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실과교과 비교연구

        양정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으로서 실과교과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실과교과의 철학이 특수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2011년 개정 고시된 초등 실과교육과정과 특수교육과정의 실과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였고, 두 교육과정이 아직 시행되지 않은 관계로 2007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실과 교과서와 특수교육과정의 실과 교과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과정은 성격면에서 유사한 것으로 보이나 특수교육과정은 직업교육의 성격을 포함하며, 내용체계에서 기능중심의 성취기준을 강조하여 일반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과서분석 결과 특수학교 교과서는 텍스트가 거의 없는 활동중심 내용을 담고 있으며 수업활동 보조 도구로서 역할이 강조되었다. 실과교과는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하면서 자립적인 능력을 키운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특수교육과정과 일반교육과정 모두 실과교과의 성격이 반영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상황에 따라 성취기준에 다소간 차이를 보이므로 통합교육으로 다루어질 것을 감안할 때 성취 수준에 대한 조정이 요구된다. The purposed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alysis the special school basic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subject of study were revised special school basic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2011 and the text book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Special school basic curriculum are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emphasi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unctiona instruction. (2) The textbook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special school is emphasized a activity-oriented contents. Therefore, considering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s taught a children's daily life as inclusive education, we are needed to adjust the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중심으로

        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학년별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실과교육에서의양성평등교육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전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추적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자료로서 초등학교 4학년시기부터 6학년시기까지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4학년에서 6학년시기에 이르기까지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자아동과 여자아동 모두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학년에서 5학년, 5학년에서 6학년시기의 남성성 성고정관념과 여성성 고정관념의 변화는 여자 아동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자아동의 경우 4,5학년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아동과 여자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차이는 학년과 관계없이 남자아동의 고정관념이 여자아동의 고정관념보다 높았으며 이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아동의 개인과 부모 변인의 요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에 대한설명은 다소 낮은 편이나 남자아동과 여자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과교과는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양성평등교육을 할 수 있는교과로서 인식되어왔다. 청소년기에 진입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 5학년 이후에 다뤄지는 교과로서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변화를 반영하여 교육내용이나 교수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that variation sex-role stereotype changes using longitudinal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was from the data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Korean Youth Panel data were collected from 2,84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2004, 2,707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2005, 2,6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2006.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Longitudinal investigation found an increase in rate of gender equ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y progressed from 4th grade to 6th grade. (2) Cross-sectional analysis found an difference of Sex-stereotype between the two samples(boys and gir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Sex-role stereotype according to gender in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environment were different. Therefor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should develop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지상파 TV 콘텐츠에 나타난 음주 : 황금시간대 고시청률 드라마 분석과 수용자 인식조사

        양정혜,Yang, Jung-Hy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기존의 매체 경계를 허물면서 IP TV, PMP, 온라인 등을 통해 그 도달 범위가 날로 확산되는 티비 드라마가 은주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할애했던 음주의 맥락과 그 사회적 함의에 중점을 두면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신 인기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해 음주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둘째,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시청하는 수용자들이 음주 현실에 대해 어떤 인식을 형성해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지상파 3사에서 방영된 시청률 20% 이상 현대물 드라마 12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한 결과 술 마시기는 일상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남녀 간 이상적인 로맨스 매개물로서 제시되는 양상이 지배적이며 인간관계에서 갈등, 어색함을 풀고 화해와 이해를 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주자 성별 면에서는 여성 음주자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드라마 속 여성 음주는 대부분 남성의 보호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문화 산물이 구성하는 음주 현실은 가부장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수용자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유형의 음주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 음주가 관찰학습의 대상이 되고 모방욕구를 창출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This study aimed to 1) analyze television drama text to examines how Korean television dramas represent alcohol drinking; 2) interview the actual drama audience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drinking and whether or not their perception is influenced by the drama text. The author analyzed 60 drama episodes from 12 prime time shows that reached over 20% rating from 2008 to 2010. The result shows that drinking in dramas are portrayed as a solution to various kinds of personal and business problems, medium of romance, a tool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at facilitates understanding and positive relationship. Female drinkers are prominent but their drinking is taking place under the patronage of male characters, which lead to the maintenance of patriarchal social relations. Interview findings show that the audience have strong motivation to imitate the glamourous lifestyles of leading characters in dramas. The findings strongly suggest observational learning was taking place, especially in the area where the viewers have no direct experience.

      • KCI등재

        실과와 가정교과의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양정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nection of the field on 'Nutrition and Food' among grades in the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The subject of analysis is 'Practical Arts'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and 'Home Economics' textbook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Practical Arts textbook of 5th, 6th grade and 5 Home Economics textbooks middle 1st, 3rd and high school. First of all, it is arranged the aim and contents, used analysis connection frame. The following contents are to summarize the result. First, 'Nutrition and Food' unit is presented nutrition, food, meals management in textbook. Second, aim in curriculum is agreed with contents in curriculum, but how to description in textbook is needed agreements. Third,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is connection to develope, but cont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are repetition. With the results analyzing connection among text contents, it is concluded that contents' connection has more developed and repeated. Specially, contents of Nutrition are mostly developmental contents, contents of Food are that one part is developmental contents and the other part is repeated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와 기술∙가정교과서 내용 중 식생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학년간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1종 교과서인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교과서와 중, 고등학교의 기술∙가정교과서이다. 기술∙가정교과서는 중학교 1, 3학년과 고등학교까지 출판된 교과서 중 5종을 추출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먼저, 학년별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정리하였고,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기준을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분야는 영양학, 식품학, 급식경영학의 체계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목표와 교육내용체계는 출판사별로 일치하고 있으나 교과서 서술방식에 있어서 합의가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과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 간에는 내용의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으나 중학교 학년별 내용은 반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교육내용은 일부분 격차를 보이거나 연계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지만, 발전된 내용과 반복된 내용이 많으므로 학년간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제2주제 :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PP의 역할 및 제도적 지원방향

        양정혜 한국방송학회 2005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Vol.- No.-

        방송 플랫폼이 급증하고 해외시장 진출이 장기적 트렌드로 확산되어 나가면서 ‘콘텐츠가 왕’이라는 해외 미디어업계의 격언이 국내에서도 현실화되고 있다. 기존의 유료방송 시장은 지상파가 제작한 콘텐츠와 저렴한 헐리우드 제작물에 다소 과도하게 의존해 왔다. 그러나 국산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키고 늘어나는 콘텐츠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PP들은 유통채널에서 벗어나 자체 콘텐츠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콘텐츠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상파, SO, 위성사업자, 독립제작사, 통신사업자, PP 등 콘텐츠 생산과 유통에 관련된 다양한 시장 주체들이 상호 연계해가면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지만 본 논의에서는 PP들이 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일차적으로 다양한 유료방송 사업 주체들과의 관계에서 정상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각종 불공정 계약/거래를 제도적으로 근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PP들은 자체제작의 비율을 꾸준히 늘려나가면서 채널 정체성을 분명히 살려 채널의 브랜드화를 공고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MPP들은 시장원리에 따라 투자유치 등을 통한 제작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고 중소 PP들은 정책적인 지원하에 MPP화 해나가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로운 융합매체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 틈새시장을 개발, 특화함으로써 경제적 이윤도 창출하고 콘텐츠 경쟁력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 국내 주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양정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9 No.-

        This study analyzed newspaper coverage of great oil spill in Taean area by identifying dominant news frames and their implications. Chosun Ilbo, Joong Ang Ilbo and Hankyore Shinmun were selected since the editorial tone of these papers range from more liberal perspective to the more conservative one. The result show that all the papers rely predominantly on the “Share and Volunteering Frame” in which the heroic efforts of more than million volunteers are highlighted. This frame conveys the meaning that the environmental disaster can be recovered by individual devotion. Simultaneously, this frame makes the fundamental cause and governmental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invisible from the public eye. In a similar vein, the coverage also highlight the “Procedure Frame” where all the details about how to obtain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international insurance fund is repeatedly explained. This framing also divert public attention from the more profound issue of anti-environmental business practice of global petrocorporate industry as well as the limited policy efforts on the part of the government. As as a whole, the newspaper framing of the environmental catastrophe implicitly contributed to the environmental status quo by leaving the corporations and government largely unquestioned and invisible. Further research should examine the actual newsroom process to reveal why and how environmental news tend to be the way they are.

      • KCI등재

        일-가족 균형적 관점에서 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Work-Family balance. Since the industrial age began, we have been facing very radical changes in Low-birth and aging society and a importance of work-family balance. Recently work-family balance have been raised as some polices including child care and conflicts of labor in home. However, work-family balance is needed education to manage, experience, training for family life.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 based on the view of “work-family"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using the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analysis for work-family balance were "domestic work", "vocational education", and "self-management of lif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cludes "domestic work", "vocational education" and "self-management of life". Th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had many contents of "domestic work" but, middle school had many contents of "self-management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가족 균형적 관점으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 진술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일-가족 균형에 관한 관점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진입이라는 사회적 위기감 고조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인한 가정의 구조적 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족 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 개입을 통해 해결하려는 다양한 정책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나 가족원들의 삶에 가시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일-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은 물리적 조건의 개선뿐만 아니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인식구조의 변화를 동반해야 하기 때문에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학습자들에게 학교교육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계획할 수 있는 주도적인 역할에 대한 고민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이론과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격의 분석을 통해서 일-가족 균형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세 가지 역량은 가족생활에 필요한 가사노동 기능, 직업생활을 준비하는 능력, 자원의 관리 및 활용 능력으로 추출하였으며, 실과(기술·가정)교과의 내용체계와 교과서를 통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기준으로 선정한 세 가지 역량은 일-가족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이론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인 제언에서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능력과 실과(기술․가정)교과의 성격에서 제시된 내용의 공통분모를 통해 유추하였다. 일-가족 균형을 위한 능력은 개인의 생활을 스스로 관리하고 미래의 직업생활을 준비하기 위한 것으로 실과교과의 정체성이 녹아있다고 할 수 있다. 분석대상이 된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서는 세 기준 중 가족생활에 필요한 가사노동을 주로 다루고 있었으며, 교과서의 경우 실과교과서는 가족생활에서 필요한 가사노동 능력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았으며,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교과서에서는 자원의 관리 및 활용과 관련된 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