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김경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5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network evolu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keywords, key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sixty volumes of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93 and 2014.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678 with 2,880 keywords. The NetMiner v4.2 was employed to conduc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sociology of sports. Second, only a few top key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for the past 22 years. Thos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a) sports participation, (b) juvenile, (c) leisure activities, (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 life satisfaction, (f) leisure satisfaction, (g) sports for all, (h) job satisfaction, (i)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j) the aged, (k) ideology, (l)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m) participation motivation, (n) grounded theory, (o) social network, (p) sports media. Key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 juvenile, (b) sports participation, (c) leisure activities, (d) sport for all, (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keyword network demonstrated a scale-free network, in which a small number of hub keywords appeared in the articles with majority keywords. That is, 20% keywords possessed 69% links from the total. Keywords network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was consisted of 3 clusters. 1 and 2 cluster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3 cluster was related with review and discourse research. 한국스포츠사회학회가 창립되고 22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논하는 것은 스포츠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3년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22년) 발간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를 3시기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NetMiner 4.2를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 즉, 1기(1993년∼2003년)와 2기(2004년∼2009년)를 거쳐 3기(2010년∼2014년)에서 상위권 주제어들의 중앙성 순위가 크게 변동하였다. 1기의 상위권 주제어들이 2기에서도 상당 부분 유지되었으며, 2기를 지나서 3기에는 1기와 상이한 상위권 주제어들로 나타났다. 둘째, 22년간 소수의 주제어가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 활동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스포츠참가, 청소년, 여가활동, 사회인구학적 특성, 생활만족, 여가만족, 생활체육, 직무만족, 생활체육참가, 노인, 이데올로기, 여가활동유형, 참여동기, 근거이론, 사회연결망, 스포츠미디어 등이며, 매개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청소년, 스포츠참가, 여가활동, 생활체육, 생활만족 등이다. 주제어 연결망은 다수의 주제어가 소수의 주제어에 선호적 연결에 의해 링크가 집중되는 멱함수 법칙을 따랐다. 상위권 주제어는 양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연구, 문헌고찰/담론 연구, 통합적 연구 순으로 사용되었으며,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기여한주제어는 총 3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스포츠사회학의 공동연구 연결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연구와 함께 스포츠사회학의 변동 과정과 지적 구조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학회에서는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들을 전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하인스워드의 매스미디어 보도를 통한 민족적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담론분석

        이남미,이근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s discourses that place the focus on national ideality and multi-culturalism as well as how the discourses was connected with social context in Korea society, although there were various discourses surrounding Hins ward who evoked 'vortextuality' phenomenon within the Korean media after being selected MVP in the Super Bowl XL which is a relatively unpopular sports in Korea. This study also helped to understand the celebrityhood of sport player who have a broad broader symbolic signification of socio-cultural intricacies. To make the analysis of such discourses possible, media resources related to Hins Ward from Feb. 2006. to Mar. 2006 were mainly consulted references. First, the symbolic value of Hines Ward related to Korea national ideality that elicited national pride from the public after being selected MVP in the America’s greatest sports gala, and he was able to gain fame in Korean society as well. His symbolic value of the proud of Korean, maternal devotion of his single mother and Ward’s filial piety and gratitude-filled mind followed Korean traditional confucianism, such discourses became the opportunity to maintain and remind the dominative characteristics in Korea where the traditional values are being diluted. Second, the celebrityhood of Hines Ward emerged concern about minority ethnos in Korea Society, generated new production of structural changes with the change of recognition in Korea society that tolerate multi-culturalism with the new point of view to members of a nation for globalization. Especially, h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the meaning of national identity was shaken up and changes are being made to the mono-cultural ethno-centristic behaviors in Korea; a task which none of the politicians or social activists could succeed. 본 연구는 스포츠 선수의 명사성이 가진 광범위한 사회문화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사회에서는 비교적 비인기 스포츠라 할 수 있는 아메리카 프로 풋볼(NFL)에서 MVP로 선정된 후 ‘소용돌이 텍스트성(vortextuality)' 현상을 불러일으킨 하인스 워드를 둘러싼 여러 담론 중 민족적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담론의 생성 과정과 이들이 사회적 맥락에서 어떻게 접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2006년 2월부터 5월까지의 매스미디어 보도내용을 통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하인스 워드에 관한 담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맥락의 접합(articulation)속에서 민족적 정체성과 다문화주의적 담론이 정당화되고 도구화되는 사회적 매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첫째, 하인스 워드는 미국의 최고 인기 스포츠에서 MVP로 선정된 후, 그의 명사성이 한국인의 우수성과 매개되어 대중들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이끌어 내었으며, 한국사회에서 유명해 질 수 있는 판단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민족주의적 정체성과 관련된 하인스의 기호가치는 자랑스런 한국인, 자식을 위해 헌신하는 한국적 어머니상, 그리고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는 한국의 전통 유교 사상인 효과 겸손함이 미덕으로 응답되어 한국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민족·젠더·가족주의의 지배적 양식들을 유지시키고 재각인,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둘째, 하인스 워드의 명사성은 한국사회에 소수민족에 대한 관심을 조명시키고, 인종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더불어 세계화에 따른 다문화주의의 수용이라는 한국사회에서 인식의 변화 와 함께 새롭게 생성된 구조적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인종적, 민족적 정체성의 담론과 관련하여 워드가 한국사회에 현시한 전환점은 한국사회의 그 어떤 정치인도 사회운동가도 해 내지 못했던 단일문화론, 인종주의적 불평등과 차별행위들에 대하여 민족주의적 정체성의 의미를 동요시키고 변화하는 상황으로 이끌어 내었다.이상과 같이, 하인스 워드는 미국인으로 미국의 전통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미식축구에서 정상의 자리를 차지한 유명 스포츠 선수이지만, 한국계 혼혈이라는 그의 외형적 이유로 민족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동시에 한국사회에 주변문화로 소외되었던 소수민족을 포용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적 인식과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다.일반적으로 전지구화, 세계화와 민족주의는 서로 모순되는 현상으로 인식된다.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민족주의는 약화되거나 혹은 세계화에 대한 반발로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가 지속, 강화되면서 세계주의와 국제주의가 갈등하는 상황에 처할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워드가 한국사회에 주는 문화적 의미는 이들 두 가지를 동시에 끌어낸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높을 것이다. 그는 여타의 스포츠 스타들과 마찬가지로 스포츠를 통해 민족주의 혹은 국가적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지만, 하인즈 워드는 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혼혈의 장점과 국경을 초월한 스포츠라는 강력한 메신저를 통하여 한국사회에 단일민족으로 존재하고 신봉해 왔던 민족적 정체성의 의미를 변화하는 상황으로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지구화의 ‘변화론’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족적인 ‘특수적인 문화’로부터 글로벌적인 ‘보편적 문화’ ...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연구주제 분석

        장익영,이원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2 No.2

        This research aims 1) to examine research topics in the Korean Journal of the sociology of sports and 2) to analyze how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have been changed over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777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the Sociology of Sports from vol. 1(1) in 1993 to vol. 31(4) in 2018 were collected and those titles analyzed by topic modeling (LDA algorith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In the first stage, nouns were extracted by Tokenization, unnecessary worlds were excluded by Stopwords in the second stage. In the third stage, different words with the same meanings were converted to the same words and in the final stage, main key themes were extracted by LDA Algorithm of topic modeling. Python 2.7 and SPSS 23.0 were use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over time. Findings are as followed; 1) topics such as sports, participation and socialization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and 9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Journal, and 2) while in the Journal, research on socialization has been frequently studied, research on female and media has been increased during the past 10 years. At the same time, research on theory exploration and application in the sociology of sport and studies on reviewing and improving sports phenomenon have been increased, while research on sports clubs has been decreased. Sports sociologist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interested in topics related to body, gender, Taekwondo, policy, network and reproduction. 이 연구는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연구주제의 동향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주제 의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에서 발행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777편의 논문 제목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어 단위로 제목을 분리하는 Tokenization을 실시하여 명사단어만을 추출한 후, 불필요한 단어를 제외하는 Stopwords 등의 Text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공통단어 변환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의 LDA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각 토픽별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도를 구간단위로 나누어 토픽을 산출하였으며, 각 토픽별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분석을 위해 Python 2.7 Package와 SPSS 2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에서 스포츠, 참가, 사회화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연구 주제는 9개의 토픽으로 산출되었다. 둘째,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에서 사회화와 관련된 연구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여성, 미디어에 관련된 연구 주제가 최근 10년 동안 상승하고 있다. 스포츠사회학의 이론 탐색, 이론 적용, 스포츠현상에 대한 방안, 고찰에 관련된 연구는 2005년 이후 상승하는 연구 주제이다. 반면, 스포츠 동호회와 관련된 연구주제는 하향하는 연구주제이다. 신체, 젠더, 태권도, 정책, 연결망, 재생산 등은 연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연구주제이 다.

      • KCI등재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조욱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3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부라보이가 제시한 공공사회학의 개념을 시발점으로 삼아 현재 한국스포츠사회학이 처한 상황을 바탕으로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스포츠사회학의 위기 징후들을 살펴보고 공공스포츠사회학의 학문적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스포츠사회학의 목표에 대한 대표적인 논쟁인 대중과의 소통을 강조하는 주장과 학문의 정체성을 강화하자는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살펴보고, 이러한 분석과 공공사회학의 한계를 바탕으로 공공스포츠사회학의 학문적 전망에 대해서 논의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향후 한국 스포츠사회학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ublic Sport Sociology, based on the current crisis of Sport Sociology in Korea, by using the concept of Burawoy’s Public Sociology.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d the current crisis of Sport Sociology and classified the academic category of Public Sport Sociology. Furthermore, this article explored the contentions relating to the objective of Sport Sociology between ‘communication of the public’ and ‘intensification of academic identity’,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 Sport Sociology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limitation of Public Sociology. In conclusion, it will provide starting point to discuss the future of Sport Sociology.

      • KCI등재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위기극복을 위한 실천전략 탐색

        김찬룡,임승엽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0 No.1

        After 3 years since the discussion on the crisis of American sociology of sport and the potential occurrence of similar problems in South Korea occurred in 2013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Korea sociology of sport has experienced critical academic crisis.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crisis factors that Korean sociology of sport is currently experiencing,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the authors’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And then, we proposed practic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academic crisis. First we found 1) people regard sociology of sport as a boring field and subject that does not contribute to getting a job, 2) reduction of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3) problem in getting a job of graduates, and 4) lack of national certificate of the field, as the factors of educational crisis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we proposed 1) invention of diverse subjects relating to sociology of sport, 2) applying a smart education system, and 3) introducing national certificate system. Second, as the crisis in research area, we found 1) lack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2) lack of domestic/international journals, 3) problems in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and 4) faction and occlusive tendency of the schola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factors, we proposed 1) having academic space where co-working with neighboring fields could be made, 2) exploring neighboring fields, 3) creating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4) expanding research topics, and 5) liberal interaction among scholars within the field. Third, as the crisis in social interaction, 1) lack of research topics close to the reality in sport, 2) distance between sport sociologists and the public, and 3) indifference on the topics related to social contribution were found.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we proposed 1) increasing research using reality-reflecting topics, 2) increasing interactions with social media and press, and 3) reinforcing activities in social volunteer area. 2013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제기된 북미스포츠사회학 위기의 전조적 현상과 한국 재현 가능 성에 대한 논의 이후 지난 3년 간 한국스포츠사회학은 학문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연구자의 경험과 관찰을 토대로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위기요인을 정리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실천전략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스포츠사회학의 교육적 위기는 재미없는 교과목, 취업에 도움 되지 않는 교과목이라는 인식, 학문 후속세대의 감소, 전공졸업생의 취업문제, 관련 국가자격증제도 부족 등으로 나타 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 개발, 스마트 교수법 적용, 국가자격증인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 다. 둘째, 연구영역의 위기는 다양하지 못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국내·외 학술지 부족, 학문후속세대 육성의 문제, 학자들의 당파성과 폐쇄성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접학문과의 학술적 공간의 마련, 인접학문으로의 탐색, 국제전문 학술지 발간 도전, 연구주제의 확장, 학자들의 자유로운 교류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사회봉사영역의 위기로서 현실적합성 연구주제의 결여, 스포츠사회학자들과 대중과의 유리 문제, 사회기여 주제에의 무관심 등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실 밀착형 주제연구 수행 증대, 사회언론활동 증대, 사회봉사영 역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와 관련 분야 학술지의 Impact Factor 비교

        한준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3

        Centered around many biophysical science fields,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have verified their institutionalized scholarly standings. However, little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field of sport sociology. This study adopted the impact factor of the SCI/SCIE/SSCI lists, and compared different peer-reviewed journals of sport sociology to those of the related fields including sport/exercise studies, sociology, and sociology-related social science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secondary data-analysis utilizing the existing data sources from the Thompson Scientific. Then, descriptive analyses were compu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the SSJ and the JSSI, considered the two prominent sport sociology journals, carried impact factors of .7 and .8, respectively. Those impact factors were lower than the aggregate impact factor of the sport/exercise science category (1.17) as well as sociology/sociology-related social sciences (.8). Only two sport sociology journals were found from the SCIE and SSCI lists. This might provide valuable lessons to scholars in the field of sport sociology. Further, given the fact that neither Korean sport/exercise science journal nor Korean sport sociology journal was included in the SCI/SCIE/SSCI lists, the Korean scholars should take that as constructive feedb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not be interpreted from the arithmetic standpoint; it, however,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how journals of sport sociology can be more valuable and competitive under its unique circumst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as to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impact factor with all the concerns and considerations taken into account. 자연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학술적 위치에 관한 계량적 측정을 시도해오고 있지만, 스포츠사회학에서는 그에 관한 시도가 없었다. SCI/SCIE와 SSCI의 Impact factor는 학술지가 어떠한 학술적 위치를 지니는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사회학 학술지들의 수준은 어떠한지, 또한 체육학, 사회학, 그리고 사회학 관련 학술지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Impact factor의 비교를 통해 간접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Thompson Scientific에서 산정하는 Impact factor에 관한 보고를 2차자료수집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기술적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인 SSJ와 JSSI의 Impact factor는 .7-.8 수준으로 체육학 전체의 평균(1.17)에 미치지 못했으며, 또한, 사회학/사회학 관련 학술지들의 평균(.8)보다 낮은 수준을 보여준다. 단 2종의 스포츠사회학 학술지(SSJ & JSSI)와 한국 발행 체육학 학술지가 없다는 것은 스포츠사회학과 한국의 스포츠사회학이 앞으로 노력을 해야 할 하나의 방향으로서 제시된다. 본 연구는 Impact factor의 비교를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산술적인 평가에 보다는, Impact factor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서,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의 발전적 방향을 제언한다.

      • KCI등재

        스포츠사회학계 내 사회적 지지 연구의 비판적 분석

        남상우(Nam, Sang-Woo),김준회(Kim, Jun-Hoe),김대희(Kim, Dae-Hee)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스포츠계가 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지 체계를 국가 차원, 지역 차원, 나아가 조직 차원에서 잘 구축했는가를 고민하고자 지금까지 스포츠사회학계에서 이루어져 왔던 사회적 지지 연구를 몇몇 분석 범주 중심으로 정리한 후, 향후 우리 분야에서 이 개념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건설적일지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문제화했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최근까지의 20년 기간 동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와 한국체육학회지의 스포츠사회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36편의 사회적 지지 연구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개념 정의 유무, 사회적 지지 개념의 하위 구성요소 구분, 설정된 관계 종류(지지 제공자와 수혜자), 연구 방법, 목적, 연구 결과 등의 여섯 가지 분석 범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사회학계 사회적 지지 연구는 ‘사회적 맥락이 소거된 개념 적용 연구’로 이루어지면서 개념의 다양화와 정밀화에 따른 이론적 확장을 도모하지 못한 방향으로 그 지형이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들은 향후 학계가 다섯 가지의 연구 아젠다 - (1) 스포츠계 사회적 지지 개념 정의 지향, (2) 사회적 지지의 다면성 도출, (3) 사회적 지지 제공자의 확대, (4) 사회적 지지에서의 관계 설정 확장, (5) 사회적 지지 연구의 ‘과정 패러다임’ 고민 - 을 지향해보자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scalability of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used in the field of sports sociology. To this end, an in-depth content analysis of social support researc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73 studie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sport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 confirmation bias was revealed, assuming that everyone would know without conceptual definition. Second, as it was used as a variable-centered statistical variable, a limitation in which the content and context of the study were not revealed was found. Third, although relational settings such as providers and benefits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social sup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tings themselves are not subdivided.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 type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in relation to the sports area were not closely described, so conceptual utilization tended to be proposed. Based on thi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to be used in sports sociology goes beyond the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with society (organization, policy, demographic structure).

      • KCI등재

        사회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변화:참여정도와 참여형태를 중심으로

        장인철,한준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3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과거의 사회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와 최근의 참여는 무척 다를 것으로 판단되지만, 최근에는 그와 연관된 경험적 연구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의 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새로운 경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해, 주관적 사회계층과 객관적 사회계층을 구분하고, 스포츠 참여에 관한 형태와 정도를 구분하여 계층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정 광역자치지역과 그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4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7부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응답은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일원다변량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주관적 사회계층과 객관적 사회계층은 약하지만 충분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적 사회계층에 있어 계층 간 스포츠 참여형태가 다르지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찬가지로 스포츠 참여정도도 객관적 사회계층 간, 주관적 사회계층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일정 수준에서 불평등함을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the degree and the form of spor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social-stratif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criteria of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a formula to divide o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and items for the degree and the form of sport particip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eople who live the A metropolitan city area and over 20 years old. The number of returned questionnaires is 407 out of 430.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analysis, one-way MANOVA.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and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was minor positive. The results of cross tabulation analyse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spor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was no difference. Also, the results of one-way MANOVAs indicate that the form of spor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was no difference.

      • KCI등재

        중도시각장애인의 스포츠로의 재새회화 중재과정에 대한 연구

        김기섭,한광령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 to specify how visually-impaired people’s morbid record who became disabled after living as a social being, re-socialize from sports to affiliate to society. Detailed issues for the research are : First, what process does the sports de-socialization of visually-impaired people halfway take? Second, what are supportive factors of the sports socialization of visually-impaired people halfway? Third, how does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visually-impaired people halfway to sports take its shape? To specify this research, establish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reference through a documentary records prior to data collection, to precede series of study methods. Qualitative methodology was selected as the most appropriate study method for the research.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s of five(5) with prior morbid record among the visually-impaired people halfway selected by a purposeful sampling, and a data was collected from the five(5) participants by means of a narrative interview and phone interview. For a data analysis, category of main subjects, its attribute and dimensionshave bee discovered through the use of a continuous comparative method, and analysis method of a grounded theory such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s well as theory and sensitivity. Through these methods and research procedure, category of main subjects, its attribute and dimensions which were formed in the course of a data analysis have been interpret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 ground theory of ‘Strauss & Glaser, 1965’, reaching its conclusions as follows : First, in regard to sports de-socialization process of visually-impaired halfway, they lived a normal social life as non-handicapped being, after getting a second cryptogenic infection to be medically judged as disorder, suffering a psychological, social distress, which ultimately leads to the de-socialization even from sports. Second, a mediator for socialization to sports of visually-impaired people,suffers some difficult period for the time being due to the conflicts over his/her current circumstance and prior surroundings as a non-handicapped person, until his/her friends or mass media give support and let him/her enter a rehabilitation institute, to experience how to go through re-socialization as a handicapped person based on the socialization learned prior to the handicapped state.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으로 삶을 영위하다가 중도에 장애인이 된 중도 장애인 중 이력성을 가지고 있는 중도 시각장애인이 비사회인으로의 삶으로 전환되는 속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기까지 어떠한 중재자(사회화주관자)로 인하여 스포츠로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가를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규명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첫째, 중도 시각장애인의 스포츠 탈 사회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둘째, 중도 시각장애인의 스포츠로의 사회화의 중재자(사회화주관자)는 누구인가? 셋째, 중도 시각장애인의 스포츠로의 재사회화 중재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자료수집 전에 문헌 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토대로 틀을 세웠으며, 일련의 연구방법의 연구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가장 적절한 연구방법으로써 질적 연구방법이 채택 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표집법으로 선정된 중도 시각 장애인 중 이력성 장애인 5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이야기식 인터뷰 및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분석기법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과 이론성 민감성을 가지고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주제범주와 그 범주에 따른 속성 및 차원을 발견했다. 이러한 방법과 연구절차를 통하여 자료 분석 과정에 형성된 주제범주와 속성 및 차원은 Strauss & Glaser의 근거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해석되었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시각장애인의 스포츠 탈사회화는 비장애인으로서 보편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하다가 원인불명에 이은 2차 감염으로 인하여 장애를 입어 의학적으로 장애판정을 받아 심리․사회적 고통을 경험하며 결국 스포츠에서조차 탈사회화 되는 상황을 초래한다. 둘째, 중도 시각장애인의 스포츠로의 사회화의 중재자(사회화주관자)는 한동안 장애 전 환경과 현재의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갈등으로 침체기의 단계를 지내다 친구나 방송매체를 비롯한 주변의 도움으로 재활기관 입소하여 장애 전 학습된 스포츠 사회화를 바탕으로 장애인으로의 스포츠로의 재사회화과정을 거치는 경험을 한다. 셋째, 중도 시각장애인의 스포츠로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중재 과정은 장애판정 후 극심한 심리․사회적 고통을 경험하고 이러한 고통은 가정불화로 더욱 더 가중된다. 그러나 친구를 비롯하여 주변의 도움은 연구 참여자들로 하여금 재활의 의지를 가지게 되어 장애의식을 약화 시키고 재활기관에 입소하게 된다. 이는 장애를 수용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과 스포츠로의 재사회화 과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연구 참여자들은 스포츠로의 사회화의 중재자(사회화주관자)로 인하여 일련의 재사회화 과정의 학습을 통해 어떤 형태로든 장애를 받아드려 스포츠로의 재사회화를 이루어낸다.

      • KCI등재

        스포츠, 사회문제, 그리고 스포츠사회학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스포츠사회학의 도전과 가능성

        임새미(Lim, Seami),김한범(Kim, Hanbeom)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스포츠사회학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사회학의 학문적 효용성과 사회학적 상상력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가 직면한 변화의 시대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학의 학문적 활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회문제의 조건과 범위 특징을 이해하고 스포츠와 관련된 사회문제에 사례에 대해 알아본 후, 그간 학회 차원에서 행해왔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스포츠사회학의 노력과 한계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 사회문제로 인한 스포츠의 위기와 스포츠사회학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가능성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스포츠사회학자의 문제의식에 대한 필요성, 마지막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스포츠사회학자의 학문적 방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values and possibilities of sociology of Sport for social problems. First of all, we try to explain the academic effectiveness of sociology and sociological imagination, and focused on the academic use of sociology to solve social problems. In addition,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problems were described for a basic understanding of social problems. After looking at the types of social problems related to sports, we have explored the efforts and limitations of sociology of sport to solve social problems at the academic level. This study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risis of sports due to social problems and the role of sociology of sport, and examines the potential of public/political sociology of sport to solve social problems. It also explained the need for sports sociologists to have problem consciousness to solve social problems. Finally, we explore the academic direction of sports sociologists to solve soci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