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박수미(Soomi Park),한성현(Sunghyun Han)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2

        이 연구는 여성의 삶의 질에 ‘일’과 ‘가족’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일’과 ‘가족’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산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기혼 여성 902명에 대한 설문지 면접조사결과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노동자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ㆍ가족특성의 영향력에 변별성이 발견되었다. 가족특성이 기혼여성노동자의 정신건강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직업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ㆍ정신건강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여성들에게 직업이 갖는 의미가 재해석되어야 함을 암시하였다.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스트레스’의 효과처럼 동일한 변수가 성별로 상이한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에서 ‘일’에 대한 성별화된 사회규범이 해체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연령 증가, 자녀수 증가에 따라 정신 건강이 좋아진다는 결과에서 여성에게 ‘가족’과 ‘일’의 갈등적 측면 못지않게 지원적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셋째, 기혼여성노동자의 건강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가정형편’변수로서, 건강의 계층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저소득층에 대한 각별한 건강복지정책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characteristics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work and family for the quality of women's life. The subjects are 902 married women who are employed in manufactural and clerical occupations. This study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interview survey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 is obtained. This study finds that while family characteristics has influence on the only subjects' mental health, work characteristics has influence on the both subjec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is means the importance of work in women's life has increased more and more. Also this study finds the supportive relation of work and family for women as well as work/family conflict has increa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greater need for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health stratification.

      • KCI우수등재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ㆍ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박수미(Park Soomi)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2

        이 연구는 여성들의 취업력(就業歷)과 가족생활력 자료에 대한 사건사 분석을 통해서, 여성의 취업연속성이 증대하고 있다는 최근의 전망이 경험적으로도 입증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여성들의 노동력 공급모형이 여전히 불연속적인 형태를 띤다면 구체적으로 여성들의 경제활동상태에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이 무엇일까 하는 점을, 여성들의 최초 노동시장 진입ㆍ퇴장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최근 세대로 올수록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은 높아졌지만, 이것이 여성들의 취업연속성의 증대를 의미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즉 세대에 따라서 취업으로 이행하는 사건과 첫 취업을 중단하고 비취업으로 이행하는 사건의 결정 요인간에 질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보다는 출생코호트나 학력수준과는 무관하게 모든 여성들에게서 공통적으로, 결혼, 출산, 어린 자녀의 유무 등과 같은 생애사건들이 여성들의 경제활동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입ㆍ퇴장 행위에 여성들의 생애주기 순서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취업 이전에 결혼과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무려 8년 정도나 취업 시점을 연기시키고 있었다. 반면, 첫 취업을 하고서 결혼, 출산 등의 생애사건을 경험한 여성들은 일정 기간 동안 취업상태를 유지하다가 어린 자녀가 생기면서 둘째 출산을 경험하게 될 경우, 대부분 노동시장을 퇴장하는 전형적인 M자형 취업유형을 보이고 있다. 한국사회 여성노동의 특성은 전형적인 불연속적 노동력공급모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근 세대의 경우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tern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which factors determine women’s entry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abor market dynamics to conceptualize female workers’ labor market behavior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survival analysis.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will be limited only to the first entry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among Korean female workers. This research finds that women’s patter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does not change across the birth cohorts. The determinants of the younger generation’s first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s. Moreover, the causes of career interrup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 Unlike the predictions of human capital theory, women’s human capital like educational attainment and background of their parents does not affect women’s labor market behaviors, especially their career interruption. Life course events such as marriage and giving birth rather than women’s own human capital delay women’s first entry into the labor market. The second birth and existence of young children under age 6 are likely to interrupt women’s career rapidly. The pattern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s still discontinuous and varies remarkably by women’s life course stages.

      • KCI등재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박수미(Soo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1

        이 글은 한국사회 가족내 성 형평성과 둘째 출산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 초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정책적?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조사 당시 한 자녀를 둔 20-34세 기혼 여성의 둘째 출산 계획에 대한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516명 가운데 둘째 출산을 할 의향이 있는 여성들은 54.7%, 282명이었다. 분석결과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자녀 터울 조절’과 ‘원하는 자녀 구성’ 등 가족주기상의 가족계획으로 나타났다. 총가구원수가 많을수록 (90% 유의도 수준), 첫째 자녀의 성이 여아일수록 둘째 출산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가족내 부부의 ‘성 형평성 요인’은 기혼 취업 여성에게서만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혼 취업 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둘째 출산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전업주부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나 가사분담률과 같은 부부간 성 형평성 정도는 그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전업주부의 경우 둘째 출산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자녀양육기간을 단축하고 이후 재취업을 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가족내 성 형평성 여부가 둘째 출산 계획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기혼취업여성이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업주부여성 모두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별적인 생애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ㆍ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가족내 성 형평성 증대와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in Korea. For a factor analysis on the intention of having additional children for women with one child, I have used the data from the "2005 National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rend"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mong 516 samples(year of 20-44), women planning to have second birth are 54.7%, and other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no intention to have second birth. As a result, main causes affecting progressing to second birth seemed to be family planning on family cycle, such as controlling age gaps between first and second child, composing children genders as they wish etc. The variable of "gender equity between couples''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are of significant only with married working women group. In case of married working women, more the husband's houseworking hours increase, the more prone to progress to second birth. However, in case of housewives, gender equity level, such as husband's housework hours or share of housework are not of significant influence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Not only working mothers but also housewives nee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ity within the family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upport system for work-family life balance.

      • KCI등재

        한국청소년의 성평등의식 실태와 일반적 가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수미(Soo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3

        이 연구는 자라나는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내용은 첫째, 전국 대표성 있는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일반적 가치 실태를 조사하여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단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소년가치관조사” 자료이며, 조사대상자는 전국 132개 학교에서 추출된 학생 11,240명이다. 분석 결과, 2006년 청소년들은 과거 청소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성평등의식 수준이 높아졌으며, 특히 ‘가정내 공평한 가사분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지지 정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청소년 가치관 조사 결과 우려되는 부분은 성평등 의식 등 일반적인 태도 항목에서 남녀간 성별지체 현상이 매우 뚜렷하다는 점이다. 여학생의 성평등 의식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차별감수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보편주의 가치관’, ‘자기 성취 가치관’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이에 비해 남학생은 차별적 태도와 연결되는 ‘권력 가치’적 성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교육내용에 의식의 다양한 수준에서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Korean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n attempt to search for a way to increas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irst, this study carries out a survey of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key points needed to evaluat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youths' general values. The data used for this survey is from the survey on youths' values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06 with a sample of 11,240 students from 132 schools nationwide. As a result, youths in 2006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at of previous years(2002). Especially, the support for the fair share of domestic work in the house by youth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past. However, the survey of youths' values showed clear gender gaps in general attitudes of youths includ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emale students not only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 but also had higher levels of 'universal value' which would allow one to become sensitive to discrimination and 'self development and achievement value'. In contrast, male students scored high on 'power-oriented value' related to discriminatory attitudes. Therefore, the study recommends focusing on alleviating the gender gaps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other various media education.

      • KCI등재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박수미(Park Soomi)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1

        이 연구는 잦은 경력단절로 특정지워지는 여성취업 가운데,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두 번째 취업 이행 유형에 세대효과가 발견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취업력 자료(job history data)를 대상으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들의 ’학력’, ‘첫 취업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요소는 여성들의 재취업 이행과 재퇴장 이행 둘 다에 대해서 정(+)적 효과를 지니지 않았다. 반면, 여성들의 생애과정상의 변화들, 예를 들어 ‘결혼’, ‘첫 출산’, ‘6세 미만의 자녀양육기’ 등과 같은 생애사건은 여성들의 재취업률을 유의미하게 낮췄다. 동시에 ‘둘째, 셋째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들은 그 동안 미뤄왔던 재취업을 적극적으로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퇴장에 대한 분석결과에선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퇴장 행위가 ‘연령’의 증가와 생애과정단계의 변화에 따른 시간의존적인 퇴장 행위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저조한 여성들의 취업 상태를 통해서, 여성들이 생애과정의 일정한 단계 혹은 일정한 연령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럽게 일생의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이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한국사회 여성들의 취업유형이 잦은 ‘경력변동’으로 특정지워지기보다는 취업경력상의 ‘저열함’으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야기하는 노동력 수요의 측면과 정책적ㆍ규범적 측면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tern of the Korean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s which determine women's reentry into and re-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investigates labor market dynamic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event history analysis, to conceptualize labor market behaviors. we find that human capital variables - education, job career, duration of previous work, type of previous work and so on -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and reexit. Instead, life course variables - marriage, childbearing, existence of young children under age 6 and so on -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Only the 'ag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women's second career interruption. we also find that the pattern of Korea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does not change across the birth cohort. Most of all we find an interesting fact that women's total duration of employment and total numbers of employment are too low. Korean women's pattern of labor force supply is very poor picture to debate which is more proper in two competing hypotheses - 'revolving doors theory' and 'accumulated disadvantage effect theory'.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varies remarkably by women's life course stages. So this study calls for more sophisticated, rather than simpler, models of women's labor force behavior and policy about women's work. Because women's employment decisions are products of the complex interplay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 2008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제 1차 기초분석보고서

        박수미(Soomi Park),이택면(Tackmeon Lee),김승연(Sungyeon Kim),우원규(Wonkyu Woo),강석훈(Seohgoon K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5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has conduct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 nationwide panel survey, in order to find out the structures/changes of women's lives and their families since the year 2006. The first wave data collection and data cleaning are completed as of the year 2008. This surve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mega-database that can track changes in family values, family relationships, family processes/events, and family structures, as well as transition in economic activity through women's life cycle, not only in longitudinal but also in cross-sectional contexts. The survey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policies for, child-care, work-family balance,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maternity promotion and related with low fertility & aging society. The survey targeted 10,000 females aged 19 ~ 64 in the 9,000 households chosen from a representative probability sample across the nation. Women aged between 19 and 64 (western age) were selected as the original sample for the survey. In case a female member in the household to which the original sample belongs reaches the age of 19, she is added to the original sample and traced in the subsequent waves. If there are any eligible members(women aged 19-64) in a new household which the original sample belongs by marriage, they are also included in the sample as long as they live with the original sample. Based on the first wave survey data,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held a academic symposium and presented 33 papers on 11 themes, inviting many related researchers and academic associations(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the Korea Labor Economic Association,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and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The institute also finalized the CAPI questionnaire for the 2nd wave survey after reviewing the first survey data and is conducting the 2nd wave field work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8. It has prepared and distributed information booklets such as <Women and Families Panel Brief> (twice a year) #3 and #4, and <KLoWF Research Reports>, the annual offical reports of KLoWF. It also has had field research team take all measures to minimize panel attrition in the second wave data collection. In 2008, the institute opened four Women and Families Panel Forums on the methods of panel data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ongitudinal data analysis.

      • KCI등재

        한국고령자의 생활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 - 일, 무급가족노동, 여가를 중심으로 : 한국고령자의 생활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

        박수미(Soomi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여성연구 Vol.72 No.-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의 1999년,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여성의 ‘일’, ‘무급가족노동’, ‘여가’활용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사회 고령여성의 생활세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1999년과 2004년 일, 가족, 여가를 둘러싼 고령집단의 성별 생활세계 유형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전체적으로 유급노동시간이 줄고 가족생활시간이 증가하였다. 고령집단의 경제활동상태 역시 청년층이나 중장년층과 마찬가지로 남성고령자의 유급노동시간이 여성고령자보다 길게 나타났다. 반면 무급노동시간은 여성고령자가 남성고령자보다 월등히 높아서 고령층에서도 성별분업관행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을 합한 총노동시간은 고령여성이 더 길고, 이것은 다시 여가시간의 활용 측면에서 고령여성을 불리하게 하는 것으로 작용했다. 생활시간사용을 통해서 살펴본 한국고령여성의 생활세계는 그들이 지금도 많은 일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열악한 여가생활을 하면서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평생 동안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을 병행하는 취업여성의 이중부담은 고령집단에서도 그대로 발견되며 바로 이 지점이 이들의 고단한 삶을 풀어주기 위해 사회전체가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life worlds’ of Korean elderly women on the basis of their time use. This study analyzes the original source of ‘Time Use data in 1999 and 2004’. In this study, ‘work,’ ‘domestic labor,’ and ‘spare time’ of elderly wome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tion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lderly women’s human capital was much lower than that of elderly men and remain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occupational status of elderly women including occupation type, working hours, etc. Their low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mployment as auxiliary work labor force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elderly women, and effectively change spare time and formation of life world. In the case of elderly women engaged in farming, they experience a double burden, as do married & employed women, because they not only have considerable paid working hours in spite of their aged ages, but also must perform unpaid work, and are far from the comfortable life of a retired senior. In regards to spare time, elderly women were hampered by poor personal background such as low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low occupational status, and poor economic independence level, which may present a serious problem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pare time to the elderly. Policy recommendations follow: 1) Creation of jobs for the elderly as an important task to be continuously carried out 2) Development of specialized cultural programs geared for the elderly to improve the generally poor quality of spare time, and augmentation of necessity for public relations.

      • KCI등재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박수미(Soomi Park),정기선(Kiseon Ch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여성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차별의식에 대한 전국규모의 조사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 갖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적 태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하고,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일반 가치와 편견적 태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비정규직과 학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낮았다. 그 밖의 동성애자나 자발적 무자녀 가정, 편부/편모 가정의 자녀 등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은 매우 강한 편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사회적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는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조직생활과 관련한 여성의 능력에 대한 편견과 기타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편견의 정도는 표준편차가 상당히 큰 편으로, 우리 사회에 이들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가지는 일반 가치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등 및 사회정의를 중시하는 보편주의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되어 있는 반면, 권력 가치는 소수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 사회의 편견적 태도를 줄이고 소수 집단에 대한 사회적 관용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minority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values that people have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m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n people’s consciousness of discrimination. As a result of a measurement of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a group, irregular workers and people with lower academic careers were the least victimized by prejudice. Discrimination towards those in minority groups such as lesbians/gays, voluntary childless families, single parent families, and so forth, were reported to be very serious matters. The older the subjects were and the lower their education backgrounds, the more severe the prejudice was towards such minority group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values that people have and their attitudes toward minority group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niversal values which emphasize equality and social justice tend to make people more supportive of minority groups, whereas values derived from power are linked to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inority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