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한국어 교육의 어제와 오늘

        김용현(Kim, Yong-hyu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7 No.-

        본 연구는 부산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부산 한국어 교육의 미래를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관련 자료, 문헌, 대학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과 대학·지역 사회의 커뮤니티가 부족하고 부산 지역의 한국어 교육 연구도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교육학 학부 전공이 3곳에 불과했고, 자체 한국어 교재를 개발한 학교는 절반에 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부산의 지역적 특색을 살리고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교육의 4요소인 학교, 교사, 학생, 교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부산 한국어 교육 발전의 기초를 다지고 골격을 세우기 위한 학부 전공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부산 유학생들의 전반적인 대학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 넷째, 지속적인 한국어 교재의 개발과 개정이 필요하고 지역 사회 문화를 교재에 반영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historically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Busan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o this end, we systematically looked at materials related to Busan, literatur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major at universities, and Korea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communities i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and Korean Language research in Busan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re were only three majors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only half of the schools developed their own Korean textbook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four elements of education: schools, teachers, students, textbook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n an undergraduate major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Busan. Second, re-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u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ird, we need to understand the overall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establish customized measures. Fourth,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is needed and local social culture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xtbooks.

      • KCI우수등재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한국어 교재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에 관한 연구

        오옥매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1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wo Korean language textbooks Korean Reading and Korean Conversation. The two textbooks were the first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Peking University, which was the only Korean language department since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frame, I examined the bibliographies of the two textbooks, the compilers, the subjects of use, etc., and analyzed the forms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Korean Reading and Korean Conversation published by Korean teachers Ma Cho-gun and Rhee Kae-yeol were the first textbooks attempt to complete th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within limited time and with limited data. The textbooks include the content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came from North Korea and Korean textbooks in the past, while maintaining the Korean writing system and textbook production methods at that time. The main purpose of the textbooks was to improve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to systematize and normal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o train practitioners of friendship and solidari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to inject ideology. Although it was not mad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learners' needs, the two textbooks tried to mee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actual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consideration for learners in terms of the constructive system stood out. At the same time, both textbooks became the forerunner of new learning materials in the early day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y following the spelling of North Korea in the Word-initial Rule, and by maintaining the tradition of past Korean reading materials along with social and political content related to socialism in terms of contents. The Korean Reading and Korean Conversation reflected not only the “Hangul Spelling Unification”. but also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s during the 3rd and 4th periods of education. Given this, we hope that the two textbooks will attract more attention in term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in the future. 본고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유일한 한국어 교육기관이었던 북경대학 한국어 학과에서 발간된 최초의 한국어 교재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를 대상으로 교재의 편찬과 출판 경위, 편찬자, 사용 대상 등에 대한 사항을 소개하고 교재론에 기반하여 두 교재의 형식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는 한국어 교사 馬超群과 李啓烈이 당시의 한글 표기법이나 제책 방식을 유지하면서 ‘조선’에서 유입된 신문·잡지나 과거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반영하는 등 제한된 자료와 제한된 시간 내에 근대적 한국어 교육 체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시도한 교재였다. 교재의 임무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한국어 교육의 체계화·규범화 외에 ‘조중’ 친선의 실천자 양성, 그리고 이데올로기 주입이었다. 비록 체계적인 학습자 요구 분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이 두 교재는 당대의 실정과 실제 한국어 학습 수요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하였고 구성 체제 면에서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돋보인다. 그러면서도 두음 법칙 등에서 ‘조선’의 철자법을 따르고 내용면에서는 사회주의와 관련된 사회 정치적 내용과 아울러 민족의 전통 문화 소개와 과거 한국어 독본 교재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새로운 학습 교재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에는 한글맞춤법 통일안이 반영되어 있고 제3차·제4차 교육령기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내용이 반영되고 있어 향후 한국어사 및 한국어교육사 측면에서 보다 많은 주목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 연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장서월 ( Zhang Shu Yu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빈도부사란 행동을 어느 정도 자주 하였는지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부사이다. 현재 사용되는 많은 한국어 교재에서는 빈도부사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빈도부사를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쉽게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빈도부사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무엇인지 초, 중, 고 등급별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세 가지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e of frequency adverb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equency adverbs are adverbs used to indicate how often an action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content on frequency adverbs, and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choosing and writing frequency adverbs, and errors often appear.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ing frequency adverbs, and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e of frequency adverbs was analyzed.In addi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frequency adverbs list presented in the 2017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Use. Through this, we looked at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grades, the differences between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compared to the frequency adverbs presented in the 2017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Application Study. Finally, three suggestions were presented when teaching Korean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김진호(Kim, Jin-h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우리 정부는 국내외의 다양한 계층을 아우르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의 정책과 운영이라는 측면에서 정부 기관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에 대한 정책 결정과 교육의 실질적인 운영은 교육과학기술부 (재외동포교육과)와 문화체육관광부(국어정책과)의 협의체와 산하기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유사한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차원에서 평가할 만하다. 다만 교육과학기술부 소관의 재외국민에 대한 민족 교육은 ‘한국학교’와 ‘한국교육원’에서 진행 중인데, 재외 동포의 한국어 교육은 세종 학당을 운영하는 문화체육관광부로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인 국립국어원과 재단법인인 한국어세계화재단은 그럴만한 충분한 역량을 축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껏 한국어세계화 보급을 위해 많은 일들을 해 왔으므로 성공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외교통상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도 특수한 목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을 담당해 오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증가에 따른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한 방편으로, 노동부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생활 적응을 위해, 법무부 역시 귀화하고자 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한국어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 나름대로의 의의와 가치가 존재할 수 있겠지만 해당 부서의 고유한 업무가 아닌 관계로 전시성, 일회성의 사업으로 그치는 문제 등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부서 간의 중복 사업들을 조정하고 지속적인 사업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이를 총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통일체가 절실하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나 노동부 그리고 법무부 등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그리고 이들을 가르칠 교사 양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기술들은 한국어교육을 전담하는 부서(예를 들면,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어세계화재단)에서 일괄적으로 시행하게 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functio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lik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etc in the persp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 The ministries are putting forces in fostering teach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tha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has been conducting social integration program as a way to support multi-culture family in tune with the increase in marital migrant women, Ministry of Labor in order for smooth adaptation of foreign laborers in Korea and Ministry of Justice also for the foreigners who intend to naturalize. Howev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 each ministry shall not be content in executing the events only for one-shot purpose. Such policies are desired to come with increase in reasonability or efficiency through mutual cooperation or coordination among the ministries. Therefore,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may become possible only when the educations of each Ministry and the software technologies utilized or the fostering of teachers who will teach are executed in a combined and dedicated manner by ministry that undertakes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일본 내 한국어 표기에 관한 일 고찰

        韓援炯 ( Han Won-hy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7

        본고는 일본 내의 다양한 장소에서 보이는 한국어 표기와 관련된 오류에 대하여 그 양상을 파악하고 분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한국어 표기와 관련된 오류를 확인하였다. 1. 표기의 오류 : 한글 표기의 오타나 띄어쓰기와 관련된 오류로 “ベビーベッド”의 한국어 병기 “귀저기 갈이용 탁자”, “屋上展望台”의 한국어 병기 “옥상잔망대” 등은 표기의 오류에 해당하고 “この先、通り抜けできません”의 한국어 병기 “당신은 통과 할 수 없습니다”, “許可車両以外進入禁止”의 한국어 병기 “관계자외 침입금지” 등은 띄어쓰기에 해당하는 오류이다. 2. 어휘적 오류 : 한글로 표기된 단어가 한국에서는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 방법이 상이한 경우로 “許可車両以外進入禁止”의 한국어 병기 “관계자외 침입금지”, “ベビーカー貸し出し”의 한국어 병기 “유모차대출”, “ドッグラン” “ドッグカフェ”의 한국어 병기 “개 난” “개 카페” 등이 이에 해당하는 오류이다. 3. 문법적 오류 : 비문법적 오류로 “같은 마크라도 사용할 수 없을 경우가 있습니다”, “使用済み注射器·針”의 한국어 병기 “사용 후 주사기·바늘” 등이 이에 해당하는 오류이다. 4. 어용적 오류 : 문법 측면에서의 오류는 없으나 한국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한 오류로 “앉으면서 이용하세요”, “길거리에서 불이 붙은 담배를 가지고 걷지 말것” 등이 이에 해당하는 오류이다. 5. 오역 : 한국어로의 번역을 잘못한 오류로 “鴨そば”의 한국어 병기 “오리 옆”, “牛バラ石焼ビビンバ”의 한국어 병기 “소 장미 돌솥 비빔밥”, “枡形山広場と展望台”의 한국어 병기 “합니다분이산광장전망대” 등이 이에 해당하는 오류이다. 6. 그 외에도 “大山”의 “오오야마” “丹沢山”의 “탄자와야마” “富士山”의 “후지산”과 같은 “山”의 한국어 병기의 불일치, “医療廃棄物(使用済み注射器·針等)は必ずお持ち帰りになり、正規の方法での処分をお願い致します”의 한국어 병기 “의료 폐기물(사용 후 주사기·바늘 등)은 다시 가져가시고 적절한 방법으로 취급을”, “棚へのよりかかりは危険ですのでおやめください”의 “난간에 기대 위험하오니 삼가 주십시오” 등의 글자의 누락, “飲み残し”의 “마셔 남기” “마셔남겨” “駐輪場”의 “주륜장” “경륜장” 등 동일 내용에 대한 한국어 표기가 서로 다른 경우 등이 보인다. This study has recognized the patterns of errors in Korean notation that is seen in various areas within Japan and has analyzed the errors to find the following outcomes. Errors in notation: These errors were related to mis-spelling or wrong spacing in Korean notation. Examples of errors in notation include “ベビーベッド” being translated into “귀저기 갈이용 탁자” and “屋上展望台” being translated into “옥상잔망대” while errors in spacing were seen in “この先、通り抜けできません” being translated into “당신은 통과 할 수 없습니다” and “許可車両以外進入禁止” being translated into “관계자외 침입금지”. Errors in vocabulary: These errors were related to the use of Korean words that were either misused or not used in Korea. Examples of errors in vocabulary include “許可車両以外進入禁止” being translated into “관계자외 침입금지”, “ベビーカー貸し出し” being translated into “유모차대출”, “ドッグラン” “ドッグ カフェ” being translated into “개 난” “개 카페”. Errors in grammar: Grammatical errors in Korean notation include “같은 마크라도 사용할 수 없을 경우가 있습니다” and “使用済み注射器·針” being translated into “사용 후 주사기·바늘”. Errors in expression: Despite no error in grammar, these errors have used awkward expressions that are not often used in Korea. Examples include “앉으면서 이용하세요” and “길거리에서 불이 붙은 담배를 가지고 걷지 말 것”. Wrong translation: These errors were caused by wrong translation from Japanese to Korean. Examples include “鴨そば” being translated into “오리 옆”, “牛バラ石焼ビビンバ” being translated into “소 장미 돌 솥 비빔밥”, and “枡形山広場と展望台” being translated into “합니다분이산광장전망대”. In addition, there were also cases of discord between the original Japanese word and the Korean notation. Examples of these include errors in Korean notation as seen in “大山” written as “오오야마”, “丹 沢山” written as “탄자와야마”, and “富士山” written as “후지산”. Examples of missing words in the Korean notation are seen in “医療廃棄物(使用済み注射器·針等)は必ずお持ち帰りになり、正規の方法での処 分をお願い致します” written as “의료 폐기물(사용 후 주사기·바늘 등)은 다시 가져가시고 적절한 방법으로 취급을” and “棚へのよりかかりは危険ですのでおやめください” written as “난간에 기대 위험하오니 삼가 주십시오”. Examples of differences in the Korean notation of the same Japanese word were noticed in “飲 み残し” written as “마셔 남기” “마셔남겨” and “駐輪場” written as “주륜장” “경륜장” respectivel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최권진,송경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결혼이민자는 15만 명이 넘어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결혼이민자의 조기 정착을 위해 한국어 교육, 다문화가족통합 교육, 다문화가족취업연계 및 교육지원 등 많은 정책을 실행해 오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 교육은 전국 212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 한 집합교육, 방문교육, 온라인 교육, 방송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다룬다. 먼저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때 사용되는 교재와 교사 지침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을향상하기 위해 여러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 고 있다. 먼저 한국어를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양한 목적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 활동과 관련된 주제와 내용이 교재에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현 교재는 언어의 네 기능이 통합되어 교육되 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초급 단계에서는 말하기와 듣기가 강 조되지만 한국어 수준이 높아지면서는점차 읽기와 쓰기가 더욱 중요시되어야 한다.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are not any more unfamiliar.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ImmigrationOffice of Korea, as of April 2014 the numb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are 152,020 and every year it is increasing. 85.3% of them are women and14.7% are men.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kingplenty of efforts for their early settlements in Korea. The efforts are suchas Korea language teaching, education for integration of multiculturalfamilies into the Korean society, educat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has beenfulfilled via various media such as 2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centers nation-wide, on-line internet services and education broadcastingservice, etc. This paper studies the teaching of Korean to female immigrants who havecome into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It examines the currentsituation of teaching Korean writing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makes analyses 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used at the centers. This research is performed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use of female immigran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 following points must be taken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writing competence of femaleimmigrants. The Korean textbooks must include various purposes forwhich the female immigrants learn Korean. Especially subjects andcontents concerned the social activities have to be reflected more activelyin the textbooks. Currently the four language skills are taught integrated,but differentiated emphasis must be given according to the levels;Speaking and listening is given more attention at the beginner’s level, andgradually reading and writing must get more attention at the upper levels. In addition, the teachers’ manuals must be composed in more specificdetails so that even teacher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can lead more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for writing.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 및 과제 : 통합형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리,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이른바 ‘한류’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자의 범위 확장에 기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일정부분 견인차 역할을 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역할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통합형 한국어 교재 다섯 권에서 제시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콘텐츠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Hammerly(1982)의 문화 분류 유형 중 성취문화(achievement culture)에 해당하는 문화콘텐츠가 한국어 문화교육의 사례로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 의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단계별로 선정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설정에 관한 기초 연구

        김정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육 환경의 전환에 따른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역량 구성요소를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디지털 역량 관련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초안을 설정하고, 한국어교육 분야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의견 수렴도, 합의도, 안정도를 산출하고자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주관적 의견을 바탕으로 상위 역량 및 세부 역량 요소의 재배열 및 수정을 실시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을 구성하고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 요소의 체계성 및 관련성, 적절성 등을검증한 후 최종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 도출된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는 2개의 범주 아래7개의 상위 역량과 25개의 세부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어 교원의 기본 역량’ 범주에 해당하는 상위 역량은 ‘디지털 기기 활용’, ‘디지털 의사소통’, ‘디지털 시민의식’, ‘디지털 안전 및 보안’ 역량이며, ‘한국어 교원의 교수학습 역량’에 해당하는 상위 역량은 ‘디지털 한국어교육 콘텐츠 활용’, ‘디지털 한국어 교수학습’, ‘디지털 한국어 평가’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한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설정은 향후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에 필요한 학문적 시사점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원 집단 간 디지털 역량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한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와 몽골어에 있어서의 언어예절에 대한 비교연구 - 호칭을 중심으로-

        D. Otgontsetseg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5 No.-

        This study’s purpose is to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use of honorific titles and raise awareness of manners in Korean language to Mongolians learning Korean and help them use Korean language correctly. Such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important for Mongolian students to use honorific titles correctly in using Korean as an everyday language and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s in Korean language and its language manners. Therefore, there is purpose in helping Mongolians learning Korean have sounder and deeper understanding in Korean language and in a more systematic comprehension of cultural and social factors reflected in both languag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itle use in Korean and Mongolia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This is because explaining with cultural comparison of learners’ mother tongue to the foreign language they learn would not only help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but also will work as an important study material for introducing the language’s culture and literature and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customs of the nation’s people as well. In the second chapter, we discu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made it clear that manners in language are important in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we examined honorific titles in both languages and looked 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ctual characteristics in application. Moreover, through such comparative analysis we wan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honorific custom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also shed a light on potential difficulties in learning languages or mutual cultural misunderstandings that could arise due to such differences. In the fifth chapter, we explained on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honorific titles in Korean and Mongolian, and asserted that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must pay attention to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Korean honorific titles. Therefore, we wanted to present Mongolian students principles to follow when using Korean titles which lack Mongolian counterparts. 본 연구는 양국의 호칭어 사용 특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밝히고 몽골인 학습자들의 올바른 언어 사용 및 한국의 언어 예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몽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일상 언어로서 구사함에 있어 올바른 호칭어를 사용하고, 나아가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한국의 언어 예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한국어와 몽골어에 있어서의 호칭어 사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에 대한 더 깊고 확실한 이해를 돕고 언어에 투영된 서로의 사회와 문화적인 요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의 1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 언어를 문화적인 관점에서 비교하여 가르치는 것이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문화와 문학을 소개하는 유일한 수업 자료가 되고 그 나라 민족의 문화와 풍습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는 것을 밝히면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논문의 2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예절의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논문의 3과 4장에서는 양 언어의 호칭법을 검토하고 실제 응용적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대비적 분석을 통해 두 언어의 호칭 경어관례의 차이점을 규명해보고 그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상호 문화적 오해나 학습의 어려움 또한 밝혀보고자 하였다. 논문의 5장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 호칭법의 형태 및 특징을 밝히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징에 주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호칭과 지칭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데 있어서 몽골어 호칭에 없는 한국어 호칭을 쓸 때 지켜야 할 원칙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학습 고찰 : 韓國語 敎育史的 觀點에서

        박근희(Park Keu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이 논문의 목적은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의 실체가 어떠했는지를 한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료집에서 한국인 및 한국어와 관련된 기록을 찾아 당시 선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선교사들이 한국어 학습을 위해 일상에서 사용했던 방법, 그리고 한국인에 대한 인상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실제 모습을 확인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는 지극히 어려운 언어’이며, ‘한국어 습득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선교사들은 열악한 상황에서도 일상에서 한국어 공부를 위해 자신들만의 방법을 구상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한국인을 인식하는 마포삼열 선교사의 태도가 한국에 정착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인을 더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록 선교의 목적이지만 당시 선교사들은 문맹자나 여성 교인들에게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한국어로 교육했던 모습들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종교적 사료라 할 수 있는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의 실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분야를 초월한 다각적인 시도의 연구들이 계속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educatio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learned Korean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To this end, we found records related to Koreans and the Korean language in the archives and identify and describe the missionarie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methods used by the missionaries in their daily live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ir impressions of Koreans,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education for Koreans. The missionarie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was that “Korean is an extremely difficult language” an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cquire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missionaries worked hard to devise and practice their own methods for studying Korean in everyday life, even in poor conditions.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S. A. Moffett s attitude, which recognized Koreans, settled in Korea, and he understood Koreans more and more positively over time. Additionally, even though they had missionary purposes, the missionaries at that time were able to learn how to teach illiterates and women in Korean using various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s at the true natur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missionaries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which can be called religious feed in the absence of activ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 look forward to continuing diverse research attempts beyond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