성된 것으로, 역대 어느 여훈서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체계적인 구조와 구체적인 덕목을 갖추고 있다. 『녀□』 은 『여학』을 발췌해서 한글로 번역한 것인데, 수입 경위 및 번역자와 필사자는 미상이고 서문에 남아 있는 간지와 표기법을 통해 1862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따름이다. 서문에 따르면 현전하는 『녀□』 은 필사자가 자신의 며느리를 위해 제작한 것이지만, 『여학』 자체가 상당한 거질이기 때문에 실제 여훈서로서의 유통을 감안한다면 이전에 저본이 되는 산삭본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학』이 『녀□』 으로 수용되는 첫 번째 양상은 관념의 집대성보다는 일상의 실용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관념과 담론의 차원에 있던 『여학』을 일상과 현실의 차원으로 옮겨 와 비로소 실효성 있는 여훈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Cheong's Yeo-Hoon- Seo(女訓書) ≪Yeohak(女學)≫ in Joseon. Lan Ding-yuan(藍鼎元) recognizes the need for learning for women who play a key role in the stability of the family, and has organized ≪Yeohak(女學)≫ exclusively for learning. ≪Yeohak(女學)≫ was completed by extracting relevant contents from the previous records, and it has a systematic structure and concrete virtues that are hard to find in any Yeo-Hoon-Seo(女訓書) in the past. ≪Nyeohak(녀□)≫ is an excerpt from ≪Yeohak(女學)≫ and translated into Korean. Imports and translators and transcriptional person are unknown, and can only be assumed to have been copied in 1862 through the remaining Kanji and notation in the preface. According to the preface, the present book was made by transcriptional person for his daughter-in-law. However, since ≪Yeohak(女學)≫ itself is quite a big deal,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as actual Yeo-Hoon-Seo(女訓書), it is highly likely that there was an earlier copy of the original copy. The first aspect of ≪Yeohak(女學)≫ being accepted as ≪Nyeohak(녀□)≫ is that it seeks practical use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conception. This means that ≪Yeohak(女學)≫ that was on the level of conception and discourse was moved to the level of daily life and reality, and finally it was reborn as an effective ≪Yeohak(女學)≫. The second aspect is that while ≪Yeohak(女學)≫ covers various female identities as a representative of morality, ≪Nyeohak(녀□)≫ focuses more on the identity of the daughter-in-law. This is because ≪Nyeohak(녀□)≫ shares the flow of women's discourse and Yeo-Hoon-Seo(女訓書)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becomes an example of the change of a more ideal Confucian female identity according to space and time.

      • KCI등재

        한문학 연구의 젠더적 관점 확장을 위한 시론 : ‘남성성’을 중심으로

        성민경 ( Sung Min-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본 논문은 현행 학문분류로서 필자의 연구영역으로 상정되어있는 ‘한문학’에서 이루어진 젠더적 관점의 연구를 검토하고, 시각의 확장을 위해 ‘남성성’ 고찰에 대한 시론을 제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한자’와 ‘한문’의 지배력이 공고했던 시기에 산생된 한문학의 유산들은 당시의 ‘남성/성’과 ‘여성/성’이 어떠했는가 하는 실제를 보여주기는 어렵지만, 한문으로 글을 쓰고 그것을 후세에 전할만한 토대를 가진 세력이 ‘남성/성’과 ‘여성/성’의 문제를 어떻게 생각했고 그 관계를 어떻게 이상적으로 조정하고자 하였는가 하는 인식의 문제를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드러내 줄 수 있는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거의 한 세대에 걸쳐 이루어진 한문학에서 ‘여성젠더’를 고려한 연구는 젠더화된 어문생활 환경에서 창작되고 전승된 소수 여성작가의 작품들을 그러모으고, 작가론을 구상하며, 남성의 시선에서 여성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재현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로 대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여성의 문제의식’이 전제된 여성주의적 시각에 의한 연구가 추가된다. 그리고 한국한문학사와 관련된 여성문학사 및 한국고전문학사 전체에서 여성문학사를 어떻게 다룰지에 대한 고민 역시 상당히 중요한 논점을 제시한 성과들이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문학 연구의 젠더적 관점은 우선 ‘한문학’이라는 어문생활 및 지식생산체계의 토대가 되는 조선조 유교 가부장제에 대한 이해를 다시금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다는 전제하에서, 여성들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고 나아가 여성 작가와 작품들에서 ‘여성’이라는 성별 이전에 한 개인으로서의 개별성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한문학 연구의 젠더적, 특히 여성주의적 관점은 한문학의 새로운 정전 구성을 비롯하여 ‘한문학’ 자체를 되묻는 작업이 될 것이다. 지난 성과의 개괄이 보여주듯이, 그간 젠더를 고려한 한문학 연구는 ‘여성젠더’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는 ‘여성주의’적 시각에 기반한 것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체로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된 성’이라는 의미에 합의를 보고 있는 ‘젠더’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남성’ 역시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양반’ 또는 ‘사대부’로 지칭되는 조선 시대 지배계층의 남성성은 ‘修己治人의 성리학적 규범을 따르는 군자’의 이미지로 비교적 명료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선험적이거나 피상적으로 재단되어 있을 뿐 남성성 형성의 과정 자체와 그 실체는 자세히 밝혀져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규범이 되는 중심 젠더였던 남성을 구성하는 ‘세부’와 그 사회적 실천의 배치 형태에 대한 고찰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한문학의 유산들은 수신서류, 수신과 아울러 가정경영의 구체적 지침들이 첨가된 齊家書류, ‘戒子’의 내용을 안팎으로 담고 있는 시문과 편지 등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수신’과 ‘제가’의 차원에서 남성성이 구축되는 모습의 실례를 찾아봄으로써, 한문학 연구의 젠더적 관점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he current academic classification and is intended to review the study of gender perspectives in ‘classical chinese’, which is supposed to be my research area, and to suggest a theory about the consideration of ‘masculinity’ in order to expand the perspective. Considering ‘women’s gender’ in classical chinese for nearly a generation, the work of a few female artists created and passed down in a gendered literary life environment envisions the theory of the artist, and in the eyes of men, It can be roughly classified as a study on whether or not it is reproduced by the method, and a study based on feminist perspective that presupposes ‘women’s problem consciousness’ is added. Based on these achievements, the gender and especially feminist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classical chinese will be the work of burying the classical chinese itself, including the new canon of classical chinese. As the overview of past achievements shows, the study of classical chinese considering gender has been based on a ‘feminist’ perspective that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female gender’. Bu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which is generally agreed on the meaning of “socially formed sex,” “male” is also subject to consideration. The masculinity of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referred to as the ‘Yangban’ or ‘Sadaibu’, is relatively clearly recognized as the image of ‘the noble gentleman who follows the doctrinal norm’s physiological norms’. The process itself and its reality are not elabora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tails’ that make up men who were the normative gender norms and the forms of their social practice. This paper seek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gender perspective of the study of classical chinese by looking for examples of how masculinity is built in terms of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 KCI등재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에 대하여 : 『삼의당고(三宜堂稿)』를 중심으로

        성민경 ( Sung Min-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三宜堂稿』를 통해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균열과 복합성의 실제를 조명해보려는 시도이다. 본고가 『삼의당고』를 대상으로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을 조명하려는 이유는 우선 『삼의당고』가 조선후기 여성의 저작으로서 당대 여성 자신이 내면화하고 있었던 젠더의식을 실제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삼의당고』에 나타나는 진솔한 감정과 욕망의 표출이나 부부관계에서의 주도성은 남성 우월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전적으로 종속되지 않는 조선후기 여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한편으로 삼의당의 이러한 모습은 삼의당이 유교적 젠더체계에서 여성에게 존재론적으로 부과된 역할을 내면화한 기반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삼의당고』에 드러나는 조선후기의 유교적 젠더체계 하에서 삼의당의 줄타기에 주목하고, 관념이 아닌 입체적이고 구체적인 실제 인간상을 확인함으로써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을 드러낼 수 있다. 우선 『삼의당고』에서 확인되는 삼의당의 젠더의식은 성리학적 젠더의식을 존숭하는 입장을 분명하게 천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삼의당고』에는 과잉된 감정을 여과 없이 표출하거나 성적 관심을 내포한 서정시가 다수 남아 있고, 삼의당이 겉으로 표방했던 성리학적 부부윤리와는 다르게 부부관계에 있어 삼의당의 주도성이 드러나는 부분들이 발견된다. 문면에서 표방하는 젠더의식과 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는 이러한 다양한 줄타기의 지점들은 조선후기의 젠더의식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며, 이러한 균열은 조선후기 젠더의식이 갖는 복합성의 일단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the cracks and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ameudanggo(三宜堂稿). The reason why this paper intends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Sameudanggo is that Sameudanggo, as a work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the reality of the gender consciousness that women themselves at the time internalized. And the expression of sincere emotions and desires, or initiative in marit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Sameudanggo, shows the figure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were not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e ruling ideolog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presumed that this appearance of her was possible because she had the basis for internalizing the role that was ontologically imposed on women in the Confucian gender syst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paying attention to her tightrope under the Confucian gender system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vealed in the Sameudanggo, and by confirming the three-dimensional and concrete real human figure rather than an idea. First of all, it can be said that her gender consciousness confirmed in the Sameudanggo clearly declares her position to respect the Neo-Confucian gender consciousness. However, there are many lyrical poems that express excessive emotions without filtering or contain sexual interest in the Sameudanggo, and there are parts that reveal her initiative in marital relations, unlike the Neo-Confucian marital ethics that she advocated outwardly. These various points of tightrope, which do not seem consistent with the gender consciousness advocated in the context, create a crack in our perception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se cracks suggest the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complexities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 new way.

      • KCI등재

        한계(韓溪) 이승희(李承熙)의 여훈서(女訓書) 편찬에 대한 고찰

        성민경 ( Sung Min Kyu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고는 韓溪 李承熙(1847~1916)가 망명시기에 편찬한 여훈서인 「女範」(1912)과 「閨儀」(1912)를 대상으로 그 체재와 내용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앞서 이승희가 망명시기에 쓴 글들을 대상으로 여훈서 편찬의 의도와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는 독립운동을 위해 망명한 중국에서 유교적 강상의 윤리가 심각하게 무너지고 있는 현실을 목도하였다. 그는 흔들리는 유교적 성윤리를 수호하고 집안의 여성들을 가르칠 목적으로 여훈서의 편찬을 기획하였다. 그런데 이승희의 여훈서 편찬은 물론 집안 여성들을 염두에 두기는 했지만, 「여범」 과 「규의」 가다만 여성의 단속을 위한 경계의 내용만으로 일관하고 있지 않고, 일종의 여성종합백과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이승희의 대사회적 의식으로 보았을 때 단지 집안여성을 교화시킬 목적만으로 저술한 것은 아닌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승희의 여훈서 편찬은 집안 여성의 계도와 통제라는 전통시대 여훈서의 편찬목적을 계승하고 있는 한편,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 지식의 체계적 전달과 충의정신의 강조라는 측면에서 보면 당대 여성독자 일반에게까지 확장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닌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여범」과 「규의」는 각각 다른 형식으로 구성되어있어 규범과 지식을 전달하는데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여훈서들은 `교육`에 중점을 두어 자식의 교육을 주재하는 여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교육 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면서 충의정신을 함양하는데 집중한 것은 나라를 잃은 상황에서 시대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여훈서들에 드러나는 부부중심의 의식지향과 현처들의 형상은 며느리로서 가족이라는 관계의 질서 안에서만 파악 되었던 여성의 존재를 보다 독립된 개체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한편 이승희는 여훈서에서 직접적으로 가문의식을 발현하고 집안의 여성들을 선양함으로써, 보수적 유학지식인이 지닌 욕망을 드러내고, 가문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는 현실을 반증하는 여훈서의 변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이승희가 편찬한 여훈서들은 기본적으로 전통시대 여훈서류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으면서, 유교윤리의 지배력 약화와 망명 및 망국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ormat and content of Yeobeom(1912) and Kyueui(1912) that was published by Han-Gye Lee Seung-Hee on his time of exil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intent and background of publishing Yeo-Hoon-Seo(女訓書). He founded that Confucian Ethics was being collapsed in China. So He published Yeo-Hoon-Seo(女訓書) to protect Confucian Ethics of sexuality and educate the women of the family. Yeobeom(1912) and Kyueui(1912) play a complementary role in different format to transmit moral and knowledge. Yeobeom(1912) and Kyueui(1912) place emphasis on `education` and role of women as a main agent of education. Transmitting the knowledge of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emphasis on loyalty stand for historial meaning. Besides couple-focused recognition and figure of wise wives give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cognizance about the presence of women. Meanwhile, Lee Seung-Hee reveals consciousness of the family directly and exalts foremothers. These are betrayal of desire as conservative confucian intellectuals and counterevidence of a family tradition in a crisis. And his Yeo-Hoon-Seo(女訓書) stands for what it`s turned into by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last analysis, Yeobeom(1912) and Kyueui(1912) that was published by Han-Gye Lee Seung-Hee succeed to the flow of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fundamentally, also reflect chronological changes such as weakened hold of Confucian Ethics, exile and country`s ruination.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보호 배포를 위한 모델

        성민경(Min Kyung Sung),정연돈(Yon Dohn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7 No.4

        최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수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여러 연구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정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자신들이 가진 데이터를 배포하고, 배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목적에 사용한다. 그러나 배포되는 소셜 네트워크에는 개인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개인 프라이버시가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배포되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단순히 이름 등의 식별자를 지우는 것으로는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충분하지 않으며, 소셜 네트워크가 가진 구조적 정보에 의해서도 개인 프라이버시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배포 시 개인 프라이버시 노출에 이용되는 복합된 공격법을 제시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인 ℓ-차수 다양성(ℓ-degree diversity)을 제안한다. ℓ-차수 다양성은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 배포에서 ℓ-다양성을 최초로 적용한 모델이며 높은 정보 보존율을 가짐을 실험을 통해 볼 수 있다.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that are rapidly growing recently store tremendous data and analyze them for many research area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companies or public institutions publish their data and utilize the published data for many purposes. However, a social network containing information of individuals may cause a privacy disclosure problem. Eliminating identifiers such as names is not effective for the privacy protection, since private information can be inferred through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a social network. In this paper, we consider a new complex attack type that uses both the content and structure information, and propose a model, ℓ-degree diversity, for the privacy preserving publication of the social network data against such attacks. ℓ-degree diversity is the first model for applying ℓ-diversity to social network data publication and through the experiments it shows high data preservation r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