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실행연구

        이희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외국인 유학생이 전공 관련 분야에서 학문적인 성취를 이루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전공과목 관련 한국어 교육이라는 학습자의 요구와 직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증적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검증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S대학의 경영학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 실행과 평가 과정을 거쳐 그 효용성을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은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활용한 것으로, 언어 교수자가 내용 교수자로부터 강의계획서를 제공받는 최소한의 협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단계별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는 요구조사이다. 2019학년도 2학기 S대학 경영학 전공 신입생 17명을 대상으로 전공 한국어에 대한 학습자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들을 위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학문목적 기능별 기초 한국어 교육과정과 세부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을 통합시킨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학문목적 읽기’를 기반으로 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방식을 적용하고 언어 수업 후 전공 내용 수업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는 교육과정 설계 단계로, 먼저 학습자의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 결과와 내용 중심 교수 및 읽기 교육과정의 원리를 반영하여 교수요목의 내용 범주를 마련하였다. 설계된 교수요목은 주제·내용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하며 읽기 전략 중심의 기술 교수요목과 과제 중심 교수 교수요목이 접목된 통합 교수요목으로 어휘와 문법 교수요목이 추가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내용 과목인 ‘경영학원론’의 강의계획서를 검토하여 각 교수요목 범주의 목표를 설정하고 어휘, 문법, 읽기 전략 관련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어휘 및 문법 등의 교육 내용 선정은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어휘는 전공 용어를 설명하고 있는 어휘 중 동사와 명사로 활용 가능한 한자어를 ‘교육용 핵심 어휘’로 보고 전공 텍스트에서의 빈도, 교육용 어휘 목록의 중복도, 한자어 어근의 유추 가능성(학습의 용이성), 조어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문법은 학습자들이 전공 텍스트를 이해하고 학문 공동체에서 요구되는 표현을 함양해야 한다는 점에서 텍스트 관계 표지 중 문법 요소 관련 표지를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읽기 전략은 선행 연구와 학문목적 읽기 교재의 읽기 전략을 분석한 후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와 관련된 읽기 전략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과정은 학문목적 기능별 기초 한국어 교육과정과 세부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이 통합된 형태이므로 중간고사를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2단계로 나누고 중간고사 이전에는 개별 읽기 전략의 학습 및 연습에, 중간고사 이후에는 선수 학습한 개별 읽기 전략을 통합적으로 연습하는 것에 비중을 두어 교육 자료 및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는 교육과정 실행 단계이다. 2020학년도 2학기 신입생 22명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각 4주씩 최초 설계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행하여 후속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모든 교육과정이 종료된 후 교육과정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의 평가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전공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였다. 중간고사 이후 실행된 수정된 교육과정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곧 전공과목에 대한 흥미 촉진 및 불안감 감소로 이어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병존 언어 교수 효과’에 대해 20명(95%)의 학생이 ‘매우 만족’과 ‘만족’으로 응답하여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둘째,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전·후에 실시한 사전·사후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실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 ‘교육용 핵심 어휘’, ‘텍스트 관계 표지(문법)’, ‘읽기 전략’, ‘협력 읽기 활동’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과제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각 과별로 기초어휘, 학술 기본어휘, 전공 기본어휘로 구분되어 관련어 정보가 같이 제시되는 ‘새 어휘 예습 과제’와 ‘협력 읽기 활동을 위한 예습 과제’는 학습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전공 텍스트를 한국어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총 19명의 학생, 즉 90%가 학습 자료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이 자료 개발 방법은 언어 교수자에게도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 이유는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내용을 선택하고 자료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섯째,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는 ‘어휘’, ‘전공 기초 지식’, ‘읽기’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읽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수업 목표 달성의 측면에서 약 19%(4명)의 학생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실행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언어 숙달도가 낮을수록 전공과목과 더불어 전공 한국어 수업을 부담스러운 과목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자의 학업 적응에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학습자들은 전공 한국어 수업 중 전공 기초 지식, 읽기, 어휘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어휘와 문법은 어려움의 인식 정도가 감소한 반면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전공 기초 지식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 정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 대면 수업(교실)과 비대면 수업(Zoom)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교실)에 대해서는 19명(90%)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비대면 수업(Zoom)에 대해서는 15명(72%)이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데에 그쳤다. 본 연구 결과가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일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과 달리 전공과목과 관련된 ‘특수성’에 초점을 맞출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특정한 분야, 학습자의 특정 요구와 관련되는 것으로 ‘전공 계열 과목’보다는 ‘특정 전공과목’이, 주제 중심 교수’보다는 ‘병존 언어 교수’가 더 바람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교수자의 강의계획서에 따라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방식을 설계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은 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 현장의 한계로 인해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이 변형되어 적용되었지만 대부분의 학습자가 그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읽기’ 기반으로 병존 언어 교수 활용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읽기’ 기반의 교육과정은 내용-언어 교수자 간에 ‘강의계획서’ 공유라는 최소한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므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가 높은 ‘전공 기본어휘’, ‘전공 기초 지식’을 언어 수업 내용으로 다룰 수 있다. ‘읽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난 것은 학습자들이 ‘읽기’ 기반 수업이 ‘어휘’와 ‘전공 기초 지식 습득’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인식한 것으로, 그 효용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넷째, 언어 학습의 측면과 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언어 교수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은 유용하다. 학습자들이 교육 자료에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고, 적극적인 과제 수행을 보인 점에서 전공 텍스트 말뭉치 구성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용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교수자도 적극적으로 전공 텍스트 말뭉치를 활용해 교육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이 학습 부담감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2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구성하고 어휘를 반복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약 20%의 학생이 수업 목표 달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지 않았으며, 최초 실행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 설계 시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를 더욱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병존 언어 교수가 특수 학문목적 언어 교육과정에 가장 이상적인 모형이나 언어 교수자와 내용 교수자의 협력이라는 한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최소한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해 언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따라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모형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그 설계 절차를 구체적으로 밝혔으며 평가의 과정을 통해 효용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s to help foreign students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major fields of study. The goal is closely linked to Korean learners’ needs or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 which has consistently been raised since the early 2000s. To meet these needs,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should be empirically studied and verified using various methods. In this study, I developed a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S University, Seoul. I verified the curriculum’s effectiveness throug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course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veloping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apply a modifie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odel that assumes minimal cooperation and where the language instructor receives a syllabus from the content instruct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eeds Analysis: I conducted a survey and situation analysis for 17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S University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9 on the learners’ need for the Korean language for their major. The results indicated it would be most desirable to integrate the courses by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s concentrations under the major.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appropriate to apply a modifie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ethod, based on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organize major subject classes after language classes. Curriculum Design: I then established the categories of syllabus contents that reflect the result of the learners’ needs survey and situation analysis and the principles of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and reading curriculum. The designed syllabus integrates the reading strategy-oriented technical syllabus and the task-oriented syllabus based on the subject and content syllabus, with the addition of the vocabulary and grammar syllabus. Next, I reviewed the syllabus of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to set goals for each syllabus category and select the content for teaching vocabulary, grammar, and reading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under vocabulary and grammar, I built a corpus from the texts in the major field and utilized it. For vocabulary, Chinese characters that can be used as verbs and nouns, were selected as “keywords for education,” among terms used in the major. The frequency of these terms in the major’s text, the overlap of the educational vocabulary, the possibility of inference of Chinese roots (ease of learning), and word formation ability wer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For grammar, grammatical element-related markers, were analyzed for selection from the text-structure markers, considering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aid students’ comprehension of texts in the major and learn expressions required in the academic community. For reading strategies, I analyzed existing studies and the suggested strategies in textbooks relating to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selecting appropriate strategies primarily related to “lit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Finally,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integrates the courses by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as concentrations.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midterm;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odel were developed focusing on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individual reading strategies before the midterm, and on the comprehensive practice of individual strategies after the midterm.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final process involv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is was divided into the first draft and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for a total of 8 weeks for 22 freshmen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0 academic year. After the first draft curriculum was implemented, I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reflect the findings in the follow-up curriculum. After all curriculum were completed, a final draft of the curriculum was prepared.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pplying the ALI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applying the ALI mode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cquiring knowledge of the major.”Regarding the modified curriculum which was implemented after the midterm, more students reported a positive influence, citing the effect of sparking interest in and easing anxiety about major subjects.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also indicated positive results about the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effect”; 20 students, or 95%, said they were “very satisfied” or “satisfied,” imply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curriculum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ex-ante and ex-post Korean proficiency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onfirmed that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spondents’ Korean reading skills. Third, “Key Vocabulary for Education,” “Text-structure Markers (Grammar),” “Reading Strategies,” and “Collaborative Reading Activities,”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Fourth, The “New Vocabulary Preview”(are presented with related language informations **which are divided into basic vocabulary, basic academic vocabulary, and specialized vocabulary for each chapter) and “Preview for Collaborative Reading Activities” can be a burden to students. Nevertheless it was observed that respondents perceived them positive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assignments. Fifth, the use of textual material from the majo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ed to be helpful. In total, 19 students, or 90%,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materials; the material was also perceived positively by the instructors, as a corpus was built from the textual material from the major and used to select the contents and develop course material. Sixth, the learners’ needs for a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consistently represented as a needs for “vocabulary,”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and “reading.” However, the level of perception regarding the need for “reading”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ssessment of the modified curriculum. Seventh, it was found that four students, or about 19%, did not view the curriculum positively with regard to achieving class goals.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negatively perceived the first draft curriculum and the modified curriculum assessment. This indicates the lower the language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erceive the major class and major subjects being in Korean as burdensome, which may negatively affect their academic adjustment. Eighth, the learners were observed to have difficulties with basic knowledge, reading, and vocabulary in major classes conducted in Korean. As the curriculum proceeded, the perceived difficulty regarding vocabulary and grammar decreased, while the perceived difficulty regarding reading,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increased. Ninth, for class satisfaction, face-to-face classes (classroom) and online classes (Zoo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face-to-face classes (classroom), 19 students, or 90%, provided a positive evaluation, while for online classes (Zoom), only 15 students, or 72%,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effective when focused on “specificity” related to major subjects, unlike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This “specificity” is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areas or needs of learners, implying that the “specific subject of the major” can become more desirable than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ajor” an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ore desirable than “Theme-Based Instruction.” From this perspective, I developed a modified ALI model where Korean class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syllabus of the content instructors. Second, the modified ALI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Although the ALI model was modifi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a majority of the students reported positively regarding its effectiveness. Third, it is effective to design a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that applies the ALI model centered around “reading.” Based on the minimal cooperation between the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ors regarding sharing a “syllabus,” this curriculum can be highly feasible in the classroom situation and can cover “basic vocabulary of the major”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which is the principal needs of learners. The fact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need for “reading”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ssessment of the revised curriculum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learners perceiving the effectiveness of “reading-based classes” for acquiring “vocabulary”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Fourth, it is useful to organize the textual materials from the major into a corpus and use them as basic materials for teaching language in terms of learning the language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active task engagement, which implies the usefulness of constructing this corpus. Additionally, since it is practical for the instructor to organize the textual materials into a corpus and use it as basic materials,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major classes in Korean based on this corpus is recommended. Fifth, for learners with a low proficiency in Korean, the special academic Korean classes may increase the burden of learning; henc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urriculum taking this aspect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stages keeping these points in mind. It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ages and the same level of vocabulary was repeatedly presented. However, about 20% of the students did not respond positively to the achievement of class objectives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nswered negatively showed almost no change in the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that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vised one. This suggests that the leaner’s language proficienc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 carefully when designing a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for special academic purposes. In this study, I proposed a modified ALI model based on the minimal cooperation between the language instructor and content instructo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ALI model has not been actively used due to the limitation in cooperation between language and content instructors, despite it being an ideal model for a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designed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dditionally, we set the language education categories for implementation in the classroom by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develop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ss of developing a language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was designed based on the most realistic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the design procedure was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the evaluation.

      •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받아쓰기 학습 지도 방안 연구

        정미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언어 교육에 있어 통합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활동이 될 수 있는 받아쓰기를 한국어 교육에서도 제안하고 받아쓰기의 지도 방안을 위해 체계적인 교수 · 학습 방법을 모색해보면서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고자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받아쓰기의 학습 내용을 구체적으로 선정 및 조직하여 지도안을 구성해 보고 실제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받아쓰기 수업 모형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통해 받아쓰기가 가지는 언어 교육에 있어서의 효용적 가치를 밝혔다. Ⅱ장에서는 연구자가 제안하는 받아쓰기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받아쓰기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받아쓰기의 정의 및 유형을 알아보고 언어 교육에 있어서 받아쓰기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받아쓰기 교육 실태를 알아보았다. 첫째, 국어와 한국어의 현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통해 받아쓰기와 관련된 학습목표의 내용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 의미를 생각해보았다. 둘째, 한국어 교재를 바탕으로 교재 내의 받아쓰기 활동 유형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실제 수업시간 내에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받아쓰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국어 받아쓰기의 지도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고 단계별로 위계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지도안을 단계별로 구성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도 받아쓰기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라고 통합적인 학습 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한국어 교육 영역의 교수 ·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구체적인 지침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study proposes a dict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could be an integrated and active learning activity in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aimed at helping beginner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exploring systematic teacher-learning methods for guidance on dic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s and organizes the dictation learning contents in a concrete way, and aims to help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dictation instruc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room by organizing the guidance on dictation. It is as follows to sum up briefly. In chapter Ⅰ, reveal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showed the utility value of dictation i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previous study. In chapter Ⅱ, we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ictation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dictation proposed by the researcher, and identify the definition and type of dictation. Then we show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ictation i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Ⅲ, looked at the status of dict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While looking at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language and Korean language(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in the current education courses, we find out the contents of learning goals related to dict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nd consider the meaning of them. Second, ba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 examine the types of dictation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nd identify their problems. In chapter Ⅳ, the instruction contents of Korean language dictation were selected and organized so that dictation learning can b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practiced within the actual class time. Based on this, we organized specific the guidance on dictation in stage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dict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grated learning activities in actual education field. And also we expect it will serve as a concrete guide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 연구 : 절충식 교수법의 활용을 중심으로

        유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Causative grammar is very complicated and sometimes expressed in the way of vocabulary.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t’s truly hard for learners who speak Chinese as their isolated language. However,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s a very common grammar to used in daily life and writing, and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it for facilitate communication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is aims to mak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more easier for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In this study,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re divided into the singular causative expression, the long causative expression and the lexical causative expression. Sinc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r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the teaching method is showed differen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applied as an Eclectic Teaching Method which integrates the Audio-Lingual Method,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h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Chapter 1, we examin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teaching method for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for Chinese learner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done in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 for the time being, there are still have problems need to be solved, especially the memorization oriented teaching method seems to be very ineffici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Chapter 2 explains why Chinese learners are having so much difficulty in learning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Despite the fact that are frequent opinions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there still needs to unified standards to facilitat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concept and type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re regularized, and then the corresponded causative expressions in Chinese also need to b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Chinese is so common with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like diversity and complexity. It can be reasons for Chinese learners why have so much difficulties and errors in learning and using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types of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often made when they us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2 also revealed the causes of the errors. As a result, we also proposed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reduce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made when they us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in Chapter 4, we provide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for Chinese learners. This study provides a method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y using an Eclectic Teaching Method which integrates the Audio-Lingual Method,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h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educat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y using Eclectic Teaching Method. Further more, we discussed how to use the Eclectic Teaching Method reflected in learning elements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class. Finally, we searched for a teaching model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ed professor model, I tried to create a teaching method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y using the Eclectic Teaching Method. In Chapter 5, We briefly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t more easier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n order to accomplish that, this study emphasized that flexibility to use of the Eclectic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사동법은 결합법칙이 매우 복잡하며 어휘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사동표현을 학습할 때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모국어가 고립어인 중국인 학습자들이 더욱 그렇다. 그러나 한국어 사동표현은 일상생활 속이나 작문할 때 자주 쓰이는 일반적인 문법이기 때문에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사동표현을 반드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동표현을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사동표현을 단형 사동표현과 장형 사동표현, 어휘적 사동표현으로 분류하였다. 한국어 사동표현은 다양한 유형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그에 맞는 교수법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사동 수업에 청화식 교수법과 과제중심 교수법, 의사소통 교수법을 통합한 절충식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한국어 사동 교육에서 이루어져온 선행연구들이 많지만 여전히 문제가 존재하며 특히 암기 위주의 교수방법이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자는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효율적인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보았다. 제2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학습할 때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 원인을 밝혀냈다. 한국어 사동표현을 범주화하는 데에 학자마다 각각 다른 의견을 내놓았지만, 한국어 사동 교육을 수월하게 진행하려면 통일성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한국어 사동표현의 개념과 유형을 규칙화한 후에 그와 대응되는 중국어 사동표현도 비교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어 사동표현도 한국어 사동표현과 같이 다양성과 복잡성을 지닌다. 그것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의 학습과 활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많이 겪으며 사동표현 오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제3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사용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2장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서 그 오류들이 나타난 원인도 밝혔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사용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개선 방향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삼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화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 과제중심 교수법을 통합한 절충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제안하고 있는데 우선 그 선정 이유를 기술하였다. 또한 절충식 교수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사동표현을 교육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절충식 교수법의 활용이 한국어 사동표현 수업의 학습요소들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어 사동표현의 교수모형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제시된 교수모형에 따라 절충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했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어 사동표현의 특성에 맞는 절충식 교수법의 활용에 대한 주장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在韓國語作為外國語教學中,使動法的構成法則非常複雜,並且有時候以詞彙的方式表現。因此對於外國人學習者來說,在韓國語使動表現的學習過程中會遇到很多困難。尤其對於以屬於孤立語言體系的中國語為母語的學習者來說更是如此。但是使動表現作為日常生活或寫作時需要的常見語法,為了達到用韓國語溝通流暢的目的,韓國語使動表現是學習者必須掌握的內容。本研究以韓國語能力處於中級水平的中國人學習者為對象,目的是致力於探索使其能更有效地學習韓國語使動表現的教學辦法。 本研究中把韓國語使動表現分成短型使動表現,長型使動表現和詞彙型使動表現三種類型。由於韓國語使動表現本身通過不同的類型來實現,因此與之相符的教學辦法必然不同。據此本研究提議在韓國語使動表現的教學中使用由聽說式教學法,溝通式教學法和任務型教學法統合而成的折衷式教學法。 第一章中考察了為中國人學習者提供更有效韓國語使動表現教學辦法的必要性。雖然韓國語使動教育界至今已進行了許多先行研究,但還仍有許多問題存在。特別是以默記為主的教學辦法效率低下。為了解決這些問題,迫切地需要研究出有效的韓國語使動表現教學辦法。 第二章對中國人學習者在韓國語使動表現學習時遇到種種困難的原因進行了究明。即便研究學者們對於韓國語使動表現的歸門別類意見相異,為了韓國語使動表現教學的順利進行,切實需要統一的分類基準。因此在對韓國語使動表現的概念和類型規則化之後,對與之相對應的中國語使動表現也進行了比較分析。根據分析結果可知,中國語使動表現無異於韓國語使動表現,也具有多樣性和複雜性。這也正是中國人學習者在學習和使用韓國語使動表現的過程中,遇到種種困難並且常常產生誤用情況的原因。 第三章通過文獻研究的方法分析了中國人學習者在使用韓國語使動表現時常常發生的誤用類型。並且結合第二章的研究結果對這些誤用產生的原因進行了分析。據此為了減少中國人學習者使用韓國語使動表現時發生的錯誤,提出了針對性的改善方向。 第四章以前三章的研究結果作為基礎,為中國人學習者提供了有效的韓國語使動表現教學方案。本研究提議在韓國語使動表現教學中,靈活使用由聽說式教學法,溝通式教學法和任務型教學法統合而成的折衷式教學法。首先闡述了對此選定的理由,並且探討了以此教學的合理性。之後對於折衷式教學法的活用在韓國語使動表現教學的學習要素中如何體現進行了詳細描述。在此基礎上對韓國語使動表現的教學模型進行了探索。最後根據該教學模型制定並且展示了活用折衷式教學法的韓國語使動表現教學方案。 第五章簡單整理了本研究中的討論內容。本研究的目的是為了讓中國人學習者更加便利和有效地學習韓國語使動表現。為了實現該目標,本研究主張靈活使用與韓國語使動表現的特性相符的折衷式教學法并對此進行了強調。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 언어 연구

        이명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학습 해야 할 한국 신체 언어의 목록과 이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신체 언어는 문화 간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기제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체계적인 적용은 부족하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 언어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조사와 학습자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의 통계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신체 언어의 목록을 작성하여 교수·학습의 내용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할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용 신체 언어의 선정을 위해 신체 언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 교육용 신체 언어는 ‘인류 보편적이 아닌, 한국의 문화권에서 특수하게 사용되면서 교육적으로 적합한 신체 언어’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교육용 신체 언어의 특성 가운데 보편성과 특수성, 의사소통 기능성, 공손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용 신체 언어의 선정 기준을 한국적 특수성, 일상성, 현재성, 의사소통 기능성과 하위 기준인 공손성으로 설정하였다. 앞선 네 가지 기준은 이러한 특성의 여부로 신체 언어를 가름할 수 있는 것이고, 공손성은 위 네 가지 기준에 해당하되 상황 맥락에 따라 공손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른 형태가 있는 경우 이를 포함하도록 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주의해야 할 불공손한 형태도 포함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문헌 검토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신체 언어 목록을 찾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수집된 신체 언어에 대해 한국어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합성 판정 조사를 실시하여 CVR(내용타당도비율) 값으로 타당성이 확인된 42개 항목을 1차로 목록화 하였다. 이 가운데에서 학습자의 인지 수준과 요구에 부합하는 신체 언어를 찾고자 학습자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대학 기관에 재학하는 164명의 외국인 학습자를 6개의 지역 범주로 나누어 문화권별 차이를 알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과 문화적 차이가 크다고 여겨지는 지역이 신체 언어에서도 차이가 보다 크며 한국 신체 언어에 대한 인지가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차 선정의 결과, 최종적으로 25개 항목에 대한 인지가 낮아 이의 교육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도 신체 언어 학습에 대해서 상당히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재에 신체 언어가 어느 정도 구현되어 있는지를 목표와 내용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한국어 통합 교재와 문화 중심 교재 총 61권을 분석한 결과, 단 9군데에서만 신체 언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대부분 이해를 위한 정보 제공 차원에 머무르고 있으며 목표 제시, 내용 구성, 연습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가 충분치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목록화 된 25개 신체 언어 항목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기존 한국어 교수요목에 신체 언어 항목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신체 언어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으로 기능을 중심으로 하고, 한국어 수준별로 교수·학습을 다르게 적용하며, 명시적으로 형태, 의미, 기능을 제시하고, 학습자 모국의 신체 언어와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교육용 신체 언어에 관한 연구와 교육적 구현은 현재 초기 단계라 볼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선정 기준을 세우고 실증적 통계 방법으로 신체 언어 목록을 마련하고 이를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body language which should be taught and learn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 body language is an essential mechanism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ts systematic applic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sufficient. This dissertation sets up the selection criteria of body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an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 list of Korean body language is made, and the content and the ways to implement it are suggested.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ody language were discussed for the selection of body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Korean body language for education was defined as 'a body language that is not universal to humankind, but is used specially in Korean culture and is educationally suitable'. In addition, ideas were developed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ody languag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communication functionality, and politeness. These discussions led to set the 5 selection criteria of Korean body language for foreigners: Korean specificity, dailiness, currentnes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and politeness which is a subordinate criterion. The four preceding criteria are the ones to distinguish the body language by the characteristic, and politeness is the criterion that covers the four criteria above and also includes the case of the heterogeneity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politenes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The criterion of politeness also contains impolite forms to refrain from. Based on these criteria, this dissertation revealed a list of body language that meets social nee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vestigation. Conformity test was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sts about the body language collected so far. 42 items whose validity was confirmed by CVR (Content Validity Ratio) value were derived as the first list. From the first list, a questionnaire survey was prepared in order to find the items to match the learners' cognitive level and the body language needs. 164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were divided into 6 regional categories with an aim to find cultural differences. It was revealed that the region where the cultural difference is big with Korea is also bigger in the body language difference, and it is harder to recognize the Korean body language. The survey result showed the recognition of 25 items was low, and we could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 of them. In addition, the learners evaluated the necessity of learning the body language by 3.84 points out of 5 points.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body language was implemented in Korean textbooks through goal and contents analysis. A total of 61 Korean textbooks and cultural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body language items were explicitly shown in only nine parts. Most of them were only provided as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re were not enough devices available to present goals, structure contents, and practice and utilize the language. Finally, the 25 body language items were presented as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ntent.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4 methods: focusing on the function, apply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Korean level, presenting form, meaning and function explicitly, and comparing the body language with the one of the learner's country. The current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body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an early stage. In this dissert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selection criterion was established for general 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 list of body language was set up through statistical methods and composed as education contents.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방안 연구 : 대중문화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조승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웹툰을 한국어 교육에서 실제적 교육 자료로 보고 이를 통한 대중문화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 방안으로 제시한다.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언어문화의 집합체이자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웹툰을 수업의 자료로 활용하여, 단순히 의사소통의 지식을 넓히는 것을 넘어서 한국의 언어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한국문화를 접하게 된다는 점에서 인턴넷 기반 만화인 웹툰은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연구사를 검토하여 본고의 목적과 동기,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하고, 대상을 대중문화 교육으로 정한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웹툰을 활용한 교육방안 연구와 웹툰의 특성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 본 후, 각 장에서 진행될 연구의 방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방안의 전제로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의 학습동기의 정의와 학습동기를 기술하였다. 동시에 웹툰의 교육적 활용가치 측면인 웹툰의 교육적 효용성을 살피면서, 그 교육적 효과와 웹툰이 명시된 교육과정, 현용 교과서의 웹툰 활용양상과 문제점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학습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응답한 유형 및 각종 언론보도에 나타난 동기 등을 바탕으로 대중문화 교육 과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였고 그중에서 본고의 주요 대상자인 중급 수준의 한류애청자들을 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대중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웹툰 교수와 학습 자료의 실제를 보여주고 웹툰을 활용한 교수·학습활동을 접목시켜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함께 차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툰이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매체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여러 가지 주제와 장르의 작품을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제공해주고 또한 작품과 관련된 시각자료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이해를 도와주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한국어교육 자료로써 매우 유용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만화에 비해서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본 연구가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언어문화의 집합체이고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웹툰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효율적으로 교육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장단음(長短音) 어휘교육 연구 : 철자가 같은 어휘를 중심으로

        박시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mind educators that the vowel length is an important linguistic element of Korean and to propose how to teach international learners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tracts a basic list of homographs that are suitable for each grade level for the vocabulary education and suggests a teaching mode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actual teaching environment. To be specific, 274 vowel length words are extracted from the vocabulary list of the 4th stage repor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presen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fter that, this study explains the basic principles and each step of the teaching model for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and summarizes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pilot class where the teaching model is employed. The proposed teaching model involves three steps in the order of “teaching,” “recording,” and “evaluating,” which are based on the bottom-up approach that centers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A pilot class is conducted for each level: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study reports the teacher’s preparation process and progress, an analysis of recordings, and a post-test analysis.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post-test result with pre-test result in the pilot clas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paired sample t-test are used to statistically determine the followings: (1) whether it is effective to teach international learners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 (2) and which types of questions are more appropriate to confirm whether or not teaching Korean homographs focusing on vowel length is effective. Consequently, it turns out to be effective to teach international learners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wo statistical values are obtained: the first statistic value confirm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orrect answer rate obtained only by “listening” question type, and the second statistic value analyzes the correct answer rate obtained from the “listening and writing” question type. Then, the paired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compare the correct answer rate of “listening” and “listening and writing” question types of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to analyze which type of question is more effective in check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ong-short vowels class. Listening questions alone are enough to check the effect. The writing questions were not necessary to check it. Finally, this study puts an emphasis on its contribu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has not been any apparent progress regarding this mat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far. What makes this stud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it suggests that Korean short- and long-vowel education should be taught for Korean learners at the level of beginning.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hort and long-vowel education is not necessary at all for Korean learners or that intermediate learners should be instructed first, not beginners. Also,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homographs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s. The val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empirical and educational value in that the researcher conducted classes based on the proposed teaching model. Also, the extracted basic list of 274 word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is informative in that it provides useful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ducts a statistical analysis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s of teaching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For future studies, additional experimental data may be collected to establish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s regarding this matter. Key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rasegmental, vowel length, homographs, words with meaning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teaching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장단음이 한국어의 중요한 언어적 요소임을 상기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장단음 수업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장단음 어휘 교수’를 목적으로 급수별 수준에 맞는 목표 어휘를 선정하고 그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모형을 제안할 것이다. 본격적으로 교수 모형을 제안하기 전에,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 4단계 보고서의 어휘 목록에서 총 274개의 장단음 어휘를 추출하였고 수업 전 사전 평가를 실행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이어서 장단음을 위한 교수 모형의 기본 원리와 단계별 내용을 설명하고 그를 활용한 대학 기관 내 정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수업 시연 진행 및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는 장단음 교수에 크게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여기서 제안하는 교수 모형은 의사소통 학습법을 중심으로 한 상향식 접근식을 기반으로 ‘학습하기’-‘녹음하기’-‘평가하기’ 순으로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 시연은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기 실행되었으며, 준비 과정 및 진행, 녹음 파일 분석, 평가지 분석 내용을 담았다. 이후, 해당 수업 시연의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사전 평가의 결과와 비교하여 장단음 어휘를 확실히 분별할 수 있게 되었는지와 어떤 문제 유형이 장단음 어휘 교육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데 더 적절한지를 통계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단순히 교수 모형을 제안한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장단음 어휘 274자를 추출하여 한국어 교육의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그리고 수업 시연을 마무리한 후, 사전-사후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수업에서 얻게 된 학습자의 평가 결과와 사전 평가의 결과를 데이터로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다. 이 통계를 실행함으로써, 장단음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으며 평가 문제 유형에서 쓰기는 필수적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장단음 어휘 중에서도 철자가 같은 어휘를 쌍으로 묶어 제시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장단음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나 중급 학습자부터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과 달리 초급 학습자부터 충분히 한국어 장단음 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장단음 교수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더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장단음 교수 단계화를 정립할 수 있으며 어휘쌍을 이루지 않는 장단음 어휘로까지 대상을 확장할 수 있다.

      • 외국인 가정 자녀를 위한 과제 중심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 저학년(1,2학년)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정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는 저학년 외국인 가정 자녀들을 위해 ‘저학년 아동’이라는 범용적 특성과 함께 제2언어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가정 자녀’라는 특수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학습자 요구분석 결과 드러난 시사점을 반영한 과제 중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데 있다. 전문가 집단 면접 분석 결과 현 교육체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학년제 교육과정’ 및 ‘유형별 특성을 반영해내지 못한 교육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최근 가장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유형인 ‘외국인 가정 자녀’로 그 대상을 한정하고 그 중에서도 저학년 학습자로 범주를 세분화하여 적용함으로서 현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데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과제 중심 교수법에 대해 고찰하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학습자 집단의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과제 중심 교수법이 왜 저학년 외국인 가정 자녀에게 적합한지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 집단에게 필요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교재 분석, 학습자 요구분석, 전문가 집단면접(Focused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관련이 있는 ‘대상’과 ‘교수법’의 두 가지 범주 차원에서 분류하였다. 저학년 외국인 가정 자녀라는 세분화된 층위의 대상으로 진행된 한국어 교육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그래서 연구 대상을 다문화 배경 자녀로 확장하여 이들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연구와 과제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한국어 교육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우선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의 개념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Long(1985)이 제시한 과제 중심 교수요목 설계 절차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용할 외국인 가정 자녀를 위한 과제 중심 교수요목 설계 절차를 도출하였다. 또한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과제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본 논문의 연구 대상에 부합하는 과제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과제의 개념을 구축한 이후에는 과제의 유형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 적용할 유형들을 추출하여 과제 배열의 조직도를 구안하였다. 이후 ‘과제’와 ‘저학년 외국인 가정 자녀’와의 연결 고리를 구축하기 위해 연구의 대상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때 저학년 학습자라는 특성과 더불어 외국인 가정 자녀라는 특수성이 더해진 본 연구 대상에 대해 유형별, 발달 단계별, 이들이 속한 한국어 교육 체계별 특성 등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외국인 가정 자녀 밀집 지역인 A지역의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자 집단을 중심으로 학생 110명, 교사 14명, 학부모 110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여 교수요목 설계에 반영할 시사점 및 과제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된 학습자 요구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설계 절차와 각 단계별 원리를 적용하여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과제 중심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 교수요목이 교육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결 지점을 만들기 위해 본 고의 교수요목 중 한 단원을 Ⅱ장에서 설정한 과제 배열 원칙에 맞추어 구안ㆍ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흐름과 결과를 정리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를 서술한다. 그리고 앞으로 본 연구에서 설계된 교수요목이 학습 현장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고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언하며 마무리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저학년 외국인 가정 자녀들을 접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과 절차에 대한 맥락과 기준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나아가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을 유형별, 발달 단계별, 수준별로 보다 세분화하고 이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설계된 교육과정, 교수요목, 교재 및 과제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또한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인들에 대해 규명하고 이들의 언어 사용 양상에 대해 현재적 진단 및 미래 전망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현장의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풍부한 한국어 교육 자료가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KSL, 한국어 교수요목, 과제 중심 교수법, 외국인 가정 자녀

      •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리량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교수·학습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어떤 교육 자원을 선택해서 어떤 방법으로 교육을 해야 교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은 교육계에서 늘 주목하고 연구하고 있는 과제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한 후에 한국사람 혹은 한국어로 말하는 사람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그런데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목표어 환경에서 한국 사람과 말할 기회가 많이 없는 경우에 한국어 말하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본다. 또한 교재를 통해 언어 지식을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어 수업할 때 드라마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드라마는 시청각 교육 자료로서 실제적인 언어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언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한 “한류”의 영향에 따라 한국 드라마도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갈수록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드라마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열중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고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먼저 연구 목적, 연구방법, 선행연구들에 대해 논의 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시청각 교육에 대한 이론 검토, 영상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론 검토를 진행하였다. 제3장은 중급 단계 말하기 영역 평가 기준을 참고하고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교수·학습 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말하기 교육에서 드라마의 교육적 가치, 어떠한 기준에 따라 드라마를 선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은 영상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드라마의 개요 및 선정 이유를 제시하여 한국어 중급 단계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고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이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시청각 매체로서의 드라마를 언어 교육 자료로 말하기 수업에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필자는 본 연구의 수업 지도안을 실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의 활용을 통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diversifying. What kind of educational resources should be selected and how to educate them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After learning Korean, the main purpo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Korean or speaking Korean. However, if Korean language learners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speak with Koreans in the actual target language environment,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Korean speaking skills. In addi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in which language knowledge can be input through textbooks. To supplement this, I would like to use drama as an educational material when teaching Korean. Drama is an audiovisual educational resource that provides a practical language environment, stimulates learners' interest, and help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anguage learning. Also,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Korean dramas are attracting great attention both at home and abroad, and more and more Korean learners are keen to learn Korean through Korean dram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speaking teaching methods using dramas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speaking skills of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Chapter 1, as an introduction, first discussed the purpose of research, methods of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the theory-review of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visual media were examined. Chapter 3 refers to the assessment criteria for intermediate level speaking areas and sets educational goals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Accordingly, the teaching and learning items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described the educational value of drama and the criteria to select the drama in speaking education for intermediate learners. Chapter 4 designed the teaching model of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image media. By 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drama and the reasons for the selection, this study suggested a teaching method of speaking class using drama, focusing on improving the speaking ability of intermediate level learners of Korean. Chapter 5 summarizes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use of drama as an audio-visual media in speaking class, and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plan by designing a speaking class model using drama for intermediate learners.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speaking ability of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by using the teaching plan of this study in actual Korean speaking class.

      • 고급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접속 표현 교육 방안

        김선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ose contents for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for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by examining learners’ usage patterns and errors of conjunctive expressions. Understanding and using of conjunctive expressions properly is able to use as a strategy for writing as well as reading. This paper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al courses, and analyzed the usages and errors of conjunctive expressions the learners made in their writing to utilize the conjunctive expressions as a strategy. In Chapter 2, defini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is explained, and they are categorized into meaning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The element of vocabulary which has conjunctive function in the length of a sentence or more is defined as conjunctive expressions. And in order to meet convenience of education, not only conjunctive adverbs but also idiomatic expressions are studied in the paper, and the terms in semantic category are defined in a simple way. In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is described. By studying teaching materials of regular Korean educational course, it is found that conjunctive expressions are taught and learned as a category of vocabulary. By interviewing the teachers who teach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writing, understandings of conjunctive expressions by the teachers, direction of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and the actual feedbacks of the teachers on the practical writings of their students are studied. In doing so, it is found that in case of teaching conjunctive expressions teaching and learning of vocabulary shall be accompanied by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al aspect of the language, while teaching and learning of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shall be separated. In Chapter 4,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ading materials of textbook, writings written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writings written by advanced Korean learners, tendencies of usage of conjunctive expressions are studied to analyze their errors in the expressions. Due to the fact that a learner studies and learns a written language based on a textbook, it is believed that reading materials of textbook can be considered as good example to learners. Therefore reading materials of textbook can be a standard to analyze their writings.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found that learners use conjunctive expressions twice often than the other two groups are compared, and they show a different tendency in frequently used conjunctive expressions than the others. In this Chapter, the needs of continuous education of semantic category of conjunctive expressions, applications of conjunctive expressions in the length of paragraph as well as sentence, and education of utilizing the conjunctive expressions which are essential are identified to the advanced learners. In Chapter 5, based on the studies from Chapter 3 and 4 the examples of educational plan of conjunctive expressions are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a study of conjunctive expressions is made including conjunctive adverb and idiomatic expressions in aspect of education, the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based on the practical writings of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and new and refreshing point of view of teaching and learning conjunctive expressions is suggested by including the omission of unnecessary conjunctive expressions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본 논문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가 작문에서 사용하는 접속 표현의 양상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접속 표현 교육 내용을 구성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접속 표현의 쓰임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 수행 시 하나의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접속 표현의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접속 표현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학습자의 작문에서 사용된 접속 표현의 양상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 맞게 접속 표현을 정의하고 연구에서 분석한 접속 표현을 목록화 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접속 표현의 의미를 범주화 하였다. 문장 이상의 단위에서 접속 기능을 하는 어휘적 요소를 접속 표현으로 규정하고 교육의 편의를 고려하여 접속 부사뿐만 아니라 관용 표현을 포함하였으며 의미 범주의 용어를 쉽고 단순하게 정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접속 표현의 교육 현황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정규 과정의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접속 표현은 어휘의 개념으로 교수·학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사 인터뷰를 통해 쓰기 교육의 현황, 접속 표현에 대한 교사 인식, 접속 표현의 교육 방향, 실제 작문에서 교사들의 피드백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 표현에 대한 교육은 어휘 교수·학습뿐 아니라 기능 교수·학습과 연계하고 입말과 글말에서 사용하는 접속 표현을 구분해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교재 지문, 원어민 그리고 고급 학습자의 작문을 비교 분석하여 학습자의 접속 표현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이후 학습자 작문에 사용된 접속 표현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쓰기 학습 수행 시 교재의 읽기 지문을 모범으로 삼기 때문에 교재의 읽기 자료는 학습자 작문을 파악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세 집단의 자료 분석 결과 학습자는 교재의 읽기 지문과 원어민에 비해 2배 정도 접속 표현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고빈도로 사용하는 의미 범주도 두 집단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의 자료 분석을 통해 고급 학습자에게 접속 표현의 의미 범주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문장 단위뿐 아니라 단락 이상의 단위에서 사용하는 접속 표현 활용 교육, 필요한 접속 표현만 사용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3,4장에서 확인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접속 표현의 교육 내용을 구성해서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접속 표현에 접속 부사뿐만 아니라 교육적 관점에서 관용 표현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과 한국어 학습자와 원어민의 실제 작문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의 구성을 시도했다는 점, 그리고 접속 표현 생략을 교육 내용에 포함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