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장단음(長短音) 어휘교육 연구 : 철자가 같은 어휘를 중심으로

        박시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mind educators that the vowel length is an important linguistic element of Korean and to propose how to teach international learners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tracts a basic list of homographs that are suitable for each grade level for the vocabulary education and suggests a teaching mode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actual teaching environment. To be specific, 274 vowel length words are extracted from the vocabulary list of the 4th stage repor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presen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fter that, this study explains the basic principles and each step of the teaching model for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and summarizes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pilot class where the teaching model is employed. The proposed teaching model involves three steps in the order of “teaching,” “recording,” and “evaluating,” which are based on the bottom-up approach that centers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A pilot class is conducted for each level: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study reports the teacher’s preparation process and progress, an analysis of recordings, and a post-test analysis.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post-test result with pre-test result in the pilot clas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paired sample t-test are used to statistically determine the followings: (1) whether it is effective to teach international learners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 (2) and which types of questions are more appropriate to confirm whether or not teaching Korean homographs focusing on vowel length is effective. Consequently, it turns out to be effective to teach international learners Korean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wo statistical values are obtained: the first statistic value confirm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orrect answer rate obtained only by “listening” question type, and the second statistic value analyzes the correct answer rate obtained from the “listening and writing” question type. Then, the paired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compare the correct answer rate of “listening” and “listening and writing” question types of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to analyze which type of question is more effective in check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ong-short vowels class. Listening questions alone are enough to check the effect. The writing questions were not necessary to check it. Finally, this study puts an emphasis on its contribu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has not been any apparent progress regarding this mat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far. What makes this stud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it suggests that Korean short- and long-vowel education should be taught for Korean learners at the level of beginning.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hort and long-vowel education is not necessary at all for Korean learners or that intermediate learners should be instructed first, not beginners. Also,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homographs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s. The val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empirical and educational value in that the researcher conducted classes based on the proposed teaching model. Also, the extracted basic list of 274 word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is informative in that it provides useful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ducts a statistical analysis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s of teaching homograph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focusing on long- and short-vowel education. For future studies, additional experimental data may be collected to establish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s regarding this matter. Key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rasegmental, vowel length, homographs, words with meanings distinguished by vowel length, teaching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장단음이 한국어의 중요한 언어적 요소임을 상기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장단음 수업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장단음 어휘 교수’를 목적으로 급수별 수준에 맞는 목표 어휘를 선정하고 그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모형을 제안할 것이다. 본격적으로 교수 모형을 제안하기 전에,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 4단계 보고서의 어휘 목록에서 총 274개의 장단음 어휘를 추출하였고 수업 전 사전 평가를 실행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이어서 장단음을 위한 교수 모형의 기본 원리와 단계별 내용을 설명하고 그를 활용한 대학 기관 내 정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수업 시연 진행 및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는 장단음 교수에 크게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여기서 제안하는 교수 모형은 의사소통 학습법을 중심으로 한 상향식 접근식을 기반으로 ‘학습하기’-‘녹음하기’-‘평가하기’ 순으로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 시연은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기 실행되었으며, 준비 과정 및 진행, 녹음 파일 분석, 평가지 분석 내용을 담았다. 이후, 해당 수업 시연의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사전 평가의 결과와 비교하여 장단음 어휘를 확실히 분별할 수 있게 되었는지와 어떤 문제 유형이 장단음 어휘 교육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데 더 적절한지를 통계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단순히 교수 모형을 제안한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장단음 어휘 274자를 추출하여 한국어 교육의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그리고 수업 시연을 마무리한 후, 사전-사후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수업에서 얻게 된 학습자의 평가 결과와 사전 평가의 결과를 데이터로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다. 이 통계를 실행함으로써, 장단음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으며 평가 문제 유형에서 쓰기는 필수적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장단음 어휘 중에서도 철자가 같은 어휘를 쌍으로 묶어 제시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장단음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나 중급 학습자부터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과 달리 초급 학습자부터 충분히 한국어 장단음 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장단음 교수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더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장단음 교수 단계화를 정립할 수 있으며 어휘쌍을 이루지 않는 장단음 어휘로까지 대상을 확장할 수 있다.

      • 몰입적 가상현실 전시 경험을 위한 2.5D 기반의 콘텐츠 재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박시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상현실(VR)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상공간을 활용한 전시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VR 전시는 기존의 갤러리나 박물관에서 전시물을 배치할 때의 전통적인 큐레이팅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관람객이 관조적으로 감상할 수밖에 없는 물리적 환경을 가정한 기존의 큐레이팅 방식은 가상현실 기술이 제공하는 특징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플랫폼만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활용하여 VR 전시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관조적(Contemplative)에서 수행적(Performative)으로 전환하는 전시 큐레이팅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회화 등의 2D 콘텐츠를 깊이감을 지니는 2.5D 콘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에 대한 수행적 감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하는 방안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 회화 작품에 대해 20대 40명을 대상으로 기존 VR 전시와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서 사용자들은 기존 방식과 비교해 제안한 VR 전시 방식에서 몰입도, 지적 호기심, 콘텐츠 만족도, 지속 이용성 항목에서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점점 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교육, 예술,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가상현실 기반 전시에서 보다 몰입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lthough VR is opening numerous new possibilities, the current widely used way of presenting works of art in virtual reality-based exhibition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way of presenting works in physical galler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transforms the viewer's artwork appreciation experience in virtual exhibitions from “Contemplative” to more “Performative. The proposed method is to convert 2-D content such as painting into 2.5-D content having a sense of depth, and provide the user with performative experienc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0 people in their 20s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VR exhibition method. In the experiment, the users reported more positive responses in terms of immersion, intellectual curiosity, content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in the proposed method than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is study can be used to increase the value of VR contents by providing a more immersive user experience in VR-based exhibitions in education, art, and entertainment,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in demand.

      • Flexible electrochemical biosensor for drug evaluation based on CRISPR/Cas9-engineered organoid model of human glioblastoma

        박시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Glioblastoma (GBM) i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malignant brain tumo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various three-dimensional (3D) models that mimic the microenvironment of human GBM. However, current in vitro GBM models are still limited by the lack of useful 3D biosensing system to detect 3D models for drug evalu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GBM biosensing system with a flexible electrochemical biosensor to detect L-glutamate released from a CRISPR/Cas9-engineered organoid model of human GBM. To recapitulat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the brain tumor, a 3D GBM model was established by inducing specific genetic mutations with a combination of clinically frequent aberrations (NF1–/–, PTEN–/–) via CRISPR/Cas9. Our biosensing system for drug screening was fabricated using flexible Au electrodes on a polymer substrate and concave PDMS, capa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organoids and Au electrodes while making 3D interfaces. Also, glutamate oxidase (GmOx) was immobilized for selective detection of L-glutamate. This biosensor successfully detected L-glutamate present higher in GBM organoids than naïve cerebral organoids. Additionally, we evaluated the anti-tumor drug effects on GBM organoids by comparing the L-glutamate concentrations detected via this biosensor. The proposed system will be widely applied as a GBM biosensing system that can be utilized to explore brain tumors derived from specific driver mutations, which might allow personalized therapy for brain tumor diseases.

      • 청년기 비장애인의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에 대한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박시은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년기 비장애인의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발장애인의 비장애형제자매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청년기 비장애인의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인식이 청년기 이전과 다른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 재인식 현상을 보다 깊게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인터뷰 참여자를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모집했으며, 연구의 목적 및 과정을 이해하고, 발달장애 형제자매에 대한 인식 경험을 풍부하게 구술 가능하며,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19~31세 비장애형제자매 청년 6명을 최종 선정했다. 자료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수집되었고 연구 참여자의 각 상황과 맥락 속에서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의 인식 변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도출해낸 의미단위들의 구조는 총 9개의 구성요소와 37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9개의 구성요소는 각각 ‘온 가족이 집중하는 존재’, ‘부모님에 의해 규정된 장애인식과 형제자매 관계’,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나와 다른 존재’, ‘나를 평범하지 않은 사람으로 만드는 존재’, ‘장애형제자매의 성장과 변화의 가능성 인식’, ‘하나의 톱니바퀴가 되어주는 중요한 가족구성원’, ‘다양한 상황과 경험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장애형제자매의 의미’, ‘잠시 유예한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고민’, ‘장애형제자매를 위한 미래준비’였다. 지오르지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구성요소들 간 관계를 통해 이해한 일반적 기술구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발달장애인 형제자매는 부모로부터 받은 많은 영향을 통해 형성되었다. 가족 구성원들이 장애형제자매의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지는 비장애형제자매인 연구 참여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어린 시절 주변을 통해 자신과 장애형제자매와의 관계를 인식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장애형제자매의 의미는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돌봄 요건과 연결되어, 자신의 상황, 경험에 따라 계속 변화했다. 독립적으로 자신만의 인간관계와 생활을 만들어 가는 청년기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경험을 하며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에 대해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스스로 자신과 발달장애인 형제자매를 연결시키고 있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비장애형제자매로서의 정체성을 부여받은 어린 시절과 달리 청년기 비장애인은 취업, 연애, 결혼 등의 생애과업에 장애형제자매를 연결지어 고려하고 생각했다. 다섯째,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인식이 돌봄과 연결되어 있는 만큼 연구 참여자들은 안정적인 삶이 준비될 때까지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돌봄을 유예시키고자 했다. 미래 부담을 느끼고 있었지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 서비스, 공간 등은 연구 참여자들이 비관에 빠지지 않도록 했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에 대한 삶을 매우 단편적으로 그리고 있었다. 장애형제자매의 주체성, 자립성, 성장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본 연구 참여자는 소수였으며, 장애형제자매를 돌봄이 필요한 존재, 내가 책임져야 할 존재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이는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장애인을 본 경험이 인생에 없었기 때문의 이유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의 성장을 발견하고, 발달장애인의 능동적인 삶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했다. 발달장애인 형제자매가 단지 부담으로 느껴지는 존재가 아닌, 성장할 수 있고, 마땅히 사회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는 경험은 장애형제자매와 함께하는 미래를 보다 긍정적으로 그리게 했다. 본 연구는 청년기 비장애인의 발달장애인 형제자매에 대한 인식의 변화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논의를 얻어낼 수 있었다. 우선 청년기 비장애인은 청년기 이전과 달리 새로운 사회경험을 함으로써 발달장애 형제자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는데, 이러한 인식 변화에는 장애형제자매에 대한 돌봄 책임과 돌봄에 대한 부담을 내려놓을 수 있는 경험들이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가족에 대한 충분한 사회적 지원이 긍정적 가족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 연구 참여자들의 발달장애 형제자매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는 형제자매의 능동성, 가능성을 인식한 경험을 통해 이뤄졌다. 향후 발달장애인의 자립정책과 능동적 주체로서의 사회적 인식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발달장애형제자매와 함께하는 미래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 없이 그 책임을 잠시 유예시키고 있었고, 장애형제자매 돌봄과 관련한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워했다. 향후 발달장애인 가족에 대해 다양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정보제공이 활성화되고, 생애주기와 가족 전체를 고려한 개별 돌봄계획 또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원을 통해 발달장애인이 자신이 원하는 삶을 꾸리고 결정할 수 있는 경험이 가능하다면 발달장애인 가족은 그들의 미래의 부양부담을 유예하고 외면하기보다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 제품유형과 인플루언서 유형이 정보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시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ocial media provides the environment for users not only to inter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develop their own contents to deliver useful information to others. Such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create a new type of social opinion leader named as ‘social influencer’.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ntroduce another new type of social influencer called ‘virtual influencer’ which starts to replace a human influencer on various online platforms. Since virtual influencers developed by new digital software are created and consumed only through digital media, the effect of marketing practice to use such influencers will be varied depending on how the marketer uses them. As such, usages of virtual influencers are expected to be more popular as more industrial fields are integrated. However, to our knowledge, despite of the popularity of virtual influencers, very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such a new on-line opinion leader. Therefore,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consumers want to accept can b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ypes of influencers and product types classified as search, experience, and trust good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fluencer types and product types on consumers’ intentions to accept information will be mediated by consumers’ trust toward the product. Through experimental design between group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of 3 (product type: search goods vs experience goods vs credence goods) X 2 (influencer type: human influencer vs virtual influenc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earch goods, when the message was delivered by a virtual influencer, the intention to accept information was higher for a virtual influencer compared with a human influenc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goods, when the message was delivered by a human influencer, consumers’ intentions to accept information was higher for a human influencer compared with a virtual influencer.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fluencer types and credence goo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it was found that product trus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types and consumers’ intentions to accept informa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v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duct types and influencer types on consumers’ in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types and intentions of accept information. according to product typ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virtual influencer marketing. 소셜 미디어는 소비자들 간의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더불어 일반 소비자들이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서의 등장을 야기했다. 최근 등장한 VR(virtual reality)이라고 하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정보기술의 등장으로 가상 인플루언서가 실제 인플루언서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 등장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가상 인플루언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만들어지며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만 생성되고 소비되기 때문에 마케터가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마케팅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기존 마케팅의 개념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영역에도 변화를 주고 있으며, 가상 인플루언서의 활용은 앞으로 여러 산업과 융합을 통하여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처럼 가상 인플루언서가 마케팅 실무에서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상 인플루언서의 활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탐색재와 경험재, 신뢰재 등 제품 유형과 인플루언서 유형의 상호작용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수용의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제품유형과 인플루언서 유형의 상호작용과 소비자의 정보수용의도의 관계를 제품 신뢰가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간 요인설계를 통해 3(제품유형 : 탐색재vs경험재vs신뢰재) X 2(인플루언서 유형 : 실제 인플루언서vs가상 인플루언서)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탐색재의 경우에는 실제 인플루언서보다 가상 인플루언서가 더 높은 정보수용의도를 나타내었으나, 경험재의 경우에는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실제 인플루언서가 더 높은 정보수용의도를 보였다. 한편 제품유형과 인플루언서 유형의 상호작용은 제품 신뢰를 매개하여 정보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제품유형에 따라 인플루언서 유형이 정보수용의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과 제품 신뢰의 부분 매개효과를 입증하였으며, 가상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 택시평면에서 한 도형을 경유하는 두 점 사이의 최단거리

        박시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실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다루고 있는 기하는 유클리드기하학이다. 이러한 기하학의 이론에서 거리의 개념을 변형한 기하학이 바로 택시기하학이다. 예를 들면 2차원의 좌표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유클리드기하와 택시기하를 비교할 때, 유클리드기하학은 두 점을 잇는 직선 거리를 두 점 사이의 거리로 보지만, 택시기하 에서는 두 점을 바로 잇지 않고 축과 축에 평행한 직선들을 사용하여 두 점을 이은 거리의 최솟값을 두 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하기 때문에 유클리드기하와 택시기하에서의 원, 쌍곡선, 포물선 등의 그래프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위의 거리체계와 유사한 택시기하의 평면에서 한 도형을 경유하는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연구하였고, 유클리드기하에서의 거리와는 달리 최단 거리를 갖게 하는 도형 위의 점이 유일하게 주어지지 않고 하나 이상의 점 또는 영역으로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passing through a shape in Taxicab geometry. Here the shape is one of straight lines, line segments or circles in Taxicab plane. So we suggested the passing-through points of the shape determin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given two poi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uld provide finding methods the shortest points of the shape when two different points and an arbitrary shape are given.

      • 구조화된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스트레스 신체증상,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박시은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tructured expressive writing program on stress related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atients admitted to a cancer integrative care nursing hospital located in C city, and there were 2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42 patients. The structured expressive writing program in this study is a writing program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e structured writing stage of Guastella and Dadds (2008, 2009), consisting of a total of 4 sessions, once a week, for more than 30 minutes each tim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30 to September 6, 2022.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27.0 program by independent sample t-test, -test, Fisher's exact test,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 score of the stress related physical symptom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tructured expressive writing program was from 50.05 to 52.10,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0.38, p=.710). control group was from 35.81 to 33.71,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1.05, p=.308). Hypothesis 1 was rejected (F=.58, p=.452). 2) Hypothesis 2: The score of the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tructured expressive writing program decreased from 16.24 to 14.10,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1.10, p=.286). The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14.57 to 17.95,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3.27, p=.004). Hypothesis 2 was accepted (F=4.63, p=.038). 3) Hypothesis 3: The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tructured expressive writing program was from 49.90 to 55.43,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3.03, p=.007). control group was from 49.10 to 47.71,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0.09, p=.397). Hypothesis 3 was accepted (F=8.32, p=.006).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tructured expressive writing program designed to express cancer-related deep thoughts and emotions helps in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 혐기성 발효 공정에서 금속 이온과 플라스틱 첨가가 수소 생산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시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목 : 혐기성 발효 공정에서 금속 이온과 플라스틱 첨가가 수소 생산 향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발효공정에서 금속이온과 폴리스티렌(PS) 농도의 변화가 수소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B/A 비율과 수소 생산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금속이온 및 PS를 포함하지 않은 배지와 Control 배지 간의 가스 및 수소 생성량 차이를 비교하여 최소 영양배지 조건을 만족하면서 연구의 편의성과 결과 해석의 명확성을 증진했다. 이후, 철(Fe2+), 니켈(Ni2+), 마그네슘(Mg2+), 미세플라스틱(MP)의 농도 변화에 따른 총 가스 및 누적 수소 생성량을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각 첨가제(철 이온, 니켈 이온, 마그네슘 이온, 미세플라스틱)의 농도를 0mg/L부터 5mg/L씩 증가시켜 25mg/L까지 실험한 결과, 수소의 효율이 향상하였다. 농도 증가에 따른 수소 효율의 상승은 혐기성 조건에서 해당 첨가물들이 미생물 활동이나 화합물 변환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했다. 철 이온의 첨가가 다른 첨가제의 비해 높은 수소생산을 보여주었다. 실험에서 얻은 이러한 결과는 각 첨가물이 혐기성 조건에서 특정 화합물의 분해나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수소 생성 효율을 향상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정확한 메커니즘 및 첨가물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와 실험 결과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인자들이 수소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소생산 시 생성되는 유기산의 종류 및 양을 측정한 결과, Butyric acid / Acetic acid(B/A) ratio가 수소생산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varying metal ion and polystyrene (PS) concentrations on hydrogen production in anaerobic fermentation processes. Experimental results reveal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ncreased in 5ppm increments, and the cumulative hydrogen production, with iron (Fe) exhibiting the highest cumulative hydrogen production at 4644.08 ml. Similarly, PS concentration correlates with increased hydrogen production, highlighting the stimulating effect of appropriate PS additives on microbial growth. Additionally, the study establishe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Butyric acid/Acetic acid (B/A) ratio and hydrogen production. In the introduction, we address the pressing issues of climate change and energy concerns in modern society. The background introduces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posed by fossil fuel usage, emphasizing the sustainability of biohydrogen as a potential solution. The study's objectives are outlined, focusing on optimizing anaerobic fermentation for enhanced hydrogen production. The conclusion synthesizes key findings, emphasiz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etal ion concentration and H2 production efficiency, particularly with iron. The role of PS as a growth stimulant for microorganisms is underlined.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B/A ratio, demonstrating its close association with H2 production efficiency. These results contribute valuable insights for optimizing anaerobic fermentation-based H2 production processes.

      • 소셜미디어에서의 조직-공중 관계성과 미디어 몰입이 공중의 자발적 PR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PR의 사회이양모델(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ublic Relations)을 바탕으로 기업을 위한 공중의 자발적 PR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며, 그 안에서 나타나는 조직-공중 관계성 요인이 공중의 기업을 위한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검증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미디어 몰입의 개념을 통해 개인의 매체 이용 시 나타나는 행동적 특성이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기업을 위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PR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상에서 조직-공중 관계성이 몰입에는 어떤 여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중 관계성과 미디어 몰입 모두 공중의 기업을 위한 자발적 PR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중 관계성과 몰입이 높을수록 공중의 기업을 위한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공중 관계성은 미디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상에서 기업과 이용자간의 관계성이 높을수록 이용자들은 해당 기업의 소셜미디어에 더 많이 몰입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직-공중 관계성과 공중의 자발적 PR활동에 대한 미디어 몰입의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는 조직-공중 관계성 요인과 미디어 몰입이 기업을 위한 공중의 자발적 PR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힌 것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기업 PR에 대한 실무적인 의의와 함께 PR연구 등에 유의미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oluntary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public based on 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ublic Rel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public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how these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factors affect the positive and voluntary communication activities for public enterprises. In addition, through the concept of media engagement, explored how the behavioral engagement of individual media use affect the active and voluntary PR activities of social media users. And it studied how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affects media engagement in social media.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vealed that, (1)voluntary P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oth social media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and social media engagement, (2)social media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 media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and (3)social media engagement mediated the relation of social media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and voluntary PR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factors and media engagement are influential factors on the voluntary PR activities of the public for corporations in social media.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there is meaningful significance in PR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rporate P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