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학적 인식과 사회 : 구성주의 관점의 전개를 중심으로
김환석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社會科學硏究 Vol.17 No.-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며 그것은 사회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오늘날 이 문제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학제적 연구분야로 발전된 STS[이는 '과학기술과 사회'(Science, Technology & Society) 또는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의 약자로 쓰임]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STS 분야는 과학지식의 성격을 둘러싸고 처음부터 다양한 이론적 관점과 학문적 전통이 제시되고 서로 충돌을 하여 왔으나, 1970년대 중반 '과학지식사회학'이 주요 흐름으로 떠오르면서 거기서 제기된 과학지식의 인식론인 '사회적 구성주의'가 기존의 실증주의나 실계론 대신에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이 '사회적 구성주의'의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사회학자 뒤르켕이 그 선구자 역할을 하였고, 또 뒤르켕의 아이디어는 훨씬 이전에 철학자 칸트가 처음으로 제시한 '구성주의' 인식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을 하여 사회학적 오델로 만든 것이었다. 따라서 구성주의가 원래 어떤 맥락에서 나타나게 된 것인가를 알려면 칸트의 생각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글은 과학에 대한 구성주의적 인식의 흐름과 변천을 게관함으로써 STS 분야에서 과학지식의 형성과 사회와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칸트의 구성주의와 친근 STS의 현대적 구성주의를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학계의 중심적 화두중 하나인 '(탈)근대성' 문제에도 큰 시사를 얻을 수 었을 것이다. 다만 이 글에서는 구성주의의 자세한 분류를 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오늘날 구성주의에서의 모든 다양한 입장들을 골고루 다 살퍼보지는 않고 가장 주된 흐름이라고 판단되는 큰 줄기만을 소개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근대적 과학기술의 '암흑상자' 열기 : STS의 흐름과 전망을 중심으로
김환석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6 No.-
STS는 보편적 이성의 화신으로서 일종의 '암흑상자'(black-box)처럼 신비화되어버린 근대적 과학기술에 대해 해체와 재구성을 시도하는 야심찬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STS"란 문자 그대로 과학(Science)과 기술(Technology)과 사회(Society)의 관계를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따라서 오늘날 그것은 '과학-기술-사회'를 의미하기도 하고, 종종 '과학기술학'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어떤 의미로 쓰건 STS가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연구한다는 정에 대해서는 별 이의가 없을 것이다. 미국의 과학인류학자인 헤스는 1997년에 출간한 그의 유명한 STS 개론서에서 여기에 과학철학, 제도적 과학사회학, 과학지식사회학(SSK), 비판적/페미니스트 STS, 과학기술의 문화적/역사적 연구 등을 주요 분야로 포함시키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SSK는 1970년대 이후 오늘날 STS의 지배적 흐름을 형성하면서 적어도 학계에서는 주류 STS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최근 STS 안팎에서는 SSK가 지나치게 아카데미증에 빠져 있을 뿐 아니라 중산층 백인남성 중심의 지식인 관점을 대표하고 있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비판에 자극되어 최근 SSK도 보다 현실적합적이며 사회의 다양한 관점들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을 뿐 아니라, SSK에 대한 대안적인 STS 접근들도 다양한 갈래로 형성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우선 SSK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STS의 흐름을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흐름은 어떤 것인지 검토하면서 STS의 바랑직한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주된 내용은 SSK를 중심으로 STS의 흐름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일이 되겠지만, 이와는 배경과 역사가 다른 비판적 STS의 흐릉도 살펴보고 나서 이것과 SSK가 어떻게 생산적 관계를 맺으면서 바람직한 STS의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지 전망하는 것에 초점을 두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구와 그 역사적 맥락과 경험이 다른 한국사회에서STS가 취해야 할 방향을 '탈식민적 STS'로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COVID-19 팬데믹의 상호작용 변화와 사회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소영,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4 No.2
This article analyzed the spread of non-contact networks and social conflicts in the COVID-19 fandemic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ed the hyper-connected society. And, Non-contact networks have expanded. The expansion of non-contact networks provides human beings with a widening of interaction and various opportunities beyond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it increases conflicts. In COVID-19 pandemic, conflicts that have been overlooked or ignored have been revealed online. In Korea, as COVID-19 pandemic, conflict between polici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using ICT and violation of autonomy, gender conflicts due to telecommuting, class conflicts in resource allocation, and generational conflicts have emerged. Prolonged conflict increases social loss and social cost. Prolonged conflict causes social losses and co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conflict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xpansion of the non-contact network and the analysis of social conflic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이 글은 COVID-19의 확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산과 사회갈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초연결사회를 가능하게 하였고,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대를 가져왔다.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장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인간에게 상호작용의 확대와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또한 COVID-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는 간과되거나 무시되어 왔던 갈등이 온라인을 통해 표면화되면서 갈등이 확대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COVID-19가 확산되면서 ICT를 활용한 방역과 자율성 침해, 재택근무로 인한 젠더갈등, 자원 배분에 대한 계층갈등, 세대갈등이 증폭되었다. 갈등의 장기화는 사회적 손실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 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비대면 COVID-19 팬데믹 상황에 대한 비대면 네크워크의 확장과 사회갈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의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홍성걸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社會科學硏究 Vol.15 No.-
북유럽의 복지국가 스웨덴과 필란드는 정보통신분야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이 논문은 이들 국가들이 역점을 두어 추진하고 있는 정도사회정책과 정도통신산업정책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국내 정보화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스웨덴은 자국의 정보화 수준을 고려하여 정도기반의 지속적 확충과 정보화교육의 확대를 통한 정도이용능력 향상, 그리고 정도기술에 대한 신뢰성 제고를 통한 정도기술 활용 확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책추진에는 업무영역에 따라 여러 부처들이 관련되어 있지만 주무부처는 산업고용통신부이다. 부처간 특별한 정책조정 메커니즘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슈에 따라 유관부처를 명시하고 각 부처들의 임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정책도 각 부처의 소관 업무에 따라 다양한 정책분야에 분산되어 있으며 에릭슨의 선도적 역할에서 볼 수 있듯이 지방정부와 대기업의 협력이 첨단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교훈을 제공한다. 필란드는 90년대 초반 이후 국가전략의 차원에서 정도사회정책을 추진해 왔다. 재무부가 정도사회자문위원회를 비롯한 다양한 기구의 조언과 의견을 수령하여 국가 정도사회전략을 수립하고 있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각 유관부처들이 수립하여 추진하는 분산형 체제를 갖고 있다. 정도통신산업정책은 과학기술정책이나 중소기업지원, 지역간 균형개발 등에 스며들어 종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대기업인 노키아가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기할 것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대학, 기업들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산업클러스터 육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울루를 비롯한 청단산업단지에서 수많은 벤처기업들이 창업됨으로써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하지만 스웨덴과 필란드는 인구 규모가 우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고 교육제도를 비롯한 많은 제도적 여건들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정보화 추진체계와 경험을 그대로 한국의 경우에 적용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특히 실제 프로그램들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처간 갈등이나 경쟁을 어떻게 해소시키고 있는지, 정부-기업간 혹은 정부간 입장의 차이를 어떻게 조정하고 있는지에 대하여는 여기서와 같은 문헌연구만으로는 밝히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김인숙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社會科學硏究 Vol.15 No.-
20이년의 이른바 '9.11'테러는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으며 그 대응방안을 고심하는 각국의 정책결정과정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테러리즘의 개념을 검토하며 나아가 그 형성과정을 검토한다. 테러리즘의 특징으로서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인종적,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 테러리즘이 형성되는 과정과 테러리즘에 사용되는 폭력적 수단, 극적인 연출 그리고 치밀하게 기획되는 의도적 면들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1970년 이후 테러리즘의 국내외적 증가율을 조사한다.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인터넷 보급률에 따라 발생하는 해킹 피해 역시 현대사회의 테러리즘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테러리즘이 발생하는 배경을 검토한다.첫째로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테러리즘이 내포하는 폭력성, 동일성, 상대적 박탈감, 복수심 등을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이론에서 찾아본다. 다음으로 국제 정치적측면에서 테러리즘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현대사회와 같아 고도로 과학기술이 발달된 사회에서의 테러리즘의 특징들을 검토하였다. 결론으로는 테러리즘을 감소하기 위하여 우리가 선택 가능한 방법들을 검토하여 보았다.
활동적 고령화 정책을 위한 두 가지 길 : 신중년 사회공헌활동사업과 노인일자리사업
탕윤,허형조,이재원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4 No.2
As the chronic low birth rate and aging continue, Korean society is rapidly moving into super ageing society. One of the new social risks that comes rapid ageing, "growth without employment," is gaining momentum for "new target of poverty policy." However, the national policy for the elderly remain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e. income supplements). Welfare policies set as vulnerable groups subject to residual welfare for the elderly have not deviated from the basic framework of old social policies of traditional industrial society-modern welfare policies. Various new social and socioeconomic policies should be sought to actively respond to the aging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wo representative projects for active ag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Support Program for the New Middle Aged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senior job program, and attempted policy proposals for an active aging society in the future. A survey conducted on each person in charge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Support Program for the New Middle Aged and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Based on the survey, project managers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each project, as well as areas of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evious studies on active aging, this study proposed policy tasks for the active elderly to participate in socio-economic activities and revitalize activities. 압축적 저출산·고령화가 지속되면서 한국 사회는 급속히 초고령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신사회위험 중 하나인 ‘고용 없는 성장’은 ‘빈곤정책의 새로운 대상’이라는 모습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하지만, 고령자에 대한 국가정책은 사회복지 영역에 머물고 있다. 잔여적 노인복지의 대상인 취약계층으로 설정한 복지정책은 전통적인 산업사회-근대복지정책의 구시대 사회정책의 기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고령사회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신사회정책과 사회경제정책을 다양하게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대표적인 두 가지 사업인 고용노동부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과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하여 분석하고 향후 활동적 고령화 사회를 위한 정책제안을 시도하였다.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과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각 사업의 필요성과 적절성에 대해서는 사업 담당자들이 공감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여러 가지 개선점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조사결과와 활동적 고령화의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활동적 고령층의 사회 경제적 참여 및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김상원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4 No.2
This research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lderly's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 aging in Korean society relying upon recent sociological and social policy literature. The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elderly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 to the level of social capital will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aging. Using survey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2,076 the elderly people in nationwide, I estim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 aging in Korea by employing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s level of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ward ag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are some mixed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s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 aging, and that the old people with positive perception to the level of a social capital(civil engagement)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ublic policy which enhance social capital have to implement in order to encourage the old people to have positive attitude to aging.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면서 노년기의 삶을 어떻게 준비하고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노인들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서도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사회정책에 대해서 그 전에 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자본이 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회자본에 대해 노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인식과 노화 태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노인의 사회자본과 노화 태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기 위해서 노인들의 사회 자본에 대한 주관적 인식 상황과 그들의 노화 태도를 설문지로 물어 본 서베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최종 2,076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는 사회자본에 대한 노인의 주관적 인식 정도와 노화 태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방향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시민참여 활동의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노인은 노화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지만, 신뢰, 사회응집력, 사회지원의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노인일수록 노화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의 사회자본이 노화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자본의 종류에 따라 그들이 노화에 대해 다른 태도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이 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노인들의 특정 사회자본의 수준을 더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거주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 준거집단의 차등적 효과에 관해서
남형우,김수한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4 사회과학연구 Vol.37 No.1
개인이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거주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어떤 영향을 미칠까? 또한, 거주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각 개인의 객관적 계층 지위에 따라 다를까? 준거집단이 개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주 변인은 개인에게 도움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동시에 부정적인 비교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준거집단의 복합적 효과는 개인이 객관적 계층위치에 따라 지역주민과 다르 게 상호작용하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주지역을 준거집단으로 두고 지역 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개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차등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 도시정책지표조사(2018년)를 활용해 26,091명의 성인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소득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비교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인의 객관 적 계층위치에 따라 거주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하위 소득계층에서는 지역의 평균적인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계 층의식이 높아졌으며, 중간 소득계층에서는 평균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에 거주할 때 자신의 계층을 더 낮게 인식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객관적 계층 지위가 같더라도 거주지 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상이한 주관적 계층의식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Individuals understand their class posit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those around them. The effect of reference groups' socioeconomic status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s reported differently in social capital theory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This study analyzes differential effects of neighbors as reference groups on individual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Using the Seoul Survey (2018), it examines how the effect of individual income and occupation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varies with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neighbors and how the socioeconomic status of neighbors affect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objective class position. First, the income effect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decreases in areas with higher average incomes. Second, the effect of neighbor's socioeconomic level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objective class position. The lower income group'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creased as the average income level of the area rose. In contrast, middle income groups perceived their class status as lower when residing in areas with high average income.
사회과학연구 : 입학사정관제의 실효성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김달효 ( Dal Hyo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about admission officer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306 teachers of high schools in Busan and Kyungnam metropolitan city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about admission officer system were used. An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chi-square test, t-test, F-test, and Scheffe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any teachers opposed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 the usefulness (students` multiple ability and potential ability, students` aptitude and talent, students` creativity, and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bout admission officer system appeared 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sex, teaching career, and teachers organization. Third, many high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as not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